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ffle
    Toggle On
    Toggle Off
  • Alphabetize
    Toggle On
    Toggle Off
  • Front First
    Toggle On
    Toggle Off
  • Both Sides
    Toggle On
    Toggle Off
  • Read
    Toggle On
    Toggle Off
Reading...
Front

Card Range To Study

through

image

Play button

image

Play button

image

Progress

1/660

Click to flip

Use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navigate between flashcards;

Use UP and DOWN arrow keys to flip the card;

H to show hint;

A reads text to speech;

660 Cards in this Set

  • Front
  • Back
  • 3rd side (hint)

Rh- 혈액형 산모가 Rh+ 혈액형 태아를 두번째 임신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태아적혈모구증 산모에게 항-Rh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예방하는 면역의 분

(○) 적응면역-수동면역


(×) 적응면역-능동면역

• 항-Rh 항체 투여는 적응면역-수동면역이다.

항독소 antitoxin

수동면역을 이용한 제제

(○) 특이적 방어기구


(×) 혈청 중에만 존재하고 다른 조직에는 존재하지 않

자연 저항(natural resistance) 또는 비특이적 면역(nonspecific immunity)

(○) 피부


(○) 보체계


(○) 체액 중의 라이소자


(×) 면역 혈청


(×) 림프구


(×) 항

능동 면역 active immunity

(○) 시균의 접종


(○) 생균의 접종


(○) 톡소이드의 주사


) 면역 혈청


) 체액 중의 라이소자


(×) 모체의 초

백신 접종에 의해 영구 면역의 성립이 가능하여 영아에서 백신 접종

(○) 홍


(○) 유행성 이하선


) 성병


) 트라코마

종 특이성 면역

사람에게 전염되는 장티푸스균이나 이질균이 mouse나 guinea pig에 감염되지 않는 선천적 면

자연적 획득 능동 면역 naturally acquired active immunity

(○) 장티푸스와 같이 한 번 감염 후에는 회복되어 면역력을 얻는 것


(○) 사람이 천연두에 걸렸을 때는 영구 면

인위적 획득 능동 면 artificially acquired active immunity

(○) typhoid fever의 예방 접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면역


(○) 백신 접종에서 기대할 수 있는 효


(○) 결핵 예방의 목적으로 BCG를 접종


(○) 소아마비 예방 Salk 백신 주

인위적 획득 수동 면 artificially acquired passive immunity

(○) 일시적으로 신속한 면역을 얻


(○) 디프테리아균으로 면역된 말의 혈청을 분리하여 디프테리아 치

자연적 획득 수동면역 naturally acquired passive immunity

(○) 신생아에게 산모의 초유 수유


(○) 태아가 모체의 항체를 받아 생후 얼마 동안은 면역이 지

수동면역과 능동면역

(능동) Sabin 백신


(능동) BCG 백신


(능동) 장티푸스 백신


(능동) 파상풍 변독소


(능) 디프테리아 변독


(수동) 디프테리아 항독소 혈


(수동) 파상풍 항독소 혈청


(수동) 신생아에게 초유 수유


(수동) 홍역을 앓는 자녀에게 어머니의 혈청을 주사

수동면역 passive immunity

(○) 태아는 모체로부터 항체를 받음


(○) 신생아는 모체의 초유 항체를 받음


(○) 면역 효과 발생이 매우 빠


(○) 다른 생체에 생성된 면역체를 받음


) 받은 항체는 체내에 여러 해 지속


) 미생물 변독소의 주사


(×) 면역이 획득되어 영구히 유지


(×) 생체 내에서 자체 생성되는 면역

골수 bone marrow

각종 면역세포 전구체 및 B세포를 생성하는 1차 면역기관의 기능과 성숙된 림프구들이 자리 잡고 활동하는 2차 면역기관의 기능을 함께 지닌 기관

Toll-유사 수용체 Toll-like receptor, TLR

미생물의 특징적인 분자 패턴을 인식하는 수용체 중 하나로, 선천면역계를 활성화시킴

TLR4

그람 음성 박테리아 유래의 내독소를 특징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TLR

2차 면역 반

(○) 그 항원에 대한 혈중 IgG가 급격히 상


(○) 1차 면역 반응에 비해 고친화성인 IgG가 생


)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데 시간이 더 걸


) 그 항원에 대한 혈중 IgM이 급격히 상승


) 1차 면역 반응에 비해 저친화성인 IgM이 생성

파브리키우스 주머니(bursa of Fabricius)를 제거한 병아리에서 나타나는 특

(○) 혈중 항체의 양이 현저히 감소


(○) 세포성 면역 반응의 큰 변화가 없으나 체액성 면역 반응에서는 현저히 저하


) 혈중 T 세포 수가 현저히 감소


) 알러지 반응의 발생 빈도가 현저히 증가


) 세포 내 기생성 미생물에 대한 방어력이 현저히 감소

1차 면역기

(○) 골수


(○) 흉


) 비장


(×) 림프절


(×) 파이엘 반 (Peyer's patches)

1차 면역기관 설명

(○) 흉선에서 T세포가 성숙된다.


(○) 골수에서 B세포가 생성된다.


(○) 골수에서 조혈 줄기세포가 생성된다.


) 주로 말초에 존재하는 림프절이 해당한다.


) 면역세포가 항원을 처음 만나 적응 면역이 시작되는 곳이.

특이적 면역계 specific immune system

(○) B 세포


(○) T 세


(×) 호중구


(×) 대식세포


(×) 자연살해(NK) 세

대식세

(○) IFN, IL-1, 종양궤사인자(TNF)와 같은 싸이토카인을 생산


(○) 탐식세포


(○) 항원제시 세포


(○) Tumor necrosis factor를 생산


(×) 제1형 과민반응에서 effector cell로 작


(×) 항체분비


(×) CTL 반

자연살해세 NK cell

(○) MHC-비제한적(MHC-nonrestricted) 살해


(○) 선천면역반응


(○) 항체 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 골수계 전구세포에서 분화(○) 종양 세포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


(×) 식작용 (phagocytosis)


(×) 항체생성 (antibody production)


(×) 항원제공 (antigen presentation)


(×) 항원특이적 수용체

B 세포

(○) 체액성 면


(○) 항원 제


(○) B 세포는 T 세포의 도움으로 항체 생산


(○) T 세포의 도움없이 항체 생산 가능함


(×) 세포성 면역

탐식 능력이 강한 세

(○) 대식세포


(○) 호중


(×) T 세포


(×) B 세포


(×) NK 세포

T 세포

(○) 세포성 면역


(○) 리케치아 등 세포 내 기생성 미생물에 대한 방어


(○) 흉선에서 분화 성숙


(○) 진균류, 암세포 등에 대한 면


(○) 바이러스나 진균류에 대해 감수성이 증가하는 면역결핍 환자가 주로 결


(×) 체액성 면


(×) 골수에서 성

흉선 thymus

사람의 T 림프구가 분화 성숙되는 면역기관

골수 bone marrow

사람의 B 림프구가 분화 성숙되는 면역기관

T 세포에 대한 항원제시세포

(○) B 세포


(○) 수지상세포


(○) 대식세


(×) NK 세포


(×) 비만세포

면역 설명

(○) 호중구, 대식세포: 활성산소 종, 활성질소 종을 생산하여 감염된 미생물을 공격한다.


(○) NK 세포: 암세포에 대한 자연살해능을 가진다.


(×) B 세포: 세포성 면역을 담당한다.


(×) T 세포: 체액성 면역을 담당한다.


(×) GM-CSF: 혈액 내 모든 세포와 혈소판의 근원이 되는 세포이.

항원제시세포가 미감작 T 세포에 항원을 제공하고 활성화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

(○) 공동자극 분자


(○) MHC class 분


(×) TNF


(×) IL-2


(×) slg 분

작용 T 세포에 항원제공을 할 수 있는 세

(○) 수지상


(○) 대식세


(○) B 림프구 세포


(×) 호산


(×) NK 세포

림프구 전구세포에서 유래된 면역세

(○) B 세포


(○) 자연살해세


(×) 호산구


(×) 대식세포


(×) 단핵세포

선천 면역계 세포로서 직접적으로 항원을 제공할 수 있는 것

(○) 수지상세포


(○) 대식세포


(×) B 세포


(×) NK 세포


(×) 비만세

숙주세포의 수용체 - 미생물이 보유한 패턴의 종

(○) TLR4 - LPS


(○) TLR9 - 박테리아 DNA


(×) TLR2 - 플라젤린


(×) TLR3 - 세균 DNA


(×) TLR5 - 펩티도글리

염증반응의 원

(○) 조직 손상


(○) 미생물 감염


(○) 항원-항체 복합체 생성


(×) 음식물의 경구 섭


(×) 백혈구의 혈관 외 유

원의 요건

(○) 면역


(○) 특이 반응성


(×) 독성


(×) 음식물의 경구 섭취


(×) 단순한 화학 구

면역원성이 물질 순서

단백질 > 탄수화물 > 핵산 > 지

류코트리엔

염증매개 물질 중 세포막 인지질이 분해되어 생성된 아라키돈산이 lipoxygenase 경로를 거치면 생산되는 물질로서, 혈관 평활근 수축으르 유발하는 것

물질의 면역원

면역원성은 외래성, 분자량, 화학적 특성 및 복잡성, 항원제시세포에 의해 MHC 분자와 함께 제시되는 능력 등의 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

완전항원 complete antigen

완전항원은 항체 생성능과 항원-항체 반응성으르 모두 가지고 있다.

원결정기 epitope

(○) 항원에서 항체가 결합하는 면역활성이 있는 부위


(○) 항체 및 T 세포 수용체에 의해 인지

불완전항원 hapten

(○) 운반체 단백질(carrier protein)과 결합하여 항체 생성 유도


() 그 자체로는 항체의 생성능


(○) 항체와의 결합능


(×) 항원-항체 반응성이 없


(×)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면역 반응

(○) 자체로서는 항체 생산을 유도할 수 없으나, 이미 만들어진 항체와 반응할 수 있는 물질을 불완정 항원이라 한다.


(○) 디프테리아균은 외독소 생성균이다.


(×) 항원의 특이성은 단백질의 지방족기가 나타낸다.


(×) 장티푸스에서 회복되어 임상적 증상은 없어졌으나 장티푸스균을 배설하고 있는 자를 건강 보균자라 한다.

항체의 역

(○) 옵소닌 작용


(○) 바이러스나 세균독소 중화


(○) 항원과 결합


(○) 보체의 활성

항체

(○) 혈청의 분획 중 감마-글로불린


(○) B 세포에서 생성


(○) 면역글로불린 당단백질


(○) 생성에는 조력 T 세포 필요


(×) 모든 항체는 체외로 분비


(×) 각 클래스에 따라서 기능 차이 없

항체의 구

(○) 각 클래스의 면역글로불린은 H 사슬의 불변영역이 서로 다름


(○) 가변영역은 H 사슬과 L 사슬에 모두 존재


(○) 두 개의 H 사슬과 두 개의 L 사


(×) 불변영역으로만 구성


(×) H 사슬끼리 결합하고 L 사슬끼리 결합


(×) H 사슬 두 분자와 L 사슬 한 분자

가변영역, 불변영

(○) 가변영역은 항원결합부위


(○) 가변영역은 여러 항체의 아미노산 배열의 변이가 빈번


(×) 불변영역은 아미노말단 부분


(×) 가변영역은 H 사슬에만 존재하고 L 사슬에는 없음


) H 사슬의 가변영역은 몇 개의 domain, L 사슬의 가변영역은 하나의 domain

항체의 항원결합부

(○) 한 개의 항체에 두 개의 항원결합부위


(○) H 사과 L 사슬이 결합된 부위에 존재


(○) H 사슬의 가변영역과 L 사슬의 가변영역 존재


(×) 항원은 이황화 결합으로 항체에 결합


(×) 불변영역 중에도 초가변영역이 존재

항체 유전자

(○) 한 종류의 가변영역 유전자가 여러 종류의 불변영역 유전자와 조합되어 여러 클래스로 나뉨


(○) H 사슬의 불변영역 유전자는 막형, 분비형 글로불린을 만들어


(○) H 사슬의 가변영역 유전자는 변이를 통해 항원과 잘 결합할 수 있


(×) 여러 종류의 가변영역 유전자가 한 종류의 불변영역 유전자와 조합되어 여러 클래스로 나뉨


(×) H 사슬의 가변영역 유전자는 항체의 클래스를 결정

IgG 구조

(○) 좌우 대칭


(○) 경첩 부분


(○) 경쇄 2 개, 중쇄 2 개


(×) 분비

항체의 Fc 부분 관련

(×) 항원결


(×) 외부물질 중화 여부


(×) 항원과 결합의 특이


(○) 보체결합


(○) Fc 수용체


(○) 옵소닌화


(○) 항체의존적 세포매개성 세포독


(○) 태반 통과 여부


(○) 항체의 분비 여부


(○) class switching

IgG

(○) 면역글로불린의 주된 구성 인


(○) 혈청 내 가장 많이 존재


(○) 긴 혈장 빈감기


(○) 식균작용을 돕는 역


(○) 태반을 통과


(○) 보체 고정 능


(○) 항체 의 75%

IgA

(○) 타액의 주된 항체


(○) 점막 상피세포를 통하여 분비


(○) 이량체로 존


(○) 모유, 침, 눈물, 기관지, 위장관 점막의 외분비물 등에 존재


(○) 분비형 항

IgM

(○) 일차 면 반응에서 최초 생성


(○) 항원 주사후 처음 1 주일간 생산됨


(○) 신생아에서 처음 생성되는 항체


(○) 점막 내에 분비형은 5량체 구조


(○) 전체 혈청 면역 글로불린의 약 10%


(○) 보체 활성화


(○) 타액, 분비액에도 존재


(○) 항원결합부위 10 개


(○) 분자량 항원 결합력 높음


(○) 단량체 IgM은 B 세포의 세포막에 결합


(×) 혈관 밖 체액에 가장 많이 존재


(×) 단량체 IgM는 주로 혈액에 존재


(×) 즉시형 과민반응 유


(×) 태반 통과


(×) 알러지 반응에 주된 역할


(×) 면역글로불린 전체의 75%


(×) 혈청 농도는 항체 중 가장 낮

IgE

(○) 알러지 반응에 중요


(○) 건초열, 천식, 두드러기, 아나필락틱쇼


(○) 호염구나 비만세포 Fc 수용체에 결합


(○) 제1형 과민반


(○) 즉시형 과민반응


(○) 탈과립 현상 유


(×) 5량체 구조


(×) 2차 면역반응


(×) 태반 통과


(×) 보체 활성화


(×) 점막에서 분비


(×) 성숙한 B 세포 결합

IgD

(○) 혈청 중 극소량으로 존재


(○) 성숙한 B 세포 표면에서 항원에 대한 수용체로 작용

단일클론항체 mAb

(×) 항원의 생


(○) 진단시약


(○) 수동면역


(○) 면역독

디프테리아에 대한 면역독소를 만드는데 이용되는 대표적 물질

(○) 단일클론항


(○) 디프테리아 독소 A chain


(×) 항체의 Fc 분획


(×) 아플라톡신

콜레라 항혈청과 콜레라균을 혼합하여 모르모트의 복강 내에 주사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

용균작용

산양의 적혈구로 면역한 집토끼의 혈청과 산양의 적혈구를 혼합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

용혈작용

백혈구에 세균에 대한 면역 혈청을 가하고 거기에 세균액을 혼합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

식균작용

치료에 사용되는 독소-항독소 반응

(○) 파상풍 항혈청


(○) 가스괴저 항혈청


(○) 디프테리아 항혈


(×) AIDS 항혈청


(×) tuberculin 항혈청

보체 결합 반응

(×) indicator system 열처리혈청


(×) 항원-항체 반응 없으면 용혈반응 없음


(○) 감작 혈구(sensitized cell)용혈소(항체)와 결합한 적혈구

효소면역측정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 효소를 사용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검출


(○) Horse radish peroxidase


(○) 효소가 결합된 항체를 이용한 발색


(○) 항원의 존재를 매우 정밀하게 확인, 정


(○) 임질 진단에 이용되는 gonozyme test


(×) 면역침강 (immunoprecipitation)

항원-항체 반응에 근거한 항원 항체의 정량, 정성 반

(○) ELISA: 효소인 horse radish peroxidase(HRP)를 사용하여, 항원의 존재를 매우 정밀하게 확인 및 정량할 수 있다.


