• Shuffle
    Toggle On
    Toggle Off
  • Alphabetize
    Toggle On
    Toggle Off
  • Front First
    Toggle On
    Toggle Off
  • Both Sides
    Toggle On
    Toggle Off
  • Read
    Toggle On
    Toggle Off
Reading...
Front

Card Range To Study

through

image

Play button

image

Play button

image

Progress

1/171

Click to flip

Use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navigate between flashcards;

Use UP and DOWN arrow keys to flip the card;

H to show hint;

A reads text to speech;

171 Cards in this Set

  • Front
  • Back
  • 3rd side (hint)

Louis Pasteur의 업적

(○) 광견병 백신 발견


(○) 탄저균 백신 발견


(○) 생물 속생설 확정


(○) 포도주 발효 원리 규명


(○) 주석산 이성질체 발견


(×) 홍역 백신 개발


(×) 결핵 예방 백신 발


(×) 전염병의 병균설 확


(×) 현미경으로 미생물 최초로 발견

A. J. F. Schwarz가 홍역 백신을


Albert Calmette가 결핵 예방 접종인 BCG 백신을 처음으로 만듬


Robert Koch가 감염성 질환과 미생물의 상관관계를 정립함


Antony van Leeuwenhoek가 현미경으로 미생물의 형태를 최초로 기록함

미생물의 존재와 모양을 현미경을 통해 최초로 발견한 사람

(○) Antony van Leeuwenhoek


(×) Robert Koch


(×) Louis Pasteur


(×) Alexander Fleming


(×) Walter Reed

천연두를 예방하는 종두법을 개발한 사람

(○) Edward Jenner


(×) Louis Pasteur


(×) Robert Koch


(×) Alexander Fleming


(×) Walter Reed

Robert Koch의 업적

(○) 결핵균 발견


(○) 탄저균 발견


(○) 콜레라균 발견


(○) 고체영양배지 개발


(○) 순수배양법 발견


(×) 장티푸스균 발견


(×) 나병균 발

Karl Eberth가 장티푸스균을 발견함


Gerhard Armauer Hansen이 나병균을 발견함

Henle의 3원칙

(○) 일정한 전염병에 일정한 미생물이 반드시 증명될 것


(○) 그 미생물이 병변부에서 분리될 것


(○) 그 분리된 미생물을 순수배양해서 감수성이 있는 동물에게 접종했을 때 같은 질병이 성립할 것


(×) 순수배양된 미생물로 감염이 성립한 동물로부터 다시 동일 미생물이 분리될 것

순수배양된 미생물로 감염이 성립한 동물로부터 다시 동일 미생물이 분리된다는 조건은 Robert Koch가 나중에 추가함

나병균을 발견한 학자

(○) Gerhard Armauer Hansen


(×) Karl Eberth


(×) Selman Waksman


(×) Alexander Fleming


(×) Paul Ehrlich

황열의 병원균이 바이러스임을 규명하고 모기에 의해 매개됨을 밝힌 사람

(○) Walter Reed


(×) Selman Waksman


(×) John Franklin Enders


(×) Hideo Noguchi


(×) Robert Koch

보체 결합 반응을 창안하고 백일해균을 처음 발견한 학자

(○) Jules Bordet


(×) Charles Richet


(×) Karl Landsteiner


(×) Thomas Huckle Weller


(×) Albert Calmette

사람의 ABO식 혈액형과 Rh인자를 발견한 학자

(○) Karl Landsteiner


(×) Louis Pasteur


(×) Jules Bordet


(×) Emil von Behring


(×) Albert Calmette

매독 치료제 salvarsan을 창제하여 화학요법의 기초를 세운 학자

(○) Paul Ehrlich


(×) Gehard Domagk


(×) Selman Waksman


(×) Alexander Fleming


(×) Howard Florey

Alexander Fleming의 업적

(○) 최초의 항생물질인 penicillin을 발견한 학


(×) 최초로 발견된 항생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의 학명은 Bacillus anthrasis이다.

최초로 발견된 항생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의 학명은 Penicillium notatum