(○) 유세포분석법: flow system을 만들어 이러한 흐름 속에 레이저광선을 비추어서 세포로부터 방사되는 산란광, 형광을 분석하여 세포의 특성을 알아낸다.


(×) 침강반응: 면역독소를 이용하는 반응이다.


(×) 응집반응: 효소가 결합된 항체를 이용한 발색반응이다.


(×) RIA: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항체를 정량하는 방법으로 감수성이 떨어진다.

유세포분석법 flow cytometry

세포를 액중에 부유시켜 정밀하게 집약된 레이저광 속을 통과시키면서 산란한 레이저광 또는 형광을 분석함으로써, 세포의 특성을 신속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면역학적 분적 기법

정상 혈청이 식균작용을 촉진하는 과정

(×) chemotaxis


(○) opsonization

보체의 기

(○) 병원균의 용균


(○) 옵소닌으로 작용


(○) 보체경로 활성화


(○) 면역복합체의 제


(×) 바이러스 탈피 촉


(×) 제4형 과민반

보체계의 대체 경

(×) 특이적 면역 반응


(×) 항원-항체 반응 필수


(○) 항체가 관여하지 않


(○) 박테리아, 곰팡이를 용균 또는 식균


(○) 혈액 효소에 의해 C3가 C3a와 C3b로 나뉘는 것이 시작


(○) C3b가 박테리아의 외막 성분인 지질다당류와 결합

주조직적합성복합체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 조직이식거부반응에 관여


(○) class I, class II, class III 3가지


(○) T 세포의 항원 인지 과정에 필요


(×) T 세포의 항원 특이성 수용체

MHC class II

(○) 조력 T 세포가 인


(○) 외인성 항원 결합


(○) 두 개의 폴리펩티드


(○) α사슬과 β사슬 모두 세포막 관통


(○) 항원제시세포(APC)


(×) 거의 모든 세포에 발현


(×) 세포독성 T 세포가 인지


(×) 내인성 항원과 결합


(×) 독소의 중화


(×) 대식세포에 의한 항원 탐식


(×) 공동자국분

MHC class I

(○) 세포독성 T 세포가 인지


(○) 내인성 항원 결합


(○) 거의 모든 세포에 발현


(×) 같은 크기의 peptide chain

보체계의 구성

(×) FcR


(○) C3


(○) Factor B


(○) properdin

T 세포 표면 MHC 분자에 결합한 펩티드 항원을 인식하는 데 관여하는

(○) TCR


(○) CD3


(×) Fc receptor


(×) C2b receptor


(×) IL-2 receptor

조력 T 세포의 항원 인

(○) TCR을 통하여 항원과 결합


(○) MHC 분자와 결합한 펩티드 인식


(○) 항원제시세포가공처리 항원 인


(×) slg를 이용하여 항원과 결합

조력T 세포에 발현하는 표면항원(surface antigen/surface marker)

(○) CD3


(○) CD4


(○) TCR


(×) CD8


) Fc receptor


) MHC class II

세포독성 T 세포에 발현되는 세포 표면분자

(○) CD3


(○) CD8


(○) IL-2


(×) CD4


(×) Fc receptor

림프구의 활성화-유도성 사멸 및 CTL-매개 세포 독

세포자멸사(apoptosis) 현상 관련

B 세포, T 세포

(○) 일반적으로 T 세포의 수명이 B 세포의 수명보다 길다.(○) B 세포는 특수한 항원에 대해서는 T 세포의 도움 없이도 항체를 생산할 수 있다.


(×) B 세포역할은 탐식 작용이다.) 주로 흉선에서 B 세포 분화된다.


) B 세포가 항체 생산의 필요성을 결정하면 T 세포에 지시가 내려져 생성된다.

B 세포의 성

(○) 미성숙 B 세포는 골수에서 발견된다.


(○) 성숙 B세포는 말초조직에서 발견된다.


(○) 성숙 B세포는 표면에 IgM과 IgD를 동시에 발현한다.


(×) 미성숙 B 세포는 표면에 IgM과 IgD 중 하나만을 발현한다.


(×) 미성숙 B 세포는 항원 의존적이나 성숙 B 세포는 항원 비의존적이다.

싸이토카인

(○) IL-2


(○) TNF


(○) IL-1


(○) tumor necrosis factor


(×) C5a


(×) sIg


(×) gonadotropin


(×) human growth hormone

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자극인자 GM-CSF

과립구와 대식세포의 성장을 자극하며, 항암제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백혈구감소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인터루킨-10 IL-10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어 대식세포의 기능을 억제하는 음성 되먹임 작용을 수행하는

종양괴사인자-베타 TGF-β

조절 T 세포에 의해 생산되며 T 세포의 증식과 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 싸이토카

인터페론-감마 IFN-γ

Th1 세포의 특징적인 싸이토카인으로서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고, T 세포의 Th1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한편 Th2 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인터페론-알파 IFN-α

(○) MHC class I 분자 발현시킴


(○) 바이러스의 핵산에 의해 유도됨


(×) 항암 효과


(×) 주로 T 세포와 같은 림프구에서 생산


(×) T 세포 Th1 세포로 분화 촉진

• 인터페론-감마(IFN-γ)는 주로 Th1 세포에서 생산되는 싸이토카인으로서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고, T 세포의 Th1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한편 Th2 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한다.

싸이토카인 기능

(○) TNF: 주로 급성 염증반응을 매개하며 중증 감염증의 전신적 합병증의 원인이 된다.


(○) IFN: 바이러스 감염시 세포가 분비하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단백질로서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각결막염 치료에 이용된.


) G-CSF: 대식세포의 성장을 돕는다.


(×) IL-2: 항암제의 부작용인 백혈구 감소증을 치료할 수 있다.

인터루킨-2 IL-2

(○) T 세포 증식 촉진 및 활성


() B 세포 활성


() 흑색종과 신장암의 면역치


) 상처 치유 촉진


(×) hematopoiesis 촉진


(×) TNF와 작용기전이 일치함


(×) 골수에서 면역세포의 생성을 증가시킴

종양괴사인

(○) 혈관 내피세포를 활성화시킨다.


(○) 주된 생성세포는 활성화된 대식세포이다.


(○) 감염 부위로 호중구와 단핵구 등을 불러모으고 활성화시킨다.


(×) 주로 만성 염증반응을 매개한다.


(×) MHC class I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단일클론항체 치료제 중 종양괴사인자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 etanercept (Enbrel)


(○) infliximab (Remicade)


(×) rituximab (Rituxan)


(×) omalizumab (Xolair)


(×) bevacizumab (Avastin)

면역반응 및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싸이토카인

(○) 인터루킨-10


(○) 전환성장인자 (TGF)


(×) 림포톡신


(×) 인터루킨-12


(×) 인터루킨-13

라이소자임

피부 및 눈에는 라이소자임이 분비되어 항균 작용을 한다.

세포독성 T 세포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 등을 MHC 분자와 연관하여 특이적으로 인식, 살해할 수 있다.
HIV의 주요 표적세포
(×) CD8+ 세포

(○) CD4+ 세포

호중구
(×) 항체를 생산하여 세포외 기생성 미생물에 대한 방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면역세포

(○) 혈액에서 감염부위로 가장 먼저 이동하는 세포이며, 항체나 보체에 의해 옵소닌화된 미생물을 인지, 탐식

• B 세포는 항체를 생산하여 세포외 기생성 미생물에 대한 방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immunotoxin
항체에 독소를 결합시켜 표적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에 특이적으로 독성을 나타낸다.

항바이러스성 싸이토카인

(○) interferon-α


(○) interferon-β


(×) tumor necrosis factor-α


(×) colony stimulating factor


(×)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는 감염부위로 호중구와 단핵구 등의 이동 및 활성화를 통해 미생물을 제거하고, 급성 염증반응을 매개하면 중증 감염의 전신적 합병증(패혈성 쇼크)의 원인이다.


• 콜로니자극인자(colony stimulating factor)에는 대식세포-콜로지자극인자(CSF1), 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자극인자(CSF2), 과립구-콜로니자극인자(CSF3)가 있다.


• 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β)는 면역 및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조절 T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나, Th1과 Th2의 분화를 억제하고, IgA를 생성시킨다.

외독소를 생성하는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방어 기전
(×) IgE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병원균을 제거해야 한다.


(○) 독소를 중화시켜야 한다.


(○) 독소가 숙주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

•IgE는 건초열, 천식, 두드러기, 아나필락시스 쇼크 등 알러지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항체 제제

(○) 디프테리아 항혈청


(○) trastuzumab (Herceptin)


(×) Dick toxin


(×) Variola virus


(×) Diphtheria toxoid

•Dick toxin은 용혈성연쇄상구균 독소로 성홍열 진단에 이용한다.


•Variola(천연두, small pox) virus는 인간이 최초로 퇴치한 바이러스이다.


• Diphtheria toxoid(디프테리아 변독소)는 디프테리아 독소를 불활성화시킨 것이다.

변성독소 toxoid
(○) 면역성은 있지만 독성은 없다.

(○)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신에 사용된다.


(×) 독소에 대한 중화항체이다.


(×) 1회 접종만으로도 충분한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추가 접종 없이 장기간 면역력이 지속된다.

• 항독소(antitoxin)는 독소에 대한 중화항체이다.


• DPT 백신에서 Diphtheria, Tetanus는 변독소이고, Pertussis는 사균백신인데, 생후 2, 4, 6, 15-18개월 추가접종을 권고한다.

불활성화 독소(변성독소)

(○) Diphtheria toxoid


(○) Tetanus toxoid


(×) typhoid 백신


(×) BCG


(×) Salk 백신


(×) Sabin 백신


(×) influenza 백신


(×) 일본뇌염 백신


(×) 홍역 백신

• 장티푸스(typhoid) 백신은 불활성화 백신(사균백신)이다.


• 결핵 백신(BCG)은 우형결핵균의 약독화 생백신이다.


• Salk 백신(소아마비 백신)은 불활성화 백신(사균백신) 주사제이다.


• Sabin 백신(소아마비 백신)은 약독화 생백신 경구제이다.


• influenza 백신은 불활성화 백신(사균백신)이다.


• 일본뇌염 백신은 불활성화 백신(사균백신)이다.


• 홍역 백신은 약독화 생백신이다.

사균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 Salk 백신

약독화 생백신

(○) Sabin 백신
(○) 홍역 백신


(○) BCG


(○) 이하선염(mumps) 백신


(○) 로타바이러스 백신


(○) Varicella 백신


(×) Salk 백신


(×) 독감 백신


(×) B형 간염 백신


(×) 콜레라 백신


(×) 디프테리아 백신


(×) DPT 백신


(×) 장티푸스 백신

• Salk 백신(소아마비 백신)은 불활성화 백신(사균백신) 주사제이다.


• influenza 백신은 불활성화 백신(사균백신)이다.


•B형 간염 백신은 바이러스 표면 항원을 이용한 서브유닛 백신이다.


• 콜레라 백신은불활성화 백신(사균백신)이다.


• 디프테리아 백신은 변성독소이다.


• DPT 백신에서 Diphtheria, Tetanus는 변독소이고, Pertussis는 사균백신이다.


•장티푸스(typhoid) 백신은불활성화 백신(사균백신)이다.

사백신 설명

(○) 불활성화된 백신이다.


(○) 면역유도성이 약하여 통상적으로 추가접종이 필요하다.


(×) 냉장보관이 반드시 필요하다.


(×) 균주의 병원성 회복의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다.


(×) 자연 감염처럼 작용하여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 약독화 생백신은 냉장보관이 반드시 필요하며, 균주의 병원성 회복의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고, 자연 감염처럼 작용하여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경구 투여 백신
(○) Sabin 백신

(×) Salk 백신


(×) 광견병 백신


(×) 홍역 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 DPT 백신

DPT 백신과 관계있는 미생물
(○) 디프테리아균

(○) 백일해균


(○) 파상풍균


(×) 결핵균

디프테리아 백신의 형태

침전시킨 변성 독소

Streptococcus pneumoniae 백신의 형태
협막 다당류
폐렴 폐구균의 협막 다당류인 specific soluble substance III 주성분
(○) glucose

(○) glucuronic acid

단위백신 (subunit vaccine)
(○) B형 간염 백신
(○) 폐렴 쌍구균 백신

(○) 백일해 백신


(×) 인플로엔자 백신


(×) 홍역 백신

불활성화 폴리오 백신(IPV)과 경구 폴리오 백신(OPV)

(○) OPV는 폴리오바이러스의 정상 침투 경로인 소화기로 투여한다.


(○) OPV는 일종의 약독화 백신이다.


(×) IPV는 1회 주사로도 완전한 예방 효과가 있다.


(×) IPV는 병원성 균주로 변이될 위험이 있다.

광범위한 접종을 통하여 만성 간염 및 간암 발병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백신
(○) B형 간염 백신

(×) DPT 백신


(×) BCG 백신


(×) 소아마비 백신


(×) A형 간염 백신

유전공학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B형 간염 백신에서 백신 항원으로 사용되는 것

(○) HBs 항원


(×) HBe 항원


(×) HBc 항원


(×) Delta 항원


(×) 당단백질-D

DPT 백신

(×) 약독화시킨 디프테리아균, 백일해 균 및 파상풍균의 혼합물이다.


(○) 15-18개월에 추가 접종을 권고한다.


(○) 출생 후 2, 4, 6개월에 대한 예방 접종을 말한다.


(○) 디프테리아, 백일해 및 파상풍에 대한 예방 접종을 말한다.

협막다당체를 정제하여 백신으로 사용하는 균
(○) Streptococcus pneumoniae

(○) Haemophilus influenza type B


(×) Staphylococcus aureus


(×) Neisseria gonorrhoeae


(×) Neisseria meningitidis


(×) Streptococcus pyogens (Group A Streptococcus)

면역보조제

(○) 면역 억제적 환경을 극복하도록 돕는다.


(○) 암백신의 효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 면역원성이 낮은 물질에 대한 면역반응을 증강시킨다.


(×) 백신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한다.


(×) 치료용 백신과 병용시 효과가 있으나, 예방용 백신과 병용시에는 효과가 없다.

천연두 백신

(○) 소에 감염되는 바이러스 종으로 사람에 1786년에 처음 사용되었다.


(○) 이 백신의 사용으로 관련 질병이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1979년 공식적으로 박멸되었다고 선언되었다.


(×) 불활성화 백신의 일종이다.


(×) 항원제시 시간을 늘린다.



DNA 백신

(○) 접종 경로는 주로 근육주사를 하게 된다.


(○) 체액성 면역반응과 세포성 면역반응의 유도가 동시에 가능하다.


(○) 숙주세포에서 유전자가 발현되어 항원 단백질이 생산되도록 한다.


(○) 항원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서열을 플라스미드에 삽입하여 제형화한 것이다.


(×) 이미 공중보건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 투여된 DNA는 숙주세포의 염색체와 통합되어야만 효과가 나타난다.

Sabin 백신

약독화시킨 바이러스로 경구 투여하는 예방약

BCG 백신

우형 결핵균을 약독화시켜 만든 예방약

디프테리아 항혈청

수동면역을 부여하는 생물학적 제제

어린이 구강을 통해 감염된 후 혈류를 통해 중추신경계로 이행하여 척수 신경의 파괴와 연수의 마비를 가져오는 바이러스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면역 요법 두 가지

(○) 약독화 생백신(attenuated live vaccine) 주사
(○) 불활성화 사백신(inactivated or killed vaccine) 주사

호흡기 감염으로 폐렴 증상이 빈번히 유발되는 소아에게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이나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면역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 면역 요법 두 가지

(○) 협막 다당체 백신(capsular polysaccaride vaccine) 주사
(○) 접합 백신(conjugate vaccine) 주사

5세 어린이가 놀이터에서 놀다가 피부에 깊은 창상을 입고 입원하였는데, 어릴 때 3회 DPT 접종을 완료하지 못한 상황이라 파상풍균 감염이 우려될 때, 가장 흔히 사용할 수 있는 면역요법 두 가지

(○) 변성독소(toxoid) 주사
(○) 항독소 면역글로불린(antitoxin immunoglobulin) 주사

외인성 인자에 대한 면역계의 방어 기능이 지나치게 항진된 경우 발생하는 증상

(○) 알러지


(×) 종양


(×) AIDS


(×) 감염증


(×) 자가면역성 질환

IgE가 관여하는 제1형 과민반응

(○) 기관지 천식


(○) 알러지성 비염


(○) 식품에 대한 알러지


(○) 아나필락시스


(×) 투베르쿨린 반응


(×) 류머티스성 관절염


(×) 획득 면역


(×) 체액성 면역


(×) 자가면역 질환

제1형 과민반응
(○) 항원에 감작된 비만세포에서 유리된 히스타민에 의해 반응이 진행된다.

(×) 지연형 과민반응이다.


(×) 제1형 과민반응의 예로 류머티스성 관절염, 전신홍반성 루푸스 등이 있다.


(×) 반응 유발은 5-8시간 걸린다.


(×) IgG를 매개체로 한다.

제1형 과민반응 치료방법

(○) 약물로써 항히스타민제, 테오필린, 코르티손 등이 사용된다.


(○) 항 IgE 단일클론 항체를 주사하면 혈청 내 IgE 농도를 낮추어 알러지 치료에 효과가 있다.


(○) 저감작 면역치료법은 원인 알러젠을 소량씩 점점 투여량을 늘려가며 반복 주사하는 방법이다.


(×) 크로몰린의 작용은 비만세포 내의 고동노 cAMP를 유지하여 탈과립화를 억제한다.

페니실린 알러지(type 1 hypersensitivity)의 발병 요인

(○) 비만세포


(○) IgE


(×) 히스타민


(×) IgG

아토피성 과민반응이 진행될 때 IgE의 Fc fragment가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
(○) 비만세포

(○) basophil


(×) CD4+ T 세포


(×) CD8+ T 세포


(×) erythrocyte


(×) 수지상세포

제1형 국소 과민반응

(○) 알러지


(○) 천식


(×) 아나필락시스


(×) 획득 면역


(×) 체액성 면역


(×) 자가면역 질환

•아나필락시스는 전신성 제1형 과민반응이다.

아나필락시스

(○) 전신성 제1형 과민반응


(○) 감작된 동물에 사용하였던 동일항원을 다시 주사함으로써 일어나는 격렬한 반응


(×) 국소성 제1형 과민반응


(×) 항원을 1차 주사하여 얻은 획득 면역


(×) 항혈청을 반복 주사하여 얻은 획득 면역


(×) 항원의 1차 주사로 일어나는 격렬한 반응

보체가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과민반응
(○) 제2형 과민반응 (항체매개 세포독소형)
(○) 제3형 과민반응 (면역복합체형)
항체가 직접 관여하지 않는 과민반응
제4형 과민반응 (지연형)

과민반응

(○) Arthus's 반응


(○) Tuberculin 반응


(○) Anaphylaxis 반응


(○) 태아적혈모구증


(×) AIDS


(×) DiGeorge 증후군

지연형 과민반응 (delayed-type hypersnsitivity)
(○) 투베르쿨린 반응

(○) 접촉성 피부염


(×) 용혈성 빈혈


(×) 페니실린 알러지

투베르쿨린

(○) 과민반응


(○) 결핵균 배양 여과 농축액
(×) 용혈반응


(×) 중화반응


(×) BCG 접종균


(×) 결핵균의 사균

니켈이나 각종 염색약의 주성분과 같이 대부분 작은 분자들이 피부 단백질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유발되는 질환과 이 질환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

(○) Th1 세포


(○) 접촉성 피부염


(×) Th2 세포


(×) IgE


(×) 비만세포


(×) 태아적모구증


(×) 아나필락시스

제3형 과민증
면역복합체에 의해 조직 손상이 유발된다.

제4형 과민증

아르투스반응 (Arthus's reaction)

혈청 주사 후 수 일 또는 수 주만에 나타나는 혈청병의 원인
(○) 면역 복합체

(×) IgE


(×) Th1


(×) CTL


(×) 알러지 항원


(×) 세포 표면 항원에 대한 IgM

전신성 제3형 과민반응
(○) 혈청병 (serum sickness)

(○) 아르투스반응 (Arthus's reaction)


(×) 천식(asthma)


(×) 접촉성 피부염 (contact dermatitis)


(×)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


(×) 태아적혈모구증(erythroblastosis fetalis)

혈청병

(○) 면역 복합체


(○) 사구체신염
(×) IgE


(×) Th1 세포


(×) 접촉성 피부염


(×) 아토피성 두드러기


(×) 세포 표면 항원에 대한 IgM

전신성 제3형 과민반응
(○) 혈관염

(○) 관절염


(○) 혈청병


(○) 사구체신염


(×) 아토피성 피부염


(×) 아나필락시스

혈청병 (serum sickness) 관련 관절염의 면역학적 발병원인과 같은 것

(○) 혈관염


(○) 사구체신염
(×) 천식


(×) 음식물 알러지


(×) 투베르쿨린 반응


(×) 아르투스 반응

페니실린에 대한 알러지 등의 제1형 과민반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 IgE


(○) 비만세포


(×) IgG

제3형 과민반응

(○) 면역 복합체에 의한 반응이다.
(○) 보체의 활성화 과정이 중요하다.
(○) 손상 부위는 면역 복합체가 축적되는 부위에 따라 결정된다.
(○) 국소적인 면역 복합체의 형성에 의해 아르투스 반응을 일으킨다.


(×) Th1 세포에 의해 일어난다.
(×) 비만세포에 있는 FcεRI의 교차 결합에 의해 탈과립이 일어난다.

병변 부위에 대식세포가 대량 침윤하는 것이 특징인 과민반응

(○) 지연형 과민반응


(○) 투베르쿨린 반응


(×) 신생아 용혈병

Rh 인자와 관계 깊은 것

(○) 제2형 과민반응


(○) 신생아 용혈성 질환


(×) Dick 반응


(×) Mantoux 반응


(×) 투베르쿨린 반응


(×) 즉시형 과민반응

태아적혈모구증(erythroblastosis fetalis)을 일으키는 것
IgG, Rh(-)형

조절 T 세포가 분비하여 면역 억제 기능을 하는 싸이토카인

(○) interleukin-10


(○)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 interferon-γ


(×) cold agglutinin


(×) tumor necrosis factor-α


(×)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조절 T 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것

(○) Foxp3


(○) IL-10


(○) TGF-β
(×) T-bet


(×) IL-5


(×) TNF-α

자가면역 질환 - 표적세

(○)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 췌장의 베타 세포


(○) 자가용혈성 빈혈증 - 적혈구 막 단백


(×) Hashimoto 갑상선염 -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용체


(×) Grave 갑상선증 - 갑상선 세포, 갑상선 단백

장기 특이적 자가 면역질

(○) 하시모토 갑상선염 (Hashimoto's thyroiditis)


(○) 중증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 인슐린 의존성 당뇨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 굿패스처증후군 (goodpasteur's syndrome)


(×) 류마티스성 관절염 (rheumatioid arthitis)


(×) 전신홍반성 루푸스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전신홍반성 루푸스 (SLE)

(○)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이다.


(○) 자가 DNA 항체가 검출된다.


(○) 전신성 제3형 과민반응이다.


(○) 면역복합체의 축적이 원인이다.


(○) 20-40대 여성에서 주로 나타난다.


(○) 광범위한 조직항원에 대한 항체가 생성된다.


(○) 열, 관절염, 피부발진, 신장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난.


(×) Th1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혈중 IFN-γ의 양이 정상보다 높.


(×)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가능성이 높다.


(×) 서구지역에서 가장 흔한 신경장애질환이다.

갑상선에 나타날 수 있는 자가 면역질

(○) 하시모토 갑상선염


(○) 그레이브스


(×) 전신홍반성루푸스


) 쇼그렌 증후군


) 굿패스처 증후

수용체에 대한 자가 항체의 자극이나 방해에 의한 자가 면역질

(○) 그레이브스병


(○) 중증근무력


(×) 다발성 경화증


) 하시모도 갑상선염


) 인슐린 의존성 당뇨

조직이식거부반응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면역 억제

(○) tacrolimus


(○) rapamycin


(○) prednisolone


(○) cyclosporin A


(×) levamisole


(×) omalizumab

사이클로스포린의 사용

(○) 자가 면역 질환의 치


(○) 동종이식편 거부면역반응 억제


(×) 천식 치료


) 간암 치료


) 박테리아에 대한 감염 치료


) C형 간염 바이러스 감

FK506

(○) 이식거부 반응 및 자가 면역질환의 치료에 이


(○) NFAT 전사요소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T 세포의 싸이토카인 생산을 차단


) mTOR 억제제


) 임파구 전구세포의 증식을 차단


) IL-2 신호 전달을억제하여 임파구 증식을 차단


(×) 대식세포의 싸이토카인 분비를 억제하여 염증을 감

이식편대 숙주반

(○) HLA (human leukocyte antigen)


(○) CTL (cytotoxic T lymphocyte)


(×) type 1 hypersensitivity


(×) autoimmunity

강력한 T 세포 표적 면역억제

(○) FK506


(○) cyclosporin A


(×) BCG


) 5-FU


) adriamycin


) cyclophosphamide

사람의 혈액형 항

(○) 정상 동종 항


(○) 적혈구 표면에 발현하는 Rhesus 항원이 표적항원


(○) 적혈구 표면에 발현하는 glycosphingolipid가 항원


(×) 정상 이종 항체


(×) 면역 이종 항체


(×) 면역 동종 항체

anti-A 항체를 포함하는 것

(○) B형의혈액


(○) O형의 혈액


(×) A형의 혈


(×) AB형의 혈액


(×) Rh형의 혈

ABO식 혈액

(○) O형은 수혈 시 만능 공여자이다.


(○) AB형은 수혈시 만능 수용자이다.


(○) 응집반응으로 혈액형을 판단할 수 있다.


(×) 장기이식 시 혈액형에 대한 고려는 불필요하다.


(×) Rh(-)형 산모의 첫 태아는 태아적혈모구증에 대한 치료를 해야 한다.

A형에게 수혈해 줄 수 있는 혈액

(○) A형


(○) O


(×) AB형


(×) B형

(○) A형인 사람은 A형과 O형의 사람에게서만 수혈을 받을 수 있다.


(○) O형인 사람은 O형의 사람에게서만 수혈을 받을 수 있다.


(×) AB형인 사람은 A형, B형, AB형인 사람에게서만 수혈을 받을 수 있다.


(×) B형인 사람은 B형인 사람에게서만 수혈을 받을 수 있.

AB형의 혈구 응집반응을 보이는 혈청

(○) 항 A형 혈청


(○) 항 B형 혈청


(×) 항 Rh형 혈청


(×) 어떠한 혈청과도 응집반응을 보이지 않

ABO식 중 O

(○) 항-A 항체


(○) 항-B 항체


(×) 응집소 없음


(×) 태아적혈모구증


(×) 만능 수용자

태어나자마자 흉선(thymus)을 제거한 생

(○) 감염질환의 발병이 잦다.


(○) 비장의 T세포 영역이 쇠퇴해져 있다.


(×) 혈중 림프구의 수가 증가된다.


(×) 조직이식 거부반응을 더 잘 일으킨다.


(×) 곰팡이나 원충류의 감염에 대한. 면역력이 높다.


(×) 항원에 대한 항체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환

(○) 발암율 증가


(○) 조력 T 세포의 선택적 파


(×) 혈중 항체 농도의 저하


(×) 대식세포의 탐식력 저하


(×) 조절 T 세포의 선택적 활성화


(×) 세포독성 T 세포의 선택적 파

선천적 T 세포의 감소 증

(○) DiGeorge 증후군


(○) Adenosine deaminase(ADA)의 결함


(○) Recombinase activating gene(RAG)의 결함


(×) X-연관성 감마글로불린결핍증


(X-linked agammaglobulinemia)


(×)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파브리키우스 주머니가 제거된 병아

(○) B 세포의 결핍


(○) 혈중 항체의 결


(×) T 세포의 결핍


(×) 중증복합면역결핍증


(×) 혈중에 IgM 항체가 과다 분비됨


(×) 특정 항원을 인지하는 T 세포의 과다증

HIV가 조력 T 세포에 감염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표면분

(○) CD4


(○) gp120


(×) CD3


(×) IL-2


(×) gp41


(×) Fc receptor

석탄산(페놀) 계수

석탄산이 살균력을 나타내는 희석도와 소독약이 살균력을 나타내는 희석도의 비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로 공기를 여과하여 공기중의 0.3 um 크기의 입자를 99.97% 걸러냄

소독약 효력 검정의 표준물질

페놀 (phenol)

소독제의 작용은 미생물의 종류, 생리 상태, 약제 종류, 약제 농도, pH, 공존 물질 등 많은 요인에 의해 좌우되는데, 일반적으로 그 역가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것

석탄계수 (페놀계수)

과거에 임균에 의한 신생아 눈 감염증 예방에 점안제로 이용되었던 은 화합물

질산은

소독약의 효력을 검정하는 조

20℃의 항온조에서 표준 [(가)](와)과 소독약의 각종 농도 희석액을 각각 10 ml로 하고, [(나)]액을 1 ml씩 혼합하여 2.5, 5.0, 10, 15분마다 1 백금이를 취하여 액체배지에 이식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균이 사멸하는 희석 배수를 비교한다.


(가): 석탄산액


(나): 장티푸스균

(○) 방역 수단으로 이용된다.


(○) 완전 무균 상태는 아니.


(○) 병원 미생물을 사멸하여 그 감염력을 잃게 하는 것이다.


(×) 포자에도 효과적이다.


(×) 비병원 미생물에 대한 살균 작용도 강력하다.

페놀 계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미생

(○) Salmonella typhi


(○) Staphylococcus aureus


(×) Clostridium tetani


(×) Mycobacterium tuberculosis

가스 소독약

(○) 에틸렌 옥사이드 (ethylene oxide)


(○) 베타-프로피올락톤 (β-propiolactone)


(×) 클로락스 (chlorax)


(×) 머치올레이트 (merthiolate)

실제적 응용 - 소독제 - 기전

(○) 의류.침구 소독 - 포르말린 가스 - 단백질 활성기 저해


(○) 건물 내부 소독 - 포르말린 가스 - 단백질 활성기 저해


(○) 위험물의 소독 - 3~5% 크레졸 비누액 - 세포질막 기능 장


(×) 하수, 화장실 소독 - 표백분 - 세포질막 기능 장애


(×) 수지 소독 - 3~5% 크레졸 - 세포질막 기능 장애

크레졸같은 페놀성 소독제 기구는 3-5%, 수지2%, 상처 1%, 질세척 0.2%로 허가되었다.