Bacillus anthrasis는 탄저균


탄저균은 Robert Koch가 발견


탄저균 백신은 Rouis Pasteur가 개발

토양 방선균으로부터 최초로 streptomycin을 발견한 학자

(○) Selman Waksman


(×) Alexander Fleming


(×) Paul Ehrlich


(×) Robert Koch


(×) Hamao Umezawa

황열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약을 만든 학자

(○) Max Theiler


(×) Paul Ehrlich


(×) Gehard Domagk


(×) Alexander Fleming


(×) Emil von Behring

디프테리아균을 발견한 학자

(○) Edwin Klebs


(×) Louis Pasteur


(×) Karl Eberth


(×) Martinus Beijerinck


(×) Robert Koch

결핵 예방 접종인 BCG 백신을 처음으로 만든 학자

(○) Albert Calmette


(×) Max Theiler


(×) John Franklin Enders


(×) Alick Isaacs


(×) Gerhard Domagk

소아마비 바이러스를 배양하는 조직 배양법을 처음 이용한 학자

(○) John Franklin Enders


(×) Joshua Lederberg


(×) Albert Calmette


(×) Alexander Fleming


(×) Paul Ehrlich

소아마비의 약독화 생 바이러스 백신을 만든 학자

(○) Albert Sabin


(×) Max Theiler


(×) Louis Pasteur


(×) A. J. F. Schwarz


(×) Jonas Salk

Jonas Salk는 소아마비 사 바이러스 백신을 만

페놀을 이용한 무균 수술법을 개발한 사람

(○) Joseph Lister


(×) John Franklin Enders


(×) Emil von Behring


(×) Charles Richet


(×) Francis Peyton Rous

Metchnikoff의 업적

(○) 대식작용의 발견과 세포성 면역의 개념 제안


(×) 보체 결합 반응의 발견


(×) 대장균의 성 구별 있음을 발견


(×) 말라리아 원충 발견


(×) 디프테리아 항독소 혈청의 발견

Jules Bordet 보체 결합 반응을 창안하고 백일해균을 처음 발견


Joshua Lederberg 대장균의 성 구별 있음을 발견하고 세균의 접합 현상을 발견


Charles Louis Alphonse Laveran이 말라리아 원충 발견


Emil von Behring이 디프테리아 항독소 혈청

최초 설파제인 프론토실이 연쇄상구균을 억제함을 발견

(○) Gerhard Domagk


(×) Charles Louis Alphonse Laveran


(×) Edward Laurie Tatum


(×) A. J. F. Schwarz


(×) Alick Isaacs

파상풍 및 디프테리아 항독소를 발견한 사람

(○) Emil von Behring


(×) Charles C. Shepard


(×) A. J. F. Schwarz


(×) Jonas Salk


(×) Peter Medawar

홍역에 대한 약독화 생 바이러스 신을 만든 사람

(○) A. J. F. Schwarz


(×) Fritz Schaudinn


(×) Kiyoshi Shiga


(×) Albert Sabin


(×) Peter Medawar

디프테리아균 Corynebacterium diphteriae

(○) 그람양성 이며 운동성 없음


(○) 호기성


(○) Babes-Ernast granules, 이염소체 (metachromatic granule)


(○) Neisser 염색


(○) 디프테리아증 원인


(×) 편모균


(×) 내독소


(×) 그람음성 간균

디프테리아균은 무편모균


디프테리아 독소는 외독소

콜레라균 Vibrio cholerae

(○) 그람음성


(○) 편성 혐기성


(×) 호기성


(×) 무편모


(×) 내독소

콜레라균은 편모균이다.


콜레라 독소는 외독소이다.

대장균 Escherichia coli

(○) 주편모


(○) lipopolysacchride는 내독소


(○) 통성 혐기성균


() LPS는 O항원의 주성


(×) LPS는 H항원의 주성

대장균은 현재 항원구조에 따라서 154가지의 O(균체표면 LPS)항원과 89가지의 K(캡슐)항원 그리고 49가지의 H(편모)항원으로 분류한다.

펩티도글리칸 peptidoglycan

구성 성분은 당 유도체인 N-acetylglucosamine(NAG), N-acetylmuramic acid(NAM)와 몇 종류의 아미노산

그람 염색법

(○) 세균 세포벽의 조성에 따른 염색성의 차이


(×) 그람음성균은 푸른색으로 염색

그람양성 세

(○) 세포벽이 두꺼움


(×) 외막이 존재하며, 이 외막은 lipopolysaccharide(LPS)

Mycoplasma

(○) 세포벽이 없어서 penicillin 내성


(○) 다형태성 세균으로 병원성이 있는 것이 다수


(○) 세포 조직 배양의 오염원


(○) 최근 합성 생물학 기법으로 인공 합성됨

treponema

(○) 그람음성 나선형 세균으로 균체는 비교적 길다.


(○) 축사(axial fibril)로 운동한.


(×) 편모로 운동한다.

항산성 염

(○) 항산성에 기여하는 것은 mycolic acid


(×) 양성을 보이게 하는 원인은 단백질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 그람양성, 외독소 생


(×) 영양 조건이 나쁜 경우, 내생포자를 형성

Rickettsia

세균이지만 바이러스처럼 부화 계란을 이용해 배양

담자균류 Basidiomycetes

(○) 대부분 버


(×) 유성포자가 낭(sac) 속에 들어 있는 균류

자낭균문 (Ascomycetes): 격벽균사체. 유성포자가 낭속에 존재.

불완전균류 Fungi Imperfecti

(○) 대부분의 불완전균류는 자낭균류에 속하고, 일부는 담자균류에 속함


(○) 병원성 진균의 대부분 (백선증 등)


(○) Penicillium속 (페니실린생산), Aspergillus속 (간장발표, 구연산제조)


(×) 계통학적으로 자낭균과 담자균에 속하는 균들 중 무성생식 과정이 밝혀지지 않은 균들

Trichomonas vaginalis

(○) 원충성질염의 원인균


(○) 편모충

Entamoeba histolytica

(○) 원충성이질의 원인균


(○) 위족충

Plasmodium vivax

(○) 말라리아의 원인균


(○) 포자


(×) 섬모충

원핵세Prokaryotre

(○) 고세균


(○) 남조세균


() 세포벽 뮤코펩티드


(×) 핵막


) 80S 리보솜

진핵세Eukaryote

(○) 핵막


(○) 유사분열


(○) 세포내소기관 (organelle)


(×) 세포벽 뮤코펩티드


(×) 리보솜 소단위체 30S

진핵세포와 원핵세포의 공통

(○) 모두 세포막 있음


(○) 모두 하나 이상의 염색체 있음


) 모두 세포내 소기관 있음


) 리보솜은 모두 50S, 30S subunit


) 모두 intron과 exon으로 구성된 유전자 가짐

그람양성 세균의 세포벽에 함유된 물

(○) L-lysin


(○) D-alanine


(○) N-acetylmuramic acid


(○) N-acetylglucosamine


(○) teichoic acid


) N-glucosamine


) dipicolinic acid

세균의 세포

(○) 세포벽 염색성의 차이로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


(○) 펩티도글리칸 구성 성분은 당 유도체인 N-acetylglucosamine, N-acetylmuramic acid와 몇 종류의 아미노산


(○) 그람음성균은 펩티도글리칸 단위가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그람양성균은 펩티드의 가교에 의하여 연결


) 그람음성균은 주로 두꺼운 펩티도글리칸층으로 되어 있어서 항생물질에 저항함


) 그람양성균은 외막이 존재하며, 이 외막은 lipopolysaccharide(LPS)

협막 capsule

(○) K 항원


(○) 세포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균일한 점액


(○) 화학 조성은 주로 다당류


(○) 폐렴구균의 S(smooth)형 집락


(○) 미생물의 독성이나 약품에 대한 저항


) 녹농균의 M(mucoid)형 집락

선모 pili

(○) 플라스미드성 선모는 접합할 때 통로 역할


(○) 많은 그람음성 세균이 가지고 있는 모상 구조


(○) 염색체성 선모는 적혈구에 강한 점착성을 갖고 응집 작용 있음


) 편모보다 가늘고


) 세균의 주화성과 관련

H 항

(○) 편모


(○) 이(易)열성


(○) 주화


(×) 세균성 이질균


(×) 다당체

외독소 exotoxin

(○) 균체 외로 분비


(○) 분자량이 큰 단백질


(○) 포르말린 처리하면 변독소(toxoid)


) 열에 안정


) 간단한 구조의 탄수화물

외독소 (exotoxin)

(○) 콜레라균 Vibrio cholerae


(○) 파상풍균 Clostridium tetani


(○) 백일해균 Bordetella pertussis


) 장티푸스균 Salmonella Typhi


) 폐렴쌍구 Streptococcus pneumoniae

백일해균은 내독소, 외독소 모두 생산한다.

내독소 (endotoxin) 세균

(○) 백일해균 Bordetella pertussis


() 장티푸스균 Salmonella Typhi


(○) 뇌수막염 Neisseria meningitidis


(○) 발진티푸스균 Rickettsia prowazekii


(×) 파상풍균 Clostridium tetani


) 보툴리누스균 Clostridium botulinum


)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 탄저 Bacillus anthracis

백일해균은 내독소와 외독소를 모두 생산한다.

내생포자 (endospore)

(○) 환경이 양호해지면 발아 번식을 한다.


(○) 환경이 나쁠 때만 형성되며 휴지상태이다.


(○) 하나의 세포가 분열하면서 한 개의 내생포자를 형성한다.


) 고압 증기 멸균법으로도 멸균이 안된다.


) 운동성이 있는 모든 세균은 내성포자를 형성한다.

그람음성 간

(○) Vibrio cholerae 콜레라균


(○) Pseudomonas aeruginosa 녹농


(○) Haemophilus influenzae 인플루엔자균


) Mycobacterium tuberculosis 결핵


) Corynebacterium diptheriae 디프테리아

포자를 형성하는

(○) Bacillus anthracis 탄저균


(○) Clostridium tetani 파상풍


) Proteus vulgaris 프로테우스


) Hemophilus influenzae 인플루엔자균


) Pseudomonas aeruginosa 녹농균

장내세균과 (Enterobacteriaceae)

(○) Salmonella typhi 장티푸스균


(○) Shegella dysenteriae 이질


(○) Klebsiella pneumoniae 폐렴간균


(×) Vibrio cholerae 콜레라균


) Pseudomonas aeruginosa 녹농

방선균

(○) Streptomyces griseus 스트렙토마이세스균


(○) Mycobacterium tuberculosis 결핵균


) Aspergillus oryzae 누룩곰팡


) Penicillium notatum 푸른곰팡


) Staphylococcus aureus 포도상구

고세균 Archaebacteria

(○) 리보솜 - 70S


(○) 세포막 지질 - ether 연결


(○) 세포벽 - pseudomurein


(○) 고도 호염군, 메탄균


(○) kanamycin에 감수성 없


(○) 라이소자임이나 베타락탐계에도 저


(×) 리보솜이 kanamycin에 의해 억제


(×) 세포벽 - muramic acid, 펩티도글리칸


(×) 리보솜 - 80S


) 염색체 - linear 형태


) 진핵세포


(×) 막 지질 - ester 결합

Rickettsia와 virus의 공통점

(○) 부화 계란을 이용하여 배양
(○)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만 생육

효모류 (yeast)