변독소를 만드는 약

(○)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 포름산 (formic acid)


(×) 역상 비누


(×) 헥사클로로펜 (hexachlorophen)


(×)나프토퀴논 (methyl naphthoquinone)

백신 등의 생물학적 제제의 방부

(○) 페놀 (phenol)


(○) 머치올레이트 (merthiolate)


(○)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 페닐초산수은 (phenylmercuric acetate)


(×) 크레졸 (cresol)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는 여과

(○) 열에 약한 용액상태의 물질에서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 여과지를 이용해 의약품, 안약, 배양액, 유액, 항생제 등 열에 약한 용액을 멸균한다.


(×) 물체를 직접 화염에 접촉시켜 표면에 붙어있는 미생물을 태워 죽이는 방법이다.


(×) 인공적으로 260~280 nm 파장의 자외선 살균 등을 이용하여 가열과 소독약에 의한 살균이 불가능한 경우 이용한다.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는 물리적 방

(○) 저온살균(pasteurization)은 62.8℃에서 30분간 살균하는 방법이다.


(○) 간헐멸균(fractional sterilization)은 30분간 3일 동안 살균하는 방법이다.


(○) gamma-ray 조사는 60Co를 이용하여 항생제, 호르몬, 고기 등을 멸균하는데 사용된다.


(○) 고압살균(high pressure steam sterilization)은 121℃에서 15lb/in²로 15분간 살균하는 방법이다.


(×) 자외선조사(ultraviolet radiation)는 액체상태의 물질에 사용할 수 있다.

UV의 경우 보통 기구를 멸균할 때 사용하나, 액체상태에는 효율이 낮아 잘 사용하지 않는다.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 액체배지 희석법에 의해 최소성장 억제농도를 측정


(○) 반드시 사용한 미생물의 종, 균주명, 측정 조건을 표시


(○) 정균작용 있는 항생물질도 MIC 값보다 훨씬 높은 농도에서는 살균작용을 나타

MBC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 최소살균농도


(×) 항생물질의 활성의 강도는 반드시 MBC로 표시


(×) MBC 값이 MIC 값보다 3단계 이상 높으면 살균작용 있다고 판단함

균의 내성

균이 항생물질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성질

교차내성 cross-resistance

균이 한 가지 항생물질에 대해 저항성을 획득한 후 다른 약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나타내는 성질

화학요법제나 광범위 항생물질을 오랫동안 투여한 결과 일어나는 증

(×) 면역력 증


(○) 균교대증


(○) 칸디다증


(○) 비타민 결핍증


(○) 내성균 출현


(○) 알러지 증

항생물질의 약제 내

(×) 약제 내성은 균교대증 때문에 일어난다.


(○) 약제 내성은 2종 이상의 약제를 병용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 미생물이 약제로 인하여 유전적 변이와 순응을 가져오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 약제 내성은 접합, 형질전환, 형질도입 등에 의하여 전달된다.

항생제의 다제내성 발생에 연관된 플라스미

(×) 형질도


(○) R-플라스미드 (R-plasmid)


(○) 접합 (conjugation)


(○) Shigella


(○) 장내세균 (Enterobacteriaceae)

항생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이 가장 많은 목명은?
actinomycetes

균교대

(×) primary infection


(○) superinfection


(○) nosocomial infection


(○) complicating infection


(○) broad spectrum antibiotics

사상균(진균)으로부터 생산되는 항생물질

(○) penicillin


(○) cephalosporin C


(○) griseofulvin


(○) fusidic acid


(○) fumagillin


(×) pimaricin


) streptomycin


) trichomycin


) candicidin


) kanamycin


) polymyxin

항생물질의 생물학적 검정법으로 사용하는 확산법은?
원통평판법, 디스크확산법

Streptomyces 속 균이 생산하는 항생물질

(×) bacitracin


(○) erythromycin


(○) nystatin


(○) oxytetracycline


(○) neomycin

Paenibacillus colistinus에 의해 생산되는 항생물질은?
colistin

Bacillus 속 균이 생성하는 항생물

(○) polymyxin


(○) gramicidin A


(×) novobiocin


(×) cycloserine


(×) griseofulvin

항생물질 - 생산하는 미생

(×) streptomycin - Bacillus 속


(○) penicillin - Penicillin 속


(○) polymyxin - Bacillus


(○) griseofulbin - Penicillium 속


(○) kanamycin - Streptomyces

Amphotericin B의 용도는?
칸디다 등 병원성 효모류에 의한 전신 감염증의 치료

항진균

(×) fumagillin


(○) candicidin


(○) amphotericin B


(○) griseofulvin


(○) nystatin

사상균(진균)에서 생산되는 항생물

(○) griseofulvin


(○) penicillin


(×) amphotericin B


) nystatin


) fungimycin


) pimaricin

항진균

(○) griseofulvin


(○) caspofungin


(×) neomycin


(×) polymyxin


(×) gramicidin

그람양성균보다 그람음성균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항생물

(○) polymyxin B


(○) colistin


(×) cephalosporin


(×) bacitracin


(×) D-cycloserine


(×) vancomycin


(×) penicillin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 항생물

(×) ampicillin


(×) cycloserine


(○) gentamicin


(○) erythromycin


(○) oxytetracycline


(○) chloramphenicol


(○) tetracycline


(○) streptomycin


(○) erythromycin


(○) chloramphenicol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 항생물

(×) streptomycin


(○) amoxicillin


(○) cycloserine


(○) cephalosporin


(○) vancomycin

세팔로스포린 C의 생합성에 필요한 초기물질 세가지는?
L-α-aminoadipic acid
cystein
valine
Streptomycin의 부작용은?
귀독성(전정장애, 청각장애),
신독성

작용기전이 숙주세포에는 없고 미생물 세포에만 존재하는 필수 구성성분에 대한 작용하는 항생물질

(○) vancomycin


(○) D-cycloserine


(○) penicillin


(×) tetracycline

세균 세포벽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항생물

(○) vancomycin


(○) cycloserine


(○) cephamycin


(○) cephalosporin


(×) streptomycin


(×) chloramphenicol


(×) chlortetracycline


(×) polymyxin


(×) streptomycin


(×) neomycin

β-lactam 항생제가 세균에 선택적 독성이 큰 이유는?
숙주(포유류) 세포에는 없는 세균의 세포벽 생합성을 저해하므로 세균에 선택적 독성을 나타냄

페니실린

(○) 페니실린은 Penicillium notatum 또는 Penicillium chrysogenum의 대사산물이다.


(○) 페니실린은 β-lactamase로 가수분해되면 penicilloic acid가 된다.


(○) 현재 페니실린의 내성균으로는 포도상구균과 임균 등 많은 세균들이 알려져 있다.


(○) 페니실린에 amidase를 작용하면 phenylacetyl 부분과 6-aminopenicillanic acid(6-APA)로 분해되며, 후자를 원료로 반합성 페니실린 유도체를 만든다.

다음 항생물질 중 valine, cystein 및 phenylacetic acid가 선구물질이 되어 직접 생합성이 되는 것은?
benzylpenicillin

벤질 페니실린의 생합성 원

(○) phenylacetic acid


(○) cystein


(○) valine


(×) alanine

페니실린 V의 생합성 선구 물

(○) cystein


(○) phenoxyacetic acid


(○) valine


(×) phenylacetic acid

페니실린 유도체가 갖고 있는 가장 큰 부작용은?
anaphylaxis

반합성 페니실린 중 그람음성균에도 유효한

(○) ampicillin


(○) amoxicillin


(×) cloxacillin


(×) methicillin


(×) oxacillin


(×) propicillin

반합성 페니실린 중 녹농균에 특히 유효한

(○) carbenicillin


(○) ticarcillin


(○) piperacillin


(○) mezlocillin


(×) phenethicillin


(×) propicillin


(×) dicloxacillin

아미노페니실린류인 ampicillin이나 amoxicillin의 특

(×) 녹농균에 유


(○) 대장균에 유효


(○) 경구 투여 가능


(○) 위산에 비교적 안정


(○) penicillinase에 의한 불활성화


(○) 반합성 페니실

ticarcillin, mezlocillin, carbenicillin 등 카르복시페니실린류가 주로 적용되는 병원성 세균은?

녹농균

페니실린 과민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는 항생제

(○) streptomycin


(○) fosfomycin


(○) erythromycin


(×) cephalosporin


(×) amoxicillin

Penicillinase란?
페니실린을 분해하는 효소

페니실린 유도체 중 penicillinase에 저항성이 강한

(○) nafcillin


(○) oxacillin


(○) cloxacillin


(○) methicillin


(×) ampicillin


(×) phenethicillin


(×) benzylpenicillin


(×) propicillin


(×) amoxicillin

세팔로스포린C의 생합성 선구물

(○) L-cysteine


(○) valine


(○) α-aminoadipic acid


(×) methionine


(×) serine

제1세대 세팔로스포린

(○) BUSH 분류의 2b 그룹에 속하는 β-lactamase 생성 내성균에 의해서는 불활성화된다.


(○) 임상에 처음 도입된 반합성 세팔로스포린은 cephalothin이다.


(○) 제1세대 세팔로스포린인 cephalothin, cephaloridine, cephapirin, cephacetrile, cefazoline등은 경구 투여가 불가능하다.


(×) 녹농균에 대한 치료 효과가 크다.

경구투세팔로스포

(○) cefaclor


(○) cefadroxil


(○) cephaloglycin


(×) cefotaxime


(×) cefonicid


(×) cefazolin


(×) cephaloridine


(×) cephapirin


(×) cephalothin


) cephacetrile

반합성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중 암피실린과 동일한 측쇄를 가지고 있으며, 경구투여 가능한

(○) cephalexin


(○) cephaloglycin


(×) cephalothin


(×) cephaloridine


(×) cefazolin


(×) cefamandole

oxacephem 핵을 가진 세팔로스포

(○) moxalactam


(○) flomoxef


(×) cefotaxime


(×) ceftizoxime


(×) ceftazidime


(×) cefoxitin

세팔로스포린류 항생제

(×) cephalexin 및 cefaclor 등으느 대표적인 주사용 약제이다.


(○) 제1세대 물질은 그람음성균 보다 그람양성균에 더 유효하다.


(○) 제2세대 물질은 β-lactamase에 대해 저항성을 가진다.


(○) 제3세대 물질은 Pseudomonas에 대한 활성이 현저히 높다.


(○) 제3세대 물질은 제1세대 물질보다 그람음성균과 내성균에 대해 활성이 크다.

cephamycin C의 가수분해물로부터 합성된 세팔로스포

(○) cefoxitin


(○) cefotetan


(×) cefamandole


(×) cefoperazone


(×) cefotaxime


(×) cephalexin

모노박탐류 항생

(○) azthreonam


(○) tigemonam


(×) streptomycin


(×) griseofulvin


(×) cefotaxime


(×) erythromycin

클라불란

(×) 항균력이 매우 강하다.


(○) β-lactamase와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활성을 억제한다.


(○) 암피실린이나 아목시실린 등과 동시 투여한다.


(○) clavulanic acid의 임상적 제제로 Augmentin®이 있다.


(○) oxapenam류에 속한다.


(○) 항균범위는 매우 넓으나 항균력의 강도가 약해서 임상적으로 단독 사용이 불가능하다.


(○) 클라불란산 외에 설박탐과 타조박탐이 β-lactamase 저해제로 합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페니실린 내성균의 감염증 치료에 β-lactam계 항생물질과 병용하여 이용되는 β-lactamase 저해제는?
clavulanic acid

β-lactamase 저해제로 페니실린 내성균의 감염증 치료에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등 다른 항생물질과 병용 투여하는

(○) tazobactam


(○) clavulanic acid


(○) sulbactam


(×) aztreonam


(×) thienamycin


(×) cefaclor

β-lactam 항생물질 내성균 치료를 위해 개발된 복합제

(○) amoxicillin + clavulanic acid


(○) ampicillin + sulbactam


(○) piperacillin + tazobactam


(×) penicillin + streptomycin


(×) sufamethoxazole + trimethoprim

clavulanate의 용도는?

β-lactamase 저해제로 페니실린 내성균의 감염증 치료에 ampicillin, amoxicillin 등 다른 항생물질과 병용 투여

carbapenems

(○) 처음 발견된 것은 Streptomyces cattleya에서 분리된 씨너마이신이다.


(○) 이미페넴을 임상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실라스타틴과 병용 투여한다.


(×) 베타락탐 환과 피리딘 환이 융합된 형태이다.


(×) 씨너마이신의 동족체로서 이미페넴, 메로페님, 모노박탐 등이 개발되어 있다.

반합성 β-lactam 항생물질 이미페넴은 어느 항생물질로부터 만들어지는가?
thienamycin

당으로부터 생합성된 항생물

(○) streptomycin


(○) kanamycin


(○) paromomycin


(○) vancomycin


(○) neomycin


(○) gentamicin


(○) dibekacin


(○) tobramycin


(×) rifamycin


(×) erythromycin


(×) cephamycin


(×) cephalosporin C


(×) griseofulvin


(×) carbomycin


(×) trichomycin

Sisomicin으로부터 합성된 반합성된 항생물질로 겐타마이신 내성균에도 유효한 것은?
netilmicin
Streptomycin의 aminocyclitol 부위는 어느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가?
streptidine
반합성 카나마이신(kanamycin)으로 녹농균에 유효한 것은?
Amikacin, dibekacin

천연 아미노글리코시드 항생물질 중 Pseudomonas aeruginosa에 유효한

(○) sisomicin


(○) gentamicin


) kanamycin


(×) streptomycin


(×) neomycin


(×) paromomycin

Pseudomonas aeruginosa에 상대적으로 가장 유효한 것

(○) gentamicin


(×) fusidic acid


) penicillin


) cefazolin


) oxacillin


) spectinomycin

Penicillinase-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페니실린 저항성 임질균, PPNG) 치료에만 사용하는 천연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물질은?
spectinomycin

겐타마이

(○) Micromonospora속 방성균이 생산한다.


(○) 작용기전은 주로 단백질 합성저해이다.


(○) tobramycin 및 sisomicin과 함께 녹농균에 유효한 아미노배당체 항생물질이다.


(○) 수용성의 염기성 화합물로 경구투여시 장관내 흡수가 안된다.

최근 MRSA 감염증 치료에 임상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한 반합성 카나마이신류는?
arbekacin

항생물질 중 단백질 생합성을 저해하는 것

(○) oxytetracycline


(○) arbekacin


(×) cephalosporin C


) polymyxin


) gramicidin


) penicillin G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물

(×) anthracycline


(○) doxycycline


(○) minocycline


(○) methacycline


(○) rolitetracycline

항생물질 중 화학구조가 다른 4 가지 약물과 다른 부류에 속하는

(○) doxorubicin


(×) rolitetracycline


(×) oxytetracycline


) doxycycline


) methacycline

항생물질 테트라사이클린류의 작용기전은?
단백질 생합성 저해, 30S 리보솜과 이에 결합한 mRNA 사이에 들어가 결합
테트라사이클린계 약물을 임산부 수유부에게 투여해서는 안되는 이유는?
뼈의 에나멜 층에 침착하여 약화
Rolitetracycline이 기존 테트라사이클린류에 비하여 개선된 특징은?
약물 흡수능 증가 및 근육 통증 완화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중 반합성 테트라사이클린 항생물

(×) oxytetracycline


(×) chlortetracycline


(○) doxycycline


(○) minocycline


(○) methacycline


(○) rolitetracycline

체내 잔류 시간이 길어 1일 1회까지 투약하는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물질

(○) doxycycline


(○) minocycline


(○) tigecycline


(×) chlortetracycline


(×) demeclocycline


(×) methacycline


(×) oxytetracycline

항생물질 중 마크로라이드류

(○) leucomycin


(○) clarithromycin


(○) spiramycin


(×) paromomycin


(×) nystatin

마크로라이드 항생물

(×) tobramycin


(○) oleandomycin


(○) erythromycin


(○) josamycin


(○) spiramycin

penicillin류에 의한 IgE 즉시형 과민반

(×) 주항원 결정기에서만 일어날 수 있다.