(○) Candida albicans


(○) Schizosaccharomyces prombe


) Penicillium notatum


) Streptomyces griseus


) Neisseria meningitidis

바이러

(○) 살이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


() 세포 구조 없음


(○) 각 (capsid)


) 어떤 물질 대사도 하지 않


) RNA, DNA를 모두 가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 1차 감염보다는 2차 감염으로 자주 나타


(○) 화상 환자의 피부 감염, 낭포성 섬유증 등의 주요 원인균


(○) 개체 밀도 인식을 위해 homoserine lactone 계열의 물질을 분비


(×) 편성 호기성


(×) 항생제 감수성이 높

녹농균은 산소유무에 관계없이 생육하는 통성혐기성


거의 모든 세균은 통성 혹은 편성혐기성


편성 호기성은 아주 드


녹농균은 단모균, 항생제 내성이 높은 편


• 녹농균은 낭포성섬유증의 원인균이 아님


CF는 유전적인 이유로 발생하고 CF 환자가 녹농균에 감염되기 쉬움


녹농균화상환자에 1차 감

앵무병균 Chlamydia psittaci

(○) 상기도염을 일으키다.


(○) 심하면 폐렴 증세를 일으키고 고령자는 사망할 수도 있다.


(○) 치유 후에도 가래 속에 클라미디아가 오랫동안 배출되어 감염원이 될 수 있다.


(×) 공기중으로 감염된다.


(×) 1-2년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한다.

앵무병은 앵무새, 비둘기, 닭, 오리 등의 배설물 접촉으로 감염되고 잠복기는 4-19 일이다.

효모균증 Cryptococcosis

(○) 원인균은 담자균문에 속한다.


(○) 감염 환자의 가래 등을 인디아 잉크로 염색하면 협막 형성을 관찰할 수 있다.


) Wasserman에 의해 혈청학적 진단법이 개발되었다.


) Amphotericin B와 5-fluorocytosine(5-FC)를 병용하여도 치료되지 않는다.


) 고급지방산 mycolic acid를 함유하여 항산성을 나타낸다.

Wasserman test는 매독검사


• 항산성균 염색법(Ziehl-Neelsn법): 결핵, 나균등으로 지질함량 높음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 Robert Koch에 의해 발견되었다.


(○) 균체에 지질 성분을 함유하고 항산성을 나타내는 성분은 mycolic acid이다.


(○) 결핵 감염에 수반되는 알러지 유무를 검사하는 데 투베르쿨린 반응이 이용된다.


(×) 결핵치료에는 1차 항결핵제인 penicillin을 사용할 수 있다.


) 결핵 예방에 사용되는 BCG는 약독화된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서 유래하였다.

BCG 백신의 제조에는 우형결핵균(Mycobacterium bovis)을 계대 배양하여 약독화된 균을 사용한다.


• 1차 결핵제 (HERZ + SM) : INAH, Ethambutol, Ripampcin, Pyrazinamide, SM


• 2차 결핵제 : PAS, Kanamycin, capreomycin, cycloseine, prothionamide(PTH), fluoroquinolones(oflxacin)

세균의 기본 펩티도글리칸 골

(○) tetrapeptide chains


(○) N-acetylmuramic acid


(○) N-acetylglucosamine


(×) teichoic acid

teichoic acid는 peptidoglycan의 기본 골격 아니다.

그람양성과 그람음 세포벽에서 공유하는 특성

(○) peptide crosslink


(○) 견고한 다당 구조


(×) 타이코산 (teichoic acid)


) 다양한 지질 복합

그람음성 세포벽 - 다양한 지질 복합


그람양성 - 타이코산 (teichoic acid)

봉입체 inclusion body

(○) polyhydroxybutyrate


(○) volutin


(×) mesosome


) peptidoglycan


glycogen, polyhydroxybutyrate (PHB) 저장


• volutin= metachromatic granul= Babes-Ernst body= Neisser 소체: 이염소체, 무기인산 저장

Chlamydia

(○) PLT group


(○) lymphogranuloma venereum


() bedsonia


(×) papovavirus


) Interferon

• Chlamydia: 세포내 기생하나 vector 필요없음, prowazek body (봉입체, C. psittaci 제외하고 I2에 갈색염) 형성


• PLT, psittacosis lymphogranuloma trachoma = bedsonia


서혜임파육아종증 (LGV, lymphogranuloma venereum): 접촉감염-제4성병, Frei반응 (자연성 알러지 반응), TC가 유효


Papovaviridae: dsDNA, naked, 종양원성, ether 저항성, human papillomavirus (HPV, 자궁경부암), polyoma virus, vaculating virus (SV40, Simian virus 40)

PLT group (Chlamydia)

(○) psittacosis의 원인균


(○) lymphogranuloma venerum의 원인균


(○) trachoma의 원인균


(○) inclusion conjunctivitis의 원인

dipicolinic acid, calcium dipicolinate

세포의 구성 물질 중 그람양성 세균의 포자체에 함유된 물질로 포자의 내열성에 기여하는 것

teichoic acid

세포의 구성 물질 중 그람양성균의 세포벽 표면적을 넓혀주기 위해 존재하는 세포벽 성분

polyhydroxybutyric acid

세포의 구성 물질 중 세포 내 에너지 저장을 위해 과립상으로 존재하는 물질

ergosterol

진균류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물질로 세포막의 견고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편성 혐기성균 obligatory anaerobe

(○) Clostridium


(○) Methanobacterium


(○) Bacteriodes


(○) Treponema pallidum

광우병 BSE

프리온이 원인이라고 추정되는 질환으로 소해면체 뇌질환과 관련

CJD는 사람의 프리온 질환

lipopolysaccharide (lipid A)

그람음성 세균의 세포벽 성분으로 내독소로 작용

sex/F pili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조직으로 그것의 특정한 종류가 세균 접합에 관여함

flagella

세균의 표면에 존재하는 구조로 세균의 유영운동(swimming motility)을 담당

volutin 주성분

polyphosphate

Mycobacterium

세포 내 지질 함량이 다른 세균에 비해 매우 높으며, 마이콜산을 함유하여 항산성

고압증기멸균 autoclave

내생포자를 한 번 처리로 사멸시키는 최적의 방법

IMViC 시험법

(○) Enterobacteriaceae을 구분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시험법


(○) Indol (대장균, 연성하감, Proteus), Methyl red, Voges-Proskauer (Methyl red test와 항상 반대), Citrate test

Thermus aquaticus

내열성 그람음성 세균으로 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이용되는 DNA 중합효소가 최초로 발견된 세균

Azotobacter

자유생활을 하면서 질소고정을 하는 세균

Agrobacterium tumefaciens

Rhizobiaceae로 분류되는 세균으로 Ti plasmid를 갖고 있어 특정 유전자를 식물 염색체에 삽입하는데 이용되는 세균

16S rRNA 서열

원핵생물을 Archaea와 Bacteria로 양분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

프리온 prion

광우병과 같은 질환을 일으키는 단백질 감염체

생장곡선

(○) 유도기-수기-정지기-사멸기의 순서로 진행됨


(×) 지체기-유도기-지수기-사멸기의 순서로 진행됨


(×) 지체기 대사산물의 축적과 관련있음

편성 호기성균 obligate aerobe

(○) 디프테리아 Corynebacterium diphteriae


(○)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 백일해균 Bordetella pertussis


(○) 탄저균 Bacillus anthracis


(○) 고초균 Bacillus subtilis


(○) 인플루엔균 Haemophilus influenzae


(×) 콜레라 Vibrio cholerae


(×) 파상풍균 Clostridium tetani


(×) 장티푸스균 Salmonella typhi

혐기성균 anaerobe

() catalase 효소가 없으므로 과산화수소에 감수성 있음


(×) catalase 효소가 없으므로 과산화수소에 내성

Corynebacterium

아미노산 및 핵산 발효에 주로 사용되는 세균

연속 배양 continuous culture

(○) 장기간 대수기


(○) 아미노산과 같은 1차 대사산물의 대량 생산


) 연속 배양으로 얻은 세포는 모두 동조화되어 있


) Chemostat의 원리로 주입량이 배출량보다 많아야


(×) 항생물질과 같은 2차 대사산물의 대량 생산

자가영양균 autotroph

(○) 증식하는데 질소원이 요구된다.


(○) CO2 고정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


) 무기이온에 대한 요구성이 없다.


) 전자원으로 유기물이 반드시 필요하다.


) 에너지를 얻기 위해 반드시 광합성을 한.

유기영양균 organotroph

(○) 증식하는데 질소원이 요구된다.


(○) 증식의 에너지원으로서 유기물질을 산화한다.


) 화학 합성을 하지 않는다.


) 이산화탄소를 반드시 이용한다.


) 광합성을 하여 영양물질을 만든다.

호기호흡에서 산화적 인산

(○) NAD


(○) 플라빈 (flavin)


(○) 시토크롬 (cytochrome)


(×) 엽록체 (chlorophyl)


) carbon dioxide (CO2)

통성 혐기성균 facultative anaerobe

(○) 포도상구균 Staphylcoccus aureus


(○) 장티푸스균 Salmonella typhi


(×) 렙토스피라균 Leptospira interrogans


) 파상풍균 Clostridium tetani


) 보툴리누스균 Clostridium botulinum

젖산균의 이종젖산발효 생성물

(○) 젖산


(○) 에탄


(○) 이산화탄소


) 포름산


) 아세트산

간헐살균 tyndallization

(○) 포자까지도 사멸시키는 방법이다.


(○) 열에 의한 물질의 파괴를 줄일 수 있다.


(○) 영국의 John Tyndall이 고안한 방법이다.


(○) 100℃에서 30분간 가열하는 처리를 24시간마다 3회 반복한다.