(○) penicillin의 대사산물은 hepten으로 작용한다.

azithromycin

(×) erythromycin의 hydroxyl기에 methyl기를 도입했다.


(○) erythromycin의 14환에 질소 원자를 삽입하여 15환으로 만든 염기성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로, 항균 활성이 높고 약물동력학적으로도 우수하며 위장관 장애도 적은 반합성 항생물질로, 호흡기계 질환 치료에 이용된다.

erythromycin과 clindamycin에 대한 저항

공통점은 23S rRNA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폴리엔 마크로라이드

(○) 세포의 ergosterol과 결합하여 효과를 나타내며, 이 약물들은 동물세포막의 콜레스테롤에도 친화력이 높은 편이다.


(×) 대부분 독성이 낮아 경구용제 뿐 아니라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다.

rifamycins

장관순환을 거쳐 배설 분비되는데 이에 의해 소변, 눈물 등이 적홍색을 띤다.

bacitracin

(×) 그람음성균에 유효하다.


(×) 사상균이 생성한다.


(○)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보인다.


(○) polypeptide 구조를 가진다.


(○) polymyxin B와 같은 군에 속한다.


(○) 국소용으로 유효하다.


(○) Bacillus 균이 생성한다.

chloramphenicol

(○) 발효 및 합성을 통하여 생산이 가능하다.


(○) 가용성이 커 체내 분포도가 좋으며 뇌혈관 장벽을 잘 통과하므로 수막염이나 뇌염에도 유효하다.

종래 사용되던 AgNO3 용액 대신으로 신생아 눈 감염 예방에 사용되는 항생물질은?
erythromycin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인 erythromycin과 반합성 linomycin인 clindamycin이 교차 내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병원균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인가?
23S rRNA 메틸화에 따른 50S 리보솜의 변화
Erythromycin 등 14환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저항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ketone기를 도입하여 반합성한 항생물질로, erythromycin 저항성 그람양성균에 의한 호흡기 질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은? (1)
telithromycin
Erythromycin은 산성에서 hemiketal을 형성하는 성질이 있어 경구 투여시 흡수율이 일정하지 않은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methyl화 하여 반합성한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로, 경구 흡수가 양호하고 혈중 농도가 오래 지속되며 위장관 장애가 적어서 호흡기계 질환 치료에 이용되는 것은? (1)
clarithromycin

공액 이중결합을 지닌 폴리엔 항생물

(×) griseofulvin


(×) fusidic acid


(○) nystatin


(○) amphotericin B


(○) pimaricin


(○) fumagillin

Polyene 항진균제의 작용부위는?
진균, 원충류의 에르고스테롤

Aspergillus 속의 곰팡이가 생성하고, 항원충 작용이 강해 아메바성 이질의 치료에 쓰이는

(○) fumagillin


(×) girseofulvin


) nystatin


) amphotericin B


) trichomycin


) paromomycin

rifampicin

(×) 리파마이신 SV에 비해 항균 스펙트럼은 좁다.


(×)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지 못한다.


(○) 경구 투여시 흡수가 양호하다.


(○) 주요 결핵치료제이다.


(○) MRSA에도 높은 활성을 보인.

미생물의 세포질막 기능을 저해하는 항생물질

(○) polymyxin


(○) nystatin


(×) erythromycin


(×) chloramphenicol

polymyxin B, colistin

(×) 경구 투여가 용


(○) 세균 생성


(○) 세포질막 기능저해


(○) 폴리펩타이드 항생물질


(○) 항진균 작용은 약함

linomycin의 7번 위치에 염소를 도입한 약물이며, 이 약물은 그람양성, 혐기성 세균에 강한 항균력을 가진다.

clindamycin

입체구조가 alanine의 입체 구조와 비숫하여 세균의 peptidoglycan 생합성 과정에서 D-alanine synthase 효소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항산성균에 대해 활성이 크기 때문에 주로 결핵치료의 2차 선택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D-cyloserine
혐기성균 치료제인 clindamycin의 반합성 출발물질은?
lincomycin

fusidic acid

(○) 스테로이드 핵을 가진 항생물질이다.


(○) Fusidium coccineum에서 분리되었다.


(○) 그람양성 세균에 유효하다.


(○) 경구 투여시 간 자극에 의한 황달 등의 부작용이 있다.

스테로이드 핵을 가진

(○) fusidic acid


(×) erythromycin


(×) gramicidin


(×) spiramycin


(×) oleandomycin

glycopeptide계 항생물질에 속하며 기회 감염증인 위막성 대장염 치료에 사용되는

(○) vancomycin


(○) teicoplanin


(×) amoxicillin


(×) neomycin


(×) tetracycline


(×) clindamyc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에 치료 가능한

(○) vancomycin


(○) daptomycin


(×) chloramphenicol


(×) clindamycin


(×) erythromycin


(×) minocycline

화학 구조상 한 개의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항생물질은?
chloramphenicol
세균의 RNA polymerase 활성을 저해하여 그람양성균과 항산성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거대 환상 락탐(macro-lactam) 화합물로, 현재 항결핵제 및 항나병제로 이용되고 있는 항생물질은?
rifampicin
베타 락탐 항생물질인 메티실린(methicillin)에 저항성인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vancomycin
세균의 50S ribosomal subunit와 결합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어린이의 골수 이상, 빈혈, 위장 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은?
chloramphenicol

필수 대사 물질인 p-aminobenzoic acid의 대사길항물질(antimetabolite)

(○) sulfanilamide


(×) INAH


(×) ethambutol


(×) pyrazinamide


(×) emetine

Sulfonamide가 대사 길항으로 작용하는 물질은?
p-aminobenzoic acid

지속성 설파제 (long acting sulfa drugs)

(○) sulfadimethoxine


(×) sulfamine


(×) sulfapyridine


(×) sulfathiazole


(×) sulfadiazine

1일 1회 투약하는 지속성 sulfonamide

(○) sulfamethoxypyridazine


(×) sulfadiazine


(×) sulfacytine


(×) sulfisoxazole


(×) sulfamethizole


(×) sulfathiazole

nalidixic acid

(○) 그람음성균에 유


(○) 현기증과 두통


(○) DNA gyrase 억제


(○) 신속한 배설


(×) 스테로이드 구조


(×) 귀독

퀴놀론 항균제의 항생 기전은?
DNA gyrase 저해에 의한 DNA 복제 억제
Cinoxacin과 결합함으로써 불활성화되는 박테리아 단백질은?
DNA gyrase

퀴놀론계 항균제

(○) pipemidic acid


(○) norfloxacin


(○) enoxacin


(○) ciprofloxacin


(○) ofloxacin


(○) nalidixic acid


(×) vancomycin


(×) rifampicin


(×) penicillin


(×) promizole

약물의 작용기전으로 DNA 복제를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것

(○) ciprofloxacin


(×) streptomycin


(×) polymyxin B


(×) tetracycline


(×) penicillin

불소화 퀴놀

(×) 그람양성균 및 극소수의 그람음성균에 유효하다.


(○) 경구 투여시 흡수가 가능하다.


(○) 신체 조직으로의 이행이 신속하다.


(○) 혈중 농도가 유효 농도로 장시간 유지한다.


(○) 전신 감염증에 유효하다.

항균제 중 불소화 퀴놀론

(○) ciprofloxacin


(○) norfloxacin


(○) ofloxacin


(○) gemifloxacin


(×) nalidixic acid


(×) cinoxacin

free radical을 생산하여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것

(○) fluazolidone


(×) mebendazole


(×) ethambutol


) oxolinic acid


) pyrimethamine


) rifampicin

결핵 치료약

(○) IHMS (isonicotinic acid hydrazide methane-sulfonate)


(○) ethambutol


(○) ofloxacin


(○) viomycin


(○) INAH


(○) cycloserine


(○) rifampicin


(×) chinoform


) germanium


) neostibosan


(×) penicillin

ofloxacin은 결핵 2차 치료

결핵 치료시 isoniazid(INAH)를 장기 투여하면 체내에서 결핍되기 쉽기 때문에 함께 투여해야 할 비타민 B 영양소는?
pyridoxine과 niacin

sulfone가 가장 유효한 것

(○) leprosy


(×) tuberculosis


) gonorrhea


) meningitis


) scarlet fever


) pertussis

한센병 치료제

(○) DDS (diamino diphenyl sulfone, dapsone)
(○) clofazimine
(○) ethionamide
(○) rifampicin
(×) isoniazid
) pyrazinamide
) melarsoprol
) INAH

체내 잔류시간이 가장 긴 한센병 치료제

(○) acedapsone


(×) dapsone


(×) ethionamide


(×) rifampicin


(×) thioacetazone


(×) clofazimine

만성 피부진균증에 경구 투여할 수 있는 항진균제

(○) itraconazole


(○) fluconazole


) fumagillin


) nystatin


) amphotericin B


) fusidic acid


) clotrimazole


(×) miconazole

항종양성 항생물질

(○) actinomycin은 DNA GC쌍과 phenoxazone이 결합하여 DNA에 개입함으로써 RNA 합성을 저해한다.


(○) bleomycin은 DNA 가닥을 절단하여 DNA 기능을 손상시키는 항암물질로 주로 피부암치료에 사용된다.


(○) anthracycline은 DNA 이중나선에 개입하여 DNA 합성이나 RNA 합성을 억제한다.


(○) mitomycin C는 생체 내에서 환원되어 활성화되면 DNA 가닥과 공유 결합하여 DNA 복제를 억제한.

항종양 활성

(○) actinomycin


(○) doxorubicin


(○) bleomycin


(×) trichomycin


) chlortetracycline


) streptogramin


) neomycin

anthracycline계 항생물질에 속하며 항종양 치료제로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 doxorubicin


(○) daunomycin


(×) bleomycin


(×) doxycycline


(×) oleandomycin


(×) peplomycin

전신성 진균 치료제로 경구 투여하는

(○) ketoconazole


(○) griseofulvin


(×) amphotericin B


) clotrimazole


) miconazole


) nystatin

nystatin 은 경구투여 시 흡수되지 않고 배설되어 구강 및 장관 감염증에 사하며 경구투여 가능하나, 전신성 치료제는 아니다.

항원충작용을 지닌 엽산(folic acid) 저해제와 복합제제를 만들 수 있는 약물

(○) dapsone


(○) sulfadoxine


(×) p-aminosalicyclic acid


(×) pyrimethamine


(×) trimethoprim

강력한 항원충작용이 있어서 트리코모나스 질염이나 아메바성 설사 치료에 이용되는 imidazole계 화학요법제

(○) metronidazole


(○) tinidazole


(×) mebendazole


) miconazole


) itraconazole


) ketoconazole

최토제로서 이질아메바 감염치료제

(○) emetine


(×) quinine


(×) metronidazole


(×) chloroquine


(×) promizole


(×) miconazole

말라리아 치료제

(○) chloroquine


(○) hydroxychloroquine


(○) mefloquine


(○) quinine


(×) primaquine


(×) pamaquine

항말라리아제 중 포자체에 유효하여 치료 후 재발 방지 목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것

(○) primaquine


(○) pamaquine


(×) chloroquine


) hydroxychloroquine


) mefloquine


) quinine

바이러스 감염에 화학요법제 치료가 어려운 이유

(○) 바이러스는 대사를 하지 않아 선택적으로 공격하기가 어렵다.


(○) 바이러스는 숙주 대사계를 이용하므로 선택적으로 공격하기가 어렵다.


(×) 바이러스는 숙주와 유사한 대사 과정을 지녀 선택적으로 공격하기가 어렵다.


(×) 바이러스는 숙주와 무관하게 대사를 하기 때문이다.

항바이러스제

(○) vidarabine


(○) lamivudine


(○) amantadine


(○) IDU, idoxuridine


(○) ACV, acyclovir


(○) Ara-C, cytarabine


(○) AZT, azidothymidine, zidovudine


(×) metronidazole


(×) doxorubicin


(×) daunomycin


(×) dapsone


(×) ethionamide


(×) homosulfamine


(×) clofazimine


(×) IHMS, isoniazid sodium methanesulfonate


(×) terbinafine

염기 유사체

(×) amantadine


(○) ganciclovir


(○) idoxuridine


(○) trifluridine


(○) zidovudine

세포 내로 감염한 바이러스 입자의 탈피(uncoating)를 저해는 항바이러스제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에 사용하는 것

(○) amantadine


(○) rimantadine


(×) acyclovir


(×) vancomycin


) zidovudine


) indinavir

아만타딘, 리만타딘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가 숙주세포 감염 후 외피를 벗는 탈피과정을 저해한다.


(○) 파킨슨병의 치료제로도 쓰인다.


(×) 염기 유사체로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한다.


(×) p-aminobenzoic acid에 길항하여 약효를 나타낸다.


(×) 불소화 quinolone 계열의 약물이다.

헤르페스성 각결막염, 구순포진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약물

(○) acyclovir


(○) ganciclovir


(○) idoxuridine


(○) vidarabine


(○) cidofovir


(×) isoniazid


(×) AZT


(×) amantadine


(×) bifonazole

아시클로버

(×) DNA gyrase 작용을 억제한다.


(○) Herpes simplex virus의 감염으로 인한 구순염 치료에 쓰인다.


(○) 비환상(acyclic) guanine 유사체이다.


(○) 항 바이러스제제이다.


(○) 바이러스의 DNA 복제를 방해한다.

ribose에 1, 2, 4-triazole carboxamide가 결합한 guanosine 유도체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항 바이러스제제

(○) ribavirin


(×) amantadine


) idoxuridine


) mitomycin


) zanamivir

항바이러스제인 3'-azidothymidine(AZT)에 의해 저해되는 효소는?
reverse transcriptase

후천성면역결핍증 치료제 중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protease 활성을 저해하여 바이러스 입자가 성숙되는 것을 방해하는 약물

(○) saquinavir


(○) amprenavir


(×) zalcitabine


) zidovudine


) stavudine


) didanosine

뉴클레오사이드류 역전사효소 저해제

(○) zalcitabine


(○) nevirapine


(○) lamivudine


(×) saquinavir


(×) ritonavir


(×) amantadine

HIV 감염치료제 중 작용기전이 같은 것

(×) ritonavir


(○) azidothymidine


(○) dideoxycytidine


(○) D4T


(○) 3TC

HIV 감염자가 AIDS 증상과 함께 herpes simplex virus 감염으로 인한 심한 구순염을 앓고 있을 때 투약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항바이러스제 조

(○) D4T - acyclovir


(○) ddl - cidofovir


(×) 3TC - saquinavir


) ddC - ritonavir


) AZT - amantadine


) indinavir - rimantidine

항생물질의 장기투여로 이중감염에 의해 생긴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위막성 장염(pseudomembraneous colitis) 치료에 이용되는 약물

(○) vancomycin


(○) metronidazole


(×) erythromycin


) neomycin


) tetracycline


) clindamycin

길항작용이 일어나는 약물 조합

(○) ketoconazole + nystatin


(○) methotrexate + pyrimethamine


(×) sulfamethoxazole + trimethoprim


) flucytosine + amphotericin B


) ampicillin + clavulanic acid


) amoxicillin + streptomycin

lysozyme

피부 및 눈에서 분비되는 항균성 효소이다.