(×) 당을 함유한 배지의 살균에 이용할 수 있다.

포자 발아를 기다렸다가 살균하는 방법이다.

장내세균의 mixed acid fermentation 생성물질

(○) 아세트산


(○) 젖산


(○) 포름산


(○) 에탄올


) 부탄산

Clostridium이 부탄산()

CO2로부터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 기조건에서 일어난다.


(○) 에너지를 얻기 위해 일어난다.


() 아세트산은 체구성 물질로 활용되지 않는.


(×) Acetobacter에서 일어난다.


(×) CO2는 동화과정을 통해 고정된.

혐기조건에서 전자수용체

(○) NO2-


(○) SO4--


(×) N2


(×) Fe++


(×) 숙신산

CO2를 전자용체로 하는 혐기 호흡에 최종 산

(○) 아세트산


(○) 메


(×) 에탄올


) 포름산


) 푸마르

편성 혐기성균 obligate anaerobe

(○) Clostridium tetani


(○) Bacterioides fragilis


(○) Clostridium botulinum


() Methanobacterium bryantii


) Treponema pallidum

세대시간, generation time, doubling time

생장곡선에서 증식하고 있는 세균 집단이 배로 되는데 걸리는 시

대수기, 지수성장기

(○) 생장곡선에서 specific growth rate를 측정할 수 있는


(○) 생장곡선에서 자기증식능이 최고로 발휘되어 규칙적으로 전 세포가 분열함으로써 세포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시

성장(발육)인자

생합성이 불가능하여 세균을 배양하기 위해 배지에 첨가해야 되는 영양

편성 호기성 생물체 obligate aerobe

최종전자수용체로 산소만 이용하는 생물

에탄올 및 부탄올 발효가 가능한 세균 속

Clostridium

retrovirus

rev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하여 복제하는 바이러스

urease

헬리코박터균이 위장 점막에서 살아가는데 필수적, 헬리코박터균의 유무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효소

Acetobacter 속 미생물이 에탄올로부터 생산하는 물

초산

RNA processing (splicing)

진핵세포만이 가진 특징적 현상

핵산

(○) 중성 pH는 핵산을 변성시키지 않는다.


(×) 고온, 중성 pH, 또는 urea 처리는 핵산을 변성시킨다.

넌센스 돌연변

(○) DNA 염기배열이 변해서 stop codon으로 된 경


(×) DNA 복제 도중 염기 하나가 하여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변이

티민 이량체 thymine dimer

UV를 조사하였을 때 형성되는

원핵생물진핵생물

(○) 원핵생물 70S 리보솜이 있고, 진핵생물은 80S 리보이 있음


(○) 원핵생물은 exon만 있으나, 진핵생물은 intron도 있음


(×) 모두 핵막을 가

replicon

(○) plasmid나 phage는 한 개의 독립된 replicon


(○) 외래성 DNA를 replicon에 조합시켜서 증식 가능

operon

(○) operator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부


(○) operator 부위에는 변이가 일어


(○) Trp operon은 leader sequence에 여러 개의 tryptophan codon이 있


(×) Trp operon은 세포 내 포도당과 젖당의 양에 의해 조절

genome

유전자 총집합체

covalently closed circle form

자연상태에서 존재하는 세균의 염색체 DNA 형태(form)

전사 transcription

DNA로부터 RNA로 유전정보가 전달되는 현상

포도당, 젖당이 배지 중에 같이 존재할 때 세균 세포에서 젖당의 이용이 억제되는데, 결과적으로 세균 세포내 감소에서 감소하는 신호물질

cyclic AMP

silent mutation

여러 돌연변이 중 DNA 염기배열이 변화되었으나 표현형에는 전혀 변화가 없는 것

methylation

미생물 변이에 널리 이용되는 MNNG(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DNA를 어떻게 변형시키는 기전

frameshift

acriflavin과 같은 intercalating agent가 유발하는 DNA 변

exon과 intron

(○) DNA 중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염기배열을 intron이라 한다.


(○) mRNA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splicing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 진핵세포의 염기배열에는 exon 부분이 없다.


) DNA 중 단백질을 만드는데 이용되는 염기배열을 intron이라 한다.


) 진핵세포와 원핵세포의 염기배열에는 모두 intron과 exon 부분이 포함되어 있.

genome에 intron을 갖고 있는

(○) 효모


(○) 곰팡이


(○) 아메


(○) 클로


) 고초

원핵세포의 operon

(○) polycistronic mRNA 형성


(○) 젖당 분해 유전자군에서 발


(○) 여러 개의 유전자가 하나의 operator에 의해 조절됨


(○) 세포기능에 연관된 유전자의 집단을 동시에 발현


) monocistronic mRNA 형성

lactose operon

(○) 포도당이 없고 젖당만 존재할 때 유도된다.


(○) 젖당이 repressor와 결합하여 유전자 전사를 활성화한다.


) 포도당이 repressor와 결합하여 유전자 전사를 활성화한다.


) 젖당이 corepressor로 작용하여 유전자 전사를 방해한다.