단클론 항체 (mAb)

수동면역 및 면역독소(immunotoxin) 제작에 사용 가능하.

투베르쿨

(○) 결핵균 배양여과 농축액이.


(×) 결핵균의 사균으로 우형 결핵균으로부터 얻어진다.

cyclosporin A

(○) 강력한 세포성 면역 억제제


(○) 진균류에서 생산


(○) 조직 이식시 거부 반응을 억제


(○) 항염증 작용 및 면역 억제 작용

생물학적 제제 중 항체 제

(○) 디프테리아 혈청


(×) 디프테리아 변독


(×) BCG

변독

(○) 면역성은 있지만 독성은 없다.


(×) 항원이 적기 때문에 부작용 유발 기회가 낮.

디프테리아 변독소

(×) 생물학적 제제 중 항체 제


(○) 생물학적 제제 중 무독화 독소

파상풍 백신

변독소

장티푸스 백

(×) 사균 백신

콜레라 백신

사멸균체를 사용한.

Salk 백신

사백신 (killed vaccine)

사백

(×)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유래된 단백질을 사용한다.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

(×) 생균 약독화 백신


(○) 단위백신 (subunit vaccine)


(○) 유전공학적으로 대량 생산


(○) 바이러스의 HBs 항원을 사용

Salk 백신과 smallpox 백

(×) 모두 생(live) 백신이.

홍역 백신

생균 백신

Sabin 소아마비 백

경구 투여 백신

DPT 백

(×) 약독화 백신

Streptococcus pneumoniae 백신

협막 다당류의 정제하여 백신으로 사용한.

A형 간염 백신의 광범위한 접

(×) 만성 간염 및 간암 발병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BCG 백신

우형 결핵균을 약독화시켜 만든 백

Diphtheria antitoxin

수동 면역을 부여하는 생물학적 제제

유산균 제제에 흔히 쓰이는 균

(×) Streptococcus haemolyticus

Leuconostoc mesenteroides

혈장 대용제로 이용되는 다당류 덱스트란(dextran)을 발효하는데 이용하는 미생물

항체의약품 중 비호지킨성 림프종 치료제로 승인받아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

ritiximab (Rituxan®)

항체의약품 중 종양괴사인자(TNF) 수용체와 IgG 효능 부위의 융합단백질로 구성된 것으로 활성 류머티스 관절염 증상의 개선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etanercept (Enbrel®)

항체의약품 중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Her-2/neu)에 대한 인간화 단일클론항체로 전이성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것

trastuzumab (Herceptin®)

항체 의약품 중 RSV의 감염시 수동면역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

palivizumab (Synagis®)

bevacizumab (Avastin®)

(○) 항체의약품 중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EGF)에 대한 카메라 단일클론 항체


(○) 혈관신생을 억제하여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재조합 인간화 단클론 항

바이오 의약품 중 적혈구의 생산과 조절에 관여하며 골수모세포와 적아세포의 분화 및 분열을 촉진하는 것

erythropoietin

인간 난포자극호르몬의 이형체 중 하나이며 여성에서의 배란 및 임신 유도, 남성에서의 정자 생성을 유도하는 생물 의약품

follitropin-alpha (Gonal-F®)

심부 당뇨성 족부 궤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재조합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nepidermin (Regen-D®)

대기 중 알러지원에 대한 피부 검사에서 양성이거나 corticosteroid 흡입으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지속형 천식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물

omalizumab (Xolair®)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를 발현하는 직결장암에 사용되는 항암제

cetuximab (Erbitux®)

활성 류머티스성 관절염에 사용되는 약물로 CTLA-4의 세포외 영역과 인간 항체의 Fc를 융합시킨 단백질

abatacept (Orencia®)

SCID 환자의 ADA 결핍증에 대한 효소 대체 요법제

pegademase bovine (Adagen®)

류머티스 관절염에 사용 가능한 약물 중 IL-1β와 관련이 있는 것

anakinra (Kineret®)

Rituximab과 결합하는 항원은?
CD20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RSV)의 F 단백질과 결합하는 항체는?
Palivizumab
경구용으로서 소아마비의 생백신으로 쓰이는 것은?
Sabin vaccine
류머티스, 관절장애 물질로서 Candida utilis가 생산하는 uricase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은?
uric acid
최근에 lymphokine들의 체내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무엇과 결합한 상태로 제조하고 있는가?
polyethylene glycol(PEG)
RNA를 분해하는 촉매로 작용하여 특정 mRNA의 특정 부위를 절단시키는 RNA는?
리보자임(ribozyme)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

저밀도 단백질(LDL) 수용체와 관련 있.

중증복합면역결핍증 (SCID)

탈아미노효소(adenosine deaminase)와 관련 있다.

고셔병

glucocerebrosidase와 관련 있다.

낭포성 섬유

(×) glucose-6-phosphatase와 관련 있다.

페닐케톤뇨증

phenylalanine hydroxylase와 관련 있다.

유전자 융합

(○) 산업균주육종에서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재조합시키는 방법


(×) 균주의 퇴화를 불러올 수 있는 무작위적 돌연변이 확률이 매우 높

환상 내의 소수성과 환상 밖의 친수성으로 인해, 의약품, 화장품 및 식품 분야에서 소수성 물질의 용해제나 쓴맛 또는 냄새의 중화제로 쓰인다. 산업분야에서 유기용매에서의 효소 안정화 물질로 이용되고 있으며, 의약품의 서방출을 위한 약품 수송물질로도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식품의 산화방지제로 쓰인다.

protease

(○) 피혁 산업에서 단백질제거용으로 식품 산업에서 육류 연화제, 의약분야에서 소화제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 알러지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polyethylene glycol 등으로 microencapsulation 하여 분말로 시판한다.


(×) pH에 따라 알카리성, 중성 및 산성 protease로 구분하며, 포도당 함량 분석에 이용된다.

박테리아에서 미생물약품을 생산하는 방

페니실린 첨가배지에서 비영양요구주를 먼저 성장시킴으로써 사멸 제거하는 방법(penicillin-selection method)을 사용한다.

단위백신의 제작

병원미생물로부터 병원성을 나타내는 협막 등을 추출하여 이용하기도 한.

배아줄기세

(×) 성체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 및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분화능이 더 높다.


(○) 배아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 및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분화능이 더 높다.

HSV의 디미딘 인산화 효소 유전

암세포 유전자 치료를 위한 자살 유전자로 사용할 수 있다.

유전자치료

(○)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은 간세포 표면에 저밀도 지질단백질 수용체의 결핍으로 발생한다.


(○) HSV의 티미딘인산화효소 유전자를 암세포에 도입하면 갠사이클로비어 전신투여로 종양세포의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ADA)의 결함은 낭포성 섬유증을 유발한다.


) 체내 유전자치료법을 위해 레트로바이러스 운반체가 주로 사용된다.


) 체외 유전자치료법에서는 병변내 주입이 가능한 리포솜이나 아데노바이러스가 주로 이용된다.

다음 중 TNF-α의 작용을 억제하여 류머티스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Etanercept
Adalizumab
Infliximab

인간 난포자극호르몬의 이형체 중 하나로서 여성에서의 배란 및 임신 유도 및 무배란증 치료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follitropin-α (Gonal-F®)

황체형성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한 불임여성에서 난포 발달을 위해 난포자극호르몬과 병용 투여하는 것

lutropin-α (Luveris®)

재조함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G-CSF)이며, 화학요법에 의해 유발된 호중구 감소증 치료에 사용되는

filgrastim (Neupogen®)

효모에서 생산되는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인자(GM-CSF) 제제

sagramostim (Leukine®)

중증 1차 인슐린양 성장인자-1(IGF-1) 결핍에 따른 소아의 성장 지연에 대한 장기치료에 사용되는 것

mecasermin (Increlex®)

T 세포의 CD3 항원에 대한 서형 단클론항체

muromonab-CD3 (Orrthoclone OKT3®)

B세포 표면의 CD20 항원과 결합하는 카이메릭 단클론항체

rituximab (Rituxan®)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2의 세포밖 영역인 HER-2/neu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

trastuzumab (Herceptin®)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RSV)에 감염 가능성이 높으느 소아 환자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중증하기도질환의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것

palivizumab (Synagis®)

천식 및 알러지 IgE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재조합 인간화 단클론 항체

omalizumab (Xolair®)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EGF)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저해하는 재조합 인간화 단클론항체

bevacizumab (Avastin®)

세포독성 T 림프구 관련 항원(CTLA-4)의 세포 밖 영역과 사람 항체의 Fc를 융합시킨 당단백질(CTLA-4-Ig)

abatacept (Orencia®)

SCID 환자의 adenosine deaminase 결핍증에 대한 효소 대체 요법에 사용이 가능한 것

pegademase bovine (Adagen®)

제II형 점액다당증인 헌터증후군 환자의 효소 대체 요법에 사용이 가능한 것

idursulfase (Elaprase®)

재조합 조직형 플라스미노젠 활성화인자(t-PA)

alteplase (Activase®)

비브리오(Vibrio)의 형태

만곡형 간균

연쇄상구균(Streptococcus)의 형태

구균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의 형태

비정형균

스피로키트(Spirochete)의 형태

나선형균

대장균(E.coli)의 형태

간균

병원체가 숙주에 전신 감연하여 혈액 안으로 들어가 증식한 상태

패혈증 (septicemia, sepsis)

미생물이 갖고 있는 catalase의 작용 대상 물질

H₂O

내독소(endotoxin), 외독소(exotoxin)

(내독소) 비교적 열에 안정하다.


(내독소) 면역원성이 약하다.


(외독) toxoid화 하기 용이하다.


(내독소) pyrogenic 물질이다.


(내독소) lipopolysaccharide(LPS)라고도 한다.


(외독) 단백질로 구성된다.

Staphylococcus 감염증

(○) sulfadiazine, penicillin 등이 치료에 유효하다.


(○) 화농성 염증을 일으킨다.


(○) erythromycin이 유효하다.


(×) 면역성이 강하여 재감염이 되지 않는다.


(○) enterotoxin을 분비한다.


(×) 피부 표면에만 존재하여 식중독을 일으키지 않는다.

Staphylococcus 균의 그람 염색 성질과 형태는?
그람양성 구균
Toxic shock syndrome의 주된 원인균은?
Staphylococcus aureus
포도상구균 중 일반적으로 MRSA로 표기되는 균의 이름 중 M이 나타내는 의미는?
methicillin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 및 장구균의 치료에 일차적으로 선택되는 항생제는?
vancomycin

Streptococcus

(○) 분열 방향이 일정하며 연쇄상이 된다.


(○) 혈액 한천 배지에서 투명한 용혈환을 형성하는 균이 포함된다.


(×) 보통 한천배지에서 잘 발육한다.


(○) 그람양성구균이다.


(○) 대부분은 혐기성균들이다.


(○) 성홍열을 일으키는 균이 있.

연쇄상구균들 catalase가 없고 통성 혐기성균이다.

발적독(erythogenic toxin)을 분비하는 균은?
Streptococcus pyogenes

<보기>에서 설명하는 감염병과 그 원인균은 무엇인가?
<보기>
- 감염 후 강력한 면역을 남긴다
- 혀에 하얀 코팅이 생기며, 나중에는 껍질이 벗겨져 딸기혀가 된다
- 고열과 발진(rash), 설태, 백혈구 증가 등이 주 증상인 소아 감염증이다

성홍열, Scarlet fever, Streptococcus pyogenes

대장균, 녹색 연쇄상구균, 폐렴구균, 포도상구균, 결핵균 중 담즙산에 의하여 용균되는 것은?
폐렴구균
수막구균(N. meningitidis)과 함께 그람음성균으로 성장에 X, Y 인자가 요구되는 수막염의 주요 원인균은?
인플루엔자균,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화농성 연쇄상구균이 생산하는 용혈독의 2가지 타입을 쓰시오
스트렙토리신 S(streptrolysin S), 스트렙토리신 O(strepthrolysin O)

그람양성균, 그람음성

(G+) 디프테리아 (diphtheria)


(G-) 임질 (gonorrhoeae)


(G-) 장티푸스 (typhoid fever)


(G-) 이질 (dysentery)


(G-) 콜레라 (cholera)

호흡기에 감염되는 병원 미생물과 장내 감염되는 미생


() Shigella dysenteriae


(장) Salmonella Typhi


(장) Vibrio cholerae


(호흡기) Corynebacterium diphtheriae


(장) Clostridium difficile


(호흡기) Streptococcus pneumoniae

인후점막에 침입하여 위막(pseudomembrane)을 형성하는 균은?
Corynebacterium diphtheriae

Corynebacterium diphtheriae

(○) DPT 백신으로 예방


(×) endotoxin이 발병


(○) Schick test로 항체 검사


(○) Albert 염색을 하는 경우 이염성 과립(metachromatic granules)


(○) 인후부에 pseudomembrane


(×) erythrogenic toxin


(○) Neisser 염색 - volutin


(○) 항독소혈청으로 치료


(○) 그람양성 간균


(×) Ziehl-neelsen 염색 - Neisser소체


(×) flagella

디프테리아 독소가 심근의 구조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쓰시오
translocase(EF-2)와의 비가역적 결합에 의한 숙주 세포의 단백질 합성 저해

Nesseria meningitidis

(○) aniline계 색소 염색


(○) 화농성 뇌수막염


(×) 보통 한천 배지에서는 발육


(○) tetracycline 유효


(×) 그람양성 쌍구균


(○) 맥아당(maltose)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


(×) 서당(sucrose)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

백일

(○) 치유하면 종생 면역


(×) 페니실린 유효


) 보통 한천 배지에서 발육


(○) chloramphenicol 유효


(○) 어린이가 흔히 감


(○) 기도 감염


(○) 격심한 경련성 기침


(○) DPT 백신으로 예방

소아의 뇌수막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균체의 다당류 부분을 이용한 백신이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세균은?
Nesserria menigitidis,
Haemophilus influenzae,
S. pneumoniae

결핵

(○) 항산성(acid-fast)균


(○) 호기성 그람양성


(×) 급성 전염병


(○) 주로 호흡기로 감염


(○) 우형 결핵균도 인체에 감염


(×) DPT 예방


(×) 37℃, 16시간 정도 배양하면 집락형성


(×) 감염되면 24시간이내에 발병

결핵의 원인균의 과(family)명과 속명 및 종명은?
Mycobacteriaceae - Mycobacterium tuberculosis
결핵 예방에 사용되는 백신은?
BCG vaccine
결핵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를 나열하시오
Streptomycin, INAH, Rifampin, Ethambutol, Pyrazinamide
이전에는 정상 세균총이었으나 최근 면역결핍환자들에서 결핵의 원인균으로 주목받고 있는 결핵균은?
Mycobacterium avium complex

Legionella pneumophila

(○) 그람음성 간균


(×) 황달, 출혈증상


(○) 냉방 장치의 물이 주요 오염원


(○) 치료에는 erythromycin을 일차선택


(×) 일반 영양한천 배지에서도 배양


(○) 폐렴 등 주 증상


(×) 감염원인 쥐의 구제가 최선


(○) 그람음성 간균


(×) 병원균은 소변의 암시야 검경관찰


(×) 고열이 있는 유열기와 열이 없는 무열기가 있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세균으로 최근(1990년대 후반) 광범위 베타-람탐아제(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생성 균주가 다수 분리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Klebsiella pneumoniae

식중독의 원

(○) Clostridium welchii


(○) Staphylococcus aureus


(×) Bordetella pertussis


(×) Saccharomyces cerevisiae


(○) Vibrio parahaemolyticus


(×) Plasmodium vivax


(○) Salmonella Typhimurium

보툴리누스 독소

(×) 열에 대한 저항성


(○) 자연 독 중 가장 독성이 강


(○) 소아가 꿀을 섭취하여 발병가능


(○) choline성 신경절에서 신경전달을 방해하는 신경독


(○) 원인 세균은 혐기성균이며 포자를 형성


(○) 식중독을 유발


(○) 독소 유전자는 bacteriophage가 세균에게 제공

감염형 식중독과 독소형 식중독을 일으키는

(×) Clostridium botulinum - 감염형


(○) Bacillus cereus - 독소형


(○) ETEC - 독소형


(○) Salmonella paratyphi - 감염형


(○) Staphylococcus aureus - 독소형


(×) Shigella flexneri - 독소형

E.coli균주 O157:H7 의 이름 중 O 항원은 세균의 어디에 존재하는가?
outer membrane

Escherichia coli

(○) Voges-Proskauer 반응은 음성


(○) methyl red 시험은 양성


(×) HS를 생산


() 포도당을 발효시


(○) 우유를 응고시


() 젤라틴을 액화시키지 않음


(○) 요도염의 원인이 된다

IMViC 반응에 포함되는 반응 4가지는?
Voges-Proskauer test,
methyl red test,
indole test,
citrate test
장열병인 장티푸스의 원인균과 대표적인 증상은?
Salmonella Typhi - 장미진

Shigella dysenteriae

(×) 편모균


(○) 그람음성균


(○) 소화기 질환으로 설사병을 일으킴


(×) 비말 감염


(○) 강력한 외독소


(○) 출혈성 염증


(○) 우리나라의 1군 법정 전염병


(×) 장열병(enteric fever)의 원인균


(○) 젤라틴을 액화하지 못

콜레

(×) 직접 접촉 감염


(○) 경구 감염


(○) 심한 설사 소화기병


(×) 사람의 대장에서 주로 병을 일이킴


(○) 원인균은 Vibrio cholerae


(○) 단모균(monotrichate)


(×) 양모균(amphitrichate)


(○) 법정 전염병

• 콜레라는 사람의 소장에서 병을 일으킨다.