) 포도당이 corepressor로 작용하여 유전자 전사를 방해한다.

catabolite repression

(○) cAMP


(○) lactose


(○) catabolite activator protein


) lipoprotein


) methylation

점돌연변이 point mutation

(○) base inversion


(○) base deletion


(○) base insertion


(○) nonsense mutation


(×) gene duplication

약화 attenuation

(○) tryptophan


) UV


) cAMP


) lactose operon


) catabolite repression

돌연변이

(○) DNA 복제시 잘못이 생기는 것을 촉진함으로써 돌연변이를 유발한다.


(○) DNA 수선에 잘못이 생기는 것을 촉진함으로써 돌연변이를 유발한다.


) DNA 전사에 영향을 미친다.


) DNA 염기배열에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 복제에 잘못이 생기는 것을 촉진하지만 DNA 수선에 잘못이 생기는 것을 촉진하지는 않는.

DNA 염기배열의 변

(○) deletion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염기 손실


(○) addition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염기 첨가


(○) transposition - transposable element가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삽


(×) transversion - purine 염기가 다른 purine 염기로 바뀜


(×) transition - pyrimidine 염기가 다른 purine 염기로 바

돌연변이원

(○) UV


(○) HNO2


(○) proflavin


(○) acriflavine


(○) mitomycin


(○) nitrous acid


(○) 5-bromouracil


(○) ethidium bromide


(○) alkylating agent


(○) nitrosoguanidine


(○) nitrogen mustard


(×) CO2


(×) H2S


(×) IR

DNA의 염기 사이에 끼어들어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는

(○) proflavin


(○) acriflavine


(○) ethidium bromide


(×) UV


(×) HNO2


(×) mitomycin


(×) nitrous acid


(×) 5-bromouracil


(×) alkylating agent


(×) nitrosoguanidine


(×) nitrogen mustard


(×) CO2


(×) H2S


(×) IR

박테리아에서 아미노산 생합성이 유전자 수준에서 조절되는 기작

repression, attenuation

temperature sensitive mutation

조건치사 돌연변이

트립토판 오페론의 leader sequence

3:4 구조의 leader sequence

Ames test에 이용되는 Salmonella Typhi

(○) DNA 수선계에 결함이 있다.


(○) 아미노산 histidine의 합성능이 없다.


(○) 세포벽 lipopolysaccharide의 길이가 짧다.


(○) DNA 복제시 실수율이 높은 DNA polymerase를 가지고 있.


(×) 암피실린 등의 항생제에 저항성이 있다

약제내성을 나타내는 플라스미

(○) R-플라스미드


(×) F-플라스미드

특정 영양 요구 균주(auxotroph)만을 분리할 때 이용하며, 페니실린이 왕히 자라고 있는 미생물의 세포벽 형성을 억제하지만, 정지 상태로 세포벽 합성을 하지 않는 미생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돌연변이체를 분리하는 방법

(○) 페니실린 농축법 penicillin enrichment


(×) Pfeiffer 반응

광재성 (photoreactivation) 효소

청색광에 의해 활성화된

플라스미드 plasmid

(○) extrachromosomal DNA


(○) 형질전환할 때 recipient cell의 염색체 DNA 안으로 삽입


(○) 접합에 관여


(○) 벡터로 사용


(○) 항생제에 대한 내성


(×) 숙주 세포의 대사에 관계되는 필수적인 유전자


(×) 모든 세균에 반드시 존재


(×) polysome 형성


(×) exotoxin 생성 억

competent factor

(○) 세균의 성장 특정 시기에 만들어지며 이것에 의해 competent cell


(○) 형질전환과 직접 관련

F

(○) F+ 균주와 Hfr 균주의 차이점은 F인자가 염색체에 결합된 상태


(○) 과량의 F- cell과 섞었을 때, Hfr cell이 F- cell로 바


(○) Hfr conjugation은 박테리아에서 가장 효율적인 유전 형질 도


(×) 항생물질 내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transposon

(○) 염색체 DNA와 비염색체 DNA 모두에게 옮겨 다니면서 유전자를 삽입


(○) 약제 내성, 독성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포함


(○) 다른 DNA에 삽입되기 위해서 최소한의 효소 유전자를 포함


(○) 15-40 bp의 짧은 도치 반복 구


(○) transposase에 의한 삽입부위의 절단


(○) DNA 염기배열이 유사하지 않아도 삽입 가


(×) 접합과 관련


) 일반적으로 플라스미드보


(×) 플라스미드처럼 자가 복제

Salmonella Typhimurium His-

Ames test에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세균 균주

transformation

(○) 죽은 S형의 폐렴균을 R형균에 가하여 배양하면, R형균이 S형균으로 변화되는 현


(○) Streptococcus pneumoniae는 자연적 형질전환을

DNA 수

(○) SOS repair


(○) RecA protein


(○) transposition


(○) excision repair


(○) photoreactivation

SOS repair

(○) 돌연변이 유발에 관여


(○) DNA 복제과정 중 수선


(○) error prone repair system


(×) 람다 파지에 관


) 유전자의 재조합 활성의 감

DNA를 세포 내로 도입하는 방

(○) conjugation


(○) transfection


(○) transduction


(○) transformation


) insertion

접합 conjugation

(○) 한 종류의 Hfr 균주 접합으로 염색체 DNA 대부분이 전달될 수 없


(○) F인자가 숙주의 DNA에 삽입되면 Hfr 균주로 되며 염색체 DNA가 효율적으로 전달


(○) Hfr 세균 형성에는 insertion sequence가 관여


(○) 세균의 염색체지도 작성에는 Hfr 세균이 흔히 사용


(○) F+세균과 F-세균이 접합하면 F-세균이 F+ 세균으로 변


) bacteriophage 매개


) F 인자 자체가 전달되기 위해서는 F+세균 내에서 우선 복제가 완결되어야


) Hfr 균주에서 F-균주에 염색체 DNA가 전달되며, 이 F-균주는 F+로 변환


(×) 염색체는 항상 Hfr 세균에서 F+ 세균으로 전달


(×) Hfr 세균이 F- 세균과 접합하면 F- 세균은 F+ 세균으로 변함

Hfr과 prophage의 공통

(○) 유전자 전달기능을 갖는다.


(○) 세균 염색체에 삽입되어 있다.


) sex pilus를 갖는다.


) phage genome을 갖고 있다.

형질도transduction

(○) 세균의 유전자 지도 작성


(○) bacteriophage의 개입


(○) 특수 형질도입은 phage가 세균 염색체의 특정 부위에 삽입


() 일반 형질도입의 경우 세균 염색체 DNA가 존재 부위와 관계없이 전달


(○) lambda phage는 bio와 gal 유전자를 특수 형질도입


(○) lambda phage가 분리되어 나올 때 genome의 일부를 잃어서 defective phage가 형성


(○) 용원회로에서는 특수 형질도입


(○) 용균회로에서는 일반 형질도입


) 특수 형질도입 전달 빈도는 일반 형질도입에 비해


(×) prophage를 갖고 있는 세균 용해균


(×) 주로 phage의 용균회로에서 특수 형질도


(×) 제한효소와 무관

접합에 의한 세균염색체 지도 작

(○) 접합관을 통해 이동하는 DNA의 길이는 시간당 일정


(○) 세균의 염색체 지도는 유전자가 전달되는 순서에 따라 정해짐


(○) Hfr 균 중에서 F 플라스미드가 특정한 insertion sequence에 삽입된 것을 이용


(×) F' 세균도 유전자 지도 작성에 널리 이용


(×) insertion sequence로부터 먼 위치의 유전자부터 전달

염색체 지도 작성시 사용 가능한 방법

(○) 형질전환
(○) 일반 형질도입
(○) 특수 형질도입
(○) Hfr을 이용한 세균접합

전형적인 방법으로 genetic mapping을 할 때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기술

Hfr을 이용한 세균 접합

S1 nuclease

단일가닥 DNA를 절단하는 효소

역전사효소 reverse transcriptase

(○) mRNA로부터 cDNA 합성시 사용되는 효


(○) T 세포 백혈병이나 후천성면역결핍증을 유발하는 RNA 바이러스의 증식에 필요한 효소

일반 형질도

(○) 숙주 DNA의 아무 부위 전달


(×) lambda phage의 att 부위를 이용

Haemophilus influenzae

특정염기배열을 갖고 있는 DNA만을 흡수

진핵생물의 유전자 클로닝

(○) mRNA를 사용하는 이유는 intron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


(○) 널리 이용하방법은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mRNA로부터의 cDNA를 합성하는 방

DNA 상의 특이 부위를 인식하여 절단하는 효소

(○) restriction enzyme


(×) DNA ligase

클로닝 벡터 cloning vector

(○) 세포 내에서 자율적으로 증식


(○) 외래성 유전자를 삽입할 수 있는 부


(○) 벡터의 존재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표지


) 염색체에 용이하게 삽입


) 대장균에서만 기생

재조합 DNA에서 사용되는 플라스미드 벡

(○) marker가 존재


(○) 만약 삽입된 유전자의 발현이 필요할 때는 삽입할 자리 근처에 강한 프로모터를 함유


(×) 플라스미드 크기가 크면 좋음


(×) 플라스미드 복제 수가 적으면 좋음


(×) 플라스미드는 세포 전체 DNA의 90%까지 증폭 가능

AmpR

암피실린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표현형

Tag polymerase

PCR을 이용한 유전자 증폭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효

출아법 budding

효모의 일반적 증식 방식

교차 내성 cross rsistance

균이 한가지 항균제에 대해 저항성을 획득한 후, 이와 유사한 구조의 다른 항균제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

말단 전이효소 terminal transferase

blunt end을 가진 DNA fragment를 sticky end으로 바꿀 때 사용되는 효소로 주형없이 DNA 중합이 가

제한 효소 restriction endonuclease

유전자 재조합시 유전자 내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절단함으로써 유전자 단편을 만드는데 이용되는 효소

인산화효소 polynucleotide kinase

DNA 5' end labeling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방사능 동위원소로 표지된 γ-32ATP를 oligonucleotide를 붙일 때 사용되는 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