조리가 덜 된 어패류를 통해 감염되며 면역질환자나 간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비브리오 패혈증을 유발하는 호염성 세균은?
Vibrio vulnificus
위와 십이지장에서 생존하며 생존을 위해 urease를 만들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의 원인균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위암 발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균은?
Helicobacter pylori
위궤양의 원인균의 감염을 진단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는 물질은?
urease
장기간 사용으로 Clostridium difficile의 증식을 유도하여 위막성 대장염을 일으킬 수 있는 항생제는?
lincomycin, clindamycin,
2,3세대 cephalosporin,
amoxicillin, ampicillin 등
지속적인 clindamycin의 사용으로 장내 정상세균총이 파괴되고 그 결과 대장염 증상이 나타났다면 그 원인균으로 의심되는 세균은?
clostridium difficile
Bacillus anthracis의 협막(capaule)이 다른 세균의 협막과 다른 주성분은?
polypeptide

Bacillus anthracis

(○) 가축에서 탄저병을 일으킴


(○) 사람에게도 감염


(○) 피부, 위장관, 호흡기에 모두 감염가능


(×) 그람양성 항산성


(○) 호흡기 또는 피부를 통해 감염


(×) 포자를 생성하지 않


(×) 환자의 혈액에서 균을 검출하지 못

Clostridium 속의 균이 일으키는 병 - 원인

(○) 가스괴저 - C. perfringens
(○) 보툴리눔 식중독 - C. Botulinum
(○) 파상풍 - C. tetani
(○) 위막성대장염 - C. difficile

Exotoxin으로서 tetanolysin, tetanospasmin을 생성하는 균은?
파상풍균, C. tetani
항산성 염색이 가능한 세균의 속명과 이들 세포벽의 특이적 성분은?
Mycobacterium, mycolic acid
콜레라, 이질, 디프테리아, 나병, 페스트 중 잠복기가 가장 긴 질환은?
나병

나병

(○) Promin


(○) 대풍자유


(○) diaminodiphenyl sulfone (DDS)


(×) novobiocin


(○) Mycobacterium leprae


(×) 실험실 배양이 용이


(○) rifampicin, dapsone 등으로 치료

원내감염의 원인균의 하나로 화상 환자의 피부에 흔히 감염되어 녹색의 색소를 생성하는 균과 이 세균이 가지는 색소 두 가지를 쓰시오
Pseudomonas aeruginosa
pyocyanin과 fluorescein
Zoonosis란 무엇인지 쓰시오
인수 공통 감염병

Pseudomonas aeruginosa

(×) 한쪽 끝에 1-3개의 편모


(○) 그람음성 속모성 간균


(×) 페니실린 등 일반 상용 항생물질에 대하여 대체로 감수성


(○) polymyxin B, colistin 등에도 감수성


(○) 약독균이지만, 최근 감염증의 원인균으로 주목됨


(○) 화농균과 혼합 감염으로 녹농균 감염증을 일으킴


(×) 낭포성 섬유종을 가진 사람에게는 감염되지 않음

재귀열, 매독, 와일병, 인도마마 등의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속하는 문(phylum)은?
Spirochaetes
매독균의 학명은?
Treponema pallidum

매독

(○) 물리적, 화학적 처치에 약한 그람음성 나선균


(○) 병원성 균은 인공 배지에서 배양되지 않


(○) 태중 감염가능


(○) 손가락, 입슐 등의 작은 상처로 침입


(×) 매독은 결핵과 같은 감염 면역의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재감염은 없


(×) 완전 면역 발생


(×) 백신 예방


(×) polymyxin 치료


(×) 연성하감


(×) 공기를 통해 감염

매독의 임상 경과

(○) 제1기는 경성하감


(○) 제2기는 1-3년 지속되며 자연히 진정


(○) 제1기와 제2기는 감염력이 강한 시기


(○) 감염 후 약 3 년이 지나면 제3기


(○) 10-15 년 이상 경과한 제3기 종말에는 신경계가 침범 당하여 진행성 마비 등 변성매독을 일으


(×) 3기로 나눈다.


(×) 제1기의 병변은 자연 치유되지 않음


(×) 제2기는 피부, 점막에 발진, 뼈, 눈, 관절 등에까지 병변

매독 진단법

(○) 암시야 조사법


(○) Wassermann 반응


(○) VDRL test


(○) Kahn 반응


(○) FTA-ABS test


(○) TPI test


(×) 그람염색법


(×) Schick test

Tetramethyl p-phenylene diamine HCl 용액에 의해서 집락이 흑변하는 균은?
임질균, Neisseria gonorrhoeae

Neisseria gonorrhoeae

(○) 그람음성 쌍구


(○) 직접 접촉 감염으로 요도염


(○) 10%의 탄산가스 중에서 배


(○) oxidase


(○) 면역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 지적 온도는 36-37℃


(○) 분만시 감염으로 결막염에 대한 주의


(○) 신생아 급성 결막염 치료에 erythromycin 안약


(○) 태아에는 감염되지 않


(○) Chloramphenicol, tetracycline이 유효


(○) 예방 백신이 없음


(×) 그람양성 단구균


(×) 그람양성 쌍구균


(×) 항산성 염색 양성


(×) 편모가 있어 운동성


(×) 자연계에서 저항력이 강


(×) 동물, 가축에도 감염


(×) 그람음성균이므로 페니실린은 효과없음

분류상 아미노배당체 계열에 속하며 임질의 치료에 선택되는 항생제는?
spectinomycin
그람음성균 중 염색 시 양끝이 특히 진하게 염색되는 세균은?
Yersinia
흑사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은?
Yersinia pestis
페스트균이 주로 발병하는 부위는?
임파선, 폐

페스

(○) 벼룩 매개


(○) 백신 유효


(○) 치유자는 강한 면역


(○) 양극 염색성


(×) 소독제에 대한 저항성


(×) 쥐의 배설물을 통해 전염

라임병(Lyme disease)의 원인 미생물의 자연 숙주는?
사슴, 야생쥐, 진드기, 고양이 (교과서에는 애완동물도 포함)
발진티푸스의 병원체이며 미토콘드리아의 기원으로 추정되는 세균은?
Rickettsia prowazeki

클라미디아에 속하는 미생물이 일으키는 질

(○) 앵무새병


(○) 트라코마 결막염


(×) 연성하감


(×) 경성하감


(×) 임질


(×) 키트림프종

C. trachomatis 감염 환자의 결막상피세포 중에서 [가] 소체가 발견되며 C. trachomatis 균의 두 가지 생물형은 [나] 와(과) [다](으)로 나눌 수 있다.

[] Prowazeki 소체
[] Trachoma
[] lymphogranuloma venerum, LGV

다음 미생물의 학명을 쓰시오.
1) 이질균
2) 콜레라균
3) 매독균
4) 고초군
5) 발진티푸스균
6) 폐렴구균
7) 장티푸스균
1) 이질균 - Shigella dysenteriae, S. flexneri, S. boydii, S. sonnei
2) 콜레라균 - Vibrio cholerae
3) 매독균 - Treponema pallidum
4) 고초군 - Bacillus subtilis
5) 발진티푸스균 - Rickettsia prowazekii
6) 폐렴구균 - Streptococcus pneumoniae
7) 장티푸스균 - Salmonella Typhi
매독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속명은?
Treponema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미생물의 속명은?
Plasmodium
결핵 원인균의 속명은?
Mycobacterium
장티푸스 병원균의 속명은?
Salmonella
항생물질 생산 균주가 가장 많이 소속된 속은?
Streptomyces

변독소 toxoid

(○) 면역성은 있지만 독성은 없다.


(○)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신이 변독소의 예로 들 수 있다.


(×) 항원성이 적기 때문에 부작용 유발 기회가 낮다.


(×) 미생물 표면의 특정한 부분을 목표로 한다.


(×) 독성 때문에 백신으로 사용할 수 없다.

녹농균

(○) 황록색을 나타내는 색소 fluoroscein이 있다.


(○) 녹청색의 pyocyanin이 있다.


(×) 항생제에 내성을 갖고 있지 않다.


(○) 균교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 1차 감염보다는 2차 감염으로 자주 나타난다.


(×) 병원 내 감염의 원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다음 검사법이 각각 무엇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험인지 쓰시오
1) TPI 검사법
2) Wassermann 반응
3) Ziehl-Neelsen staining
4) VLDL법
5) ELEK test
6) Widal test
7) TCBS agar plate
1) TPI 검사법 - Syphilis, 매독, Treponema pallidum
2) Wassermann 반응 - Syphilis, 매독, Treponema pallidum
3) Ziehl-Neelsen staining - Mycobacterium
4) VLDL법 - Syphilis, 매독, Treponema pallidum
5) ELEK test - Corynebacterium diphtheriae 독소 검출
6) Widal test - 장티푸스, Salmonella Typhi
7) TCBS agar plate - 콜레라, V. cholerae
균체의 한쪽 끝에 1개의 편모가 있어 활발히 운동을 하며, 선모가 있어 적혈구를 응집하는 균은?
Vibrio cholerae
패혈증을 동반한 수막염과 패혈성 육아종증(Granulomatosis infantiseptica)을 일으켜 영아 사망을 초래하는 원인균은 무엇인가?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가 생성하는 세포외 효소들을 나열하시오
Coagulase, Lipase, Hyaluronidase, DNase, Fibrinolysin
A군 연쇄상구균의 감염에 의한 비화농성 질병으로 숙주의 면역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대표적인 두 가지 증상은?
급성사구체 신염, 류마티스열
Haemophilus ducreyi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Chancroid(연성하감)
제1군 법정 전염병을 모두 쓰시오
콜레라, 페스트,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 이질, 장출혈성 대장균, A형 간염
세균성 독소를 중화하는 항체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항독소, anti-toxin
DPT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은?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C가 Clostridium인

(○) C. difficile


(○) C. botulinum


(×) C. diphtheria


(×) C. psittasi


(×) C. trachomatis

그람음성균 중 외막에 lipopolysaccharide(LPS)가 아닌 lipooligosaccharide(LOS)를 가지는 세균은?
임질균
장내세균과 세균들이 혐기성호흡을 하는 동안 최종 전자 수용체로 주로 사용하는 물질은?
NO3-

MacConkey agar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붉은색 집락이 생성되는 것

(○) E. coli


(○) K. pneumoniae


(×) S. dysenteriae


(×) S. Typhi


(×) mirabillis


(×) P. aeruginosa

숙주세포 내로 침투하여 식포에서 빠져나와 숙주세포의 세포질에 살면서 숙주세포의 cytoskeleton을 이용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세균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Shigella spp., Richettsia, Listeria, Orientia
Staphylococcus와 streptococcus의 catalase와 coagulase의 존재 유무를 설명하시오
Staphylococcus는 catalase, coagulase 모두 양성,
Streptococcus는 catalase 음성, coagulase 양성
황색포도상구균이 가진 독소들을 나열하시오
세포용혈 독소,
표피박리독소,
장독소,
독소쇼크증후군 독소
Staphylococcus에 속하는 종중에서 혈액한천배지에서 용혈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흰색 집락을 형성하기 때문에 백색포도상구균이라고도 불리는 균은?
S. epidermidis
S. aureus균이 가지는 물질로서 항체의 Fc 수용체와 결합하기 때문에 특히 IgG를 분리하는데 활용되는 것은?
Protein A
S. aureus 균을 혈청과 섞어주었을 때 fibrinogen과 반응하여 응고가 되도록 하는 효소는?
coagulase
S. pyogenes 표면 물질 중 보체(complement)의 C3와 결합하여 대식 작용을 억제하는 물질은?
M 단백질
Streptococcus 속에 속하면서 group B 항원을 가지는 종은?
S. agalactiae
CAMP test를 통해 양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동정을 할 수 있는 균은?
S. agalactiae
다음 균들을 장내세균(Enterobacteriaceae)과 장구균(Enterococcaceae)으로 구분하시오
1) S. typhi
2) E. faecalis
3) E. coli
4) K. pneumoniae
5) S. flexneri
6) E. faecium
1) S. typhi - Enterobacteriaceae
2) E. faecalis - Enterococcaceae
3) E. coli - Enterobacteriaceae
4) K. pneumoniae - Enterobacteriaceae
5) S. flexneri - Enterobacteriaceae
6) E. faecium - Enterococcaceae
Lysogenic bacteriophage가 독소 유전자를 제공해주는 병원균의 예를 쓰시오
C. diphtheriae,
C. botulinum,
V. cholerae,
verotoxin producing E. coli
Elek test를 통해 독소가 생기는 것을 검사하는 균은?
C. diphtheriae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병원균들이 많이 일으키는 질병 4가지는?
장염, 요로감염, 식중독, 균혈증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균들 중 위의 산성 환경에 저항성을 가져서 극소수(100개 정도)의 균을 섭취하여도 발병할 수 있는 균의 속명은?
Shigella

숙주세포를 침습(invasion)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것

(×) P. mirabilis


(×) V. cholerae


(○) S. flexneri


(○) S. Typhi


(○) S. sonnei


(○) EIEC


(○) Y. enterocolitica

Epsilon-proteobacteria

(○) C. jejuni


(○) H. pylori


(×) E. coli


(×) V. cholerae


(×) N. gonorhoeaea

C. jejuni 감염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자가 면역 질환은?
Guilain-Barre syndrome
하향성 마비증(상체에서 하체로 진행되는 마비증상)이 나타나는 환자가 감염되었을 균으로 가장 먼저 의심할 수 있는 균은?
C. botulinum
다음 세균이 속하는 문(phylum)을 쓰시오
1) M. tuberculosis
2) C. diphtheriae
3) B. anthracis
4) M. leprae
5) P. acne
6) E. coli
7) P. aeruginosa
8) S. aureus
1) M. tuberculosis - Actinobacteria, High G+C Gram positive bacteria
2) C. diphtheriae - Actinobacteria
3) B. anthracis - Firmicutes, low G+C Gram positive bacteria
4) M. leprae - Actinobacteria
5) P. acne - Actinobacteria
6) E. coli - Proteobacteria
7) P. aeruginosa - Proteobacteria
8) S. aureus - Firmicutes
B. fragilis의 LPS가 가지는 내독소의 활성이 다른 세균의 내독소보다 활성이 약한 원인 두 가지는?
Lipid A의 인산기가 적다,
지방산의 숫자가 감소되어 있다
S. pyrogenes가 가진 독소로 연쇄상구균 독소 쇼크를 일으키는 독소는?
발적독(erythrogenic toxin or pyrogenic toxin)
세균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철(iron) 이온을 sequester하는 사람의 면역계 단백질은?
lactoferrin
S. pyrogenes가 숙주 선천성 면영ㄱ계(innate immune system)의 옵소닌화(opsonization)와 식세포 작용을 회피하기 위해 표면에 가지는 물질을 나열하시오.
hyaluronic acid capsule,
M protein,
M-like protein,
C5a peptidase
그람음성 병원균들이 숙주 세포 내로 독력인자(virulence factor)를 전달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ype three secretion system
Enterohemorrhagic E. coli가 생산한는 독소와 그 작용기전은?
Shiga-like toxin,
verotoxin,
숙주 세포의 단백질 합성 저해
ETEC의 heat-labile toxin(LT)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독소를 가진 장 병원균은?
V. cholerae
다음 세균의 이름을 쓰시오
1) 오로야열, 페루사마귀의 원인이 되는 세균은?
2) 뿌리혹 박테리아라고도 불리는 질소 고정균은?
3) 유비저, 마비저의 원인균은?
4) 아토병의 원인균은?
5) 여드름의 원인균은?
6) 재귀열의 원인균은?
7) 라임병의 원인균은?
1) Bartonella
2) Rhizobium
3) Burkholderia pseudomallei
4) Fracisella tularensis
5) Propionibacterium acne
6) Borrelia recurrentis
7) Borrelia burgdorferi

Salmonella의 독력인자(virulence factor) 유전자들이 유전체 상에 한 곳에 모여 있는 곳을 [가](이)라고 부르며, Shigella는 독력인자 유전자들이 [나]에 주로 존재한다.

[] Salmonella pathogenicity island
[] virulence plasmid

사람의 병원균들이 포함되는 6개의 주요 박테리아의 문(phylum)은?
Firmicutes(low G+C Gram positive bacteria),
Actinobacteria(hign G+C Gram positive bacteria),
Proteobacteria,
Spirochetes,
Chlamydia,
Bacteriodes
Salmonella Typhi 균이 협막 다당류의 항원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Vi antigen
유행성 콜레라를 일으키는 V. cholerae의 두 가지 혈청형은?
O1, O139
H. pylori의 치료제로써 proton pump 저해제는?
오메프라졸
세균의 지질 다당류에 대한 항체가 말초신경에 반응하여 안면 마비, 운동 마비와 같은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하는 증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길랑-바레 증후군
길랑-바레 증후군의 주요 원인이 되는 세균은?
Campylobacter jejuni
원내감염(nosocomial infection)의 주요 원인이 되는 세 가지 병원균은?
E. coli, S. aureus, P. aeruginosa
주요한 독력인자로 작용하는 리보오스, 리비톨, 인산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협막(capsule)을 가지는 병원균은?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배양 속도가 느리고, 백색의 어금니 모양의 집락을 형성하는 병원균은?
방선균, Actinomyces
정상적인 건강한 숙주에서는 병을 일으키지 않고 정상균총처럼 공생하다가도 숙주의 면역이 약화되었을 때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기회 병원균, opportunistic pathogen
협막을 가지지 않는 형태(R형)의 균이 DNA에 의한 형질전환을 통해 협막을 가지는 형태(S형)로 바뀔 수 있음을 증명하는데 사용된 세균은?
폐렴구균, Streptococcus pneumoniae

장내에서 살고 있는 세균 중 그람 염색의 결과가 양성으로 나타나는 것

(○) E. faecium
(○) E. faecalis


(×) E. coli


(×) Shigella


(×) Proteus mirabilis


(×) K. pneumoniae

구토형 독소나 설사형 장독소를 생산하여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Bacillus cereus
항생제에 의하여 병원균 및 체내 세균이 소실되고, 내성이 있는 균이 선택적으로 증식하여 추가적 질병이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균교대현상, super infection
운동신경의 세포 내로 들어가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lycin, GABA의 방출을 억제하여 근육 수축과 경련을 일으키는 독소를 생산하는 병원균은?
Clostridium tetani
매독균의 편모 형태가 다른 세균과 다른 점을 설명하시오
세균의 몸통과 외부 피막 사이에 내편모(endoflagella): 축섬유
재귀열을 매개하는 절지동물은?
이(louse)
숙주없이 배양이 가능한 가장 작은 세균으로 세포막에 콜레스테롤을 가지는 세균은?
Mycoplasma spp.
M. pneumoniae
세균이지만 독립적으로 살지 못하고 진핵 세포내에서만 증식할 수 있는 세균들의 예를 쓰시오
Rickettsia, Coxiella, Orientia, Chlamydia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세균들 중 락토스를 발효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coliform인 것과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non-coliform을 구분하시오
coliform: Escherichia, Enterobacter, Klebsiella, Serratia, Citrobacter
non-coliform: Proteus, Shigella, Salmonella
세균의 독소 중 T 세포가 싸이토카인을 지나치게 많이 발현하도록 하는 독소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슈퍼 항원, superantigen
Lysozyme의 표적이 되는 세균의 성분은?
peptidoglycan
병원체의 전달 매체로써 (1) vehicle (2) carrier (3) vector를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1) vehicle - 병원체를 전달하는 무생물적 환경이나 사물
(2) carrier - 감염병이 발생하는 숙주와 동일한 종의 개체가 병원체를 전달하는 매개체인 경우
(3) vector - 병원체를 전달하는 숙주가 감염병이 발생하는 숙주와 다른 종이며 대체 크기가 작음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특정 종에서만 병을 일으키는 현상을 [가]이라 하며, 한 숙주 내에서 특정 조직이나 장기에서만 질환을 일으키는 현상을 [나]이라 한다.

[] 종특이성
[] 조직특이성

세균이 생산하는 독소는 흔히 AB 독소인 경우가 많은데, A와 B의 의미를 각각 설명하시오
A: active subunit
B: binding subunit
세균을 혈액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적혈구를 완전히 분해하지 못하여 집락 주변에 녹색 용혈환이 나타나는 용혈 상태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α-용혈

바이러스의 일반적인 특징

(○)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크기가 가장 작은 미생물이다.


(○) 자기 자신의 유전물질을 가지고 있다. (○) 특정 세포 수용체(receptor)와 결합하여 숙주세포내로 침투한다.


(○) 숙주세포가 없으면 증식할 수 없다.


(×) 원핵미생물에 속한다.


) 증식과정에서 항상 세포병변효과를 초래한다.


)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 외피(envelope)가 없는 바이러스는 에테르(ether)와 같은 용매에 의해 쉽게 불활성화된다.


(×)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 다른 미생물들과 같이 모든 바이러스는 DNA를 유전물질로 갖는다.

정이십면체 캡시드(icosahedral capsid)를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

(×) tobacco mosaic virus


(×) T4 phage


(○) poliovirus


(○) papillomavirus


(○) adenovirus


(○) polyomavirus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

(○) 소아마비


(○) 광견병


(○) 홍역


(○) 황열


(○) 뎅귀열


(×) 발진티푸스


(×) 탄저병


(×) 파상풍


(×) 레슈마니아증


(×) 말라리아

(+) sense RNA

(○) 핵산이 단일 가닥 (+) sense RNA의 경우 RNA 중합효소에 의해 (-) RNA를 합성한 후 이를 주형으로 (+) RNA를 복제한다.


(○) 레트로바이러스는 핵산이 (+) sense RNA이나 mRNA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 레트로바이러스는 핵산이 (-) sense RNA로서 이를 주형으로 하여 DNA를 역전사하며, 합성된 DNA는 숙주세포 염색체 속으로 이입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

(○) hemagglutinin이 기주세포의 sialic acid에 부착된다.


(○) A형은 사람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조류, 돼지, 말 등)에 감염할 수 있다.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변이가 자주 발생한다.


(×) 뉴라민산(neuramic acid)이 부착 부위이다.


(×) 이중가닥 DNA를 유전물질로 가지고 있다.


(×) A형, B형, C형 모두 핵산이 8개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자는 세포질에서 복제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자는 핵 내에서 복제된다.

헤르페스 바이러

(○) 황산 헤파린(heparan sulfate)이 부착 부위이다.

바이러스 구성물에 해당하는 세 가지 용어인 capsid, capsomer, protomer의 크기를 비교하시오
protomer < capsomer < capsid

RNA 바이러

(○) parainfluenza virus


(○) measles virus


(○) coxsackie virus


(○) rotavirus


(○) mumps virus


(×) adenovirus


(×) papillomavirus


(×) poxvirus


(×) polyomavirus


(×) human papilomavirus

DNA 바이러스

(○) smallpox virus


(○) Epstein-Barr virus


(○) 사람 거대세포 바이러human cytomegalovirus


(×) measles virus


(×) Rous sarcoma virus


(×) influenza virus


(×) 일본뇌염 virus

각종 바이러스

(○) coronavirus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을 유발할 수 있다.


(○) respiratory syncytial virus는 사람의 체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influenza virus는 대표적인 인수공통감염 병원체이다.


(○) varicella zoster virus는 대상포진을 유발한다.


(○) rotavirus는 유아에게 설사병을 유발한다.


(○) rabies virus는 동물에 의하여 매개되며 뇌 조직에 대한 친화성을 보인다.


(○) rabies virus는 hydrophobia를 유발할 수 있다.


(○) measles virus는 현재 상용화 백신에 의해 예방이 가능하다.


(○) hepatitis B virus에 대한 치료제가 현재 개발되어 있지 않다.


(○) poliovirus는 대부분의 경우 poliomyelitis를 유발한다.


(○) 유두종바이러스는 Papovaviridae에 속한다.


(○) 광견병 바이러스는 Rhabdoviridae에 속한다.


(○) 단순포진바이러스는 3차 신경절 부위에 잠복 감염 후 재활성화되면서 질병을 일으킨다.


(○) 수두와 대상포진은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된다.


(×) adenovirus는 현재 상용화 백신과 치료제에 의해 통제가 가능하다.


(×) rhinovirus는 독감을 유발한다.


(×) rhinovirus는 현재 상용화 백신에 의해 예방할 수있다.


(×) 외피 보유 바이러스는 외피 미보유 바이러스보다 일반적으로 유기용매, 건조 등에 강한 저항성이 있다.


(×) hantavirus의 감염은 모기에 의해 매개된다.


(×) influenza virus에 대한 치료제가 현재 개발되어 있지 않다.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Paramyxoviridae에 속한다.


(×) C형 간염 바이러스는 Togaviridae에 속한다.


(×) 노로바이러스는 Picornaviridae에 속한다.


(×) A형 간염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과에 속한다.


(×) 아데노바이러스는 독감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이다.


(×) 레트로바이러스는 이중가닥의 DNA를 유전물질로 갖는다.

• poliomyelitis는 종종 polio 또는 infantile paralysis라 불리며 이러한 병은poliovirus의 감염으로 유래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 zanamivir


(○) oseltamivir


(○) amantadine


(×) vaciclovir


(×) ganciclovir

독감환자 치료 시 사용하는

(○) 진통해열제


(○) 항히스타민제


(○) oseltamivir


(×) lamivudine


(×) ribavirin


(×) acyclovir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뉴라민산분해효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인체독감 및 조류독감을 치료하는 치료제

(○) oseltamivir


(○) zanamivir


(×) amantadine


(×) ribavirin


(×) acyclovir


(×) zidovudine

유행귀밑샘염 mumps

(○) 감염 치유 후에는 면역이 되어 재발하지 않는다.


(○) 타액선이 부풀어 오른다.


(○) 대개 소아에게 감염 발병한다.


(×) DNA virus에 의한 전염병이다.


(×) measles-mumps-rubella(MMR)이라 하는 사백신이 있다.


(○) 발열, 기침, 인후통, 결막염, 급성후두염, 기관지염, 폐렴, 중이염, 뇌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구강 내에 중심부가 흰색인 붉은 반점으로 나타나는 코플릭 반점(koplik's spot)이 출현하는 경우도 있다.


(○) 유아에게 약독화 생백신을 MMR 형태로 접종하여 예방한다.


(○) 치료자는 종생 면역이 생긴다.


(○) 치료에 회복 환자나 부모의 혈청 감마글로블린을 사용한다.


(○) 점막 부위에 염증과 발열이 생긴다.


(×) 유년기에 피부 발진을 유발하는 세균 감염성 질병이다.


(×) 홍역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 주로 청, 장년기에 발병한다.


(×) RNA 바이러스인 rubella virus에 의한 질환이다.

홍역은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고,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피하는 여러 대증적인 치료를 한다.

RNA를 유전물질로 함유하고 있는 바이러스

(○) measles virus


(○) influenza virus


(○) poliovirus


(×) adenovirus


(×) herpes simplex virus


(×) human papilomavirus

광견병

(○) 광견병에 걸린 야생동물의 교상을 통해 감염된다.


(○) 인두부의 경련으로 연하불능(삼키지 못함)이 된다.


(○) 감염된 세포에서 Negri body를 형성한다.


(×) 잠복 기간은 2-3일 정도로 매우 짧다.


(×) 병원체는 herpesvirus이다.

라이노바이러스 rhinovirus

(○) Picornaviridae에 속하며 단일가닥 RNA를 유전물질로 가진다.


(○) 세포 배양에서 증식시키기 어려우나 회전 배양을 하면 증식될 수 있다.


(○) 100여개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혈청형 간에 면역능은 교차되지 않는다.


(×) 독감의 원인병원체 중 하나이다.


(×) 예방 백신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norovirus

(○) Caliciviridae에 속하며 단일가닥 RNA를 유전물질로 가진다.


(○) 세포 배양이 잘 되지 않아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있지 않다.


(○) 오염된 음용수나 음식을 통해 감염된다.


(×) 주로 여름철에 설사병을 유발한다.


(×) 상용화된 항바이러스 치료법과 백신이 개발되어 있다.

로타바이러스 rotavirus

(○) 성인보다는 유아에서 주로 설사병을 일으킨다.


(○) 오염된 음용수나 음식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 상용화된 경구용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 상용화된 항바이러스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다.


(×) Reoviridae에 속하며 이중가닥 DNA를 유전물질로 가진다.

hantavirus

(○) 이호왕 등이 분리


(○) 유행성출혈열의 원인


(○) 쥐 등의 설치류가 감염원


(×) ebola 열병의 원인균


(×) DNA virus

종양을 유발하는 RNA 바이러스

(○)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 Rous sarcoma virus


(○) human T-lymphotropic virus


(×) papilloma virus


(×) Epstein-Barr virus


(×)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DNA형 종양 바이러스

(○) polyomavirus


(○) hepatitis B virus


(○)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 varicella zoster virus


(×) Rous sarcoma virus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 herpes simplex virus

(○) 입술이나 각막 또는 음부 등에 수포를 발생한다.


(○) 이 병에 한 번 걸린 적이 있다 해도 면역은 매우 약하다.


(○) 감염된 세포 내에서 Lipshutz 입자를 관찰할 수 있다.


(○) 입술이나 음부에 발병한다.


(○) 수포가 생긴다.


(○) 각막염, 결막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 분만 중 신생아에게 감염되지 않는다.


(×) 특별한 항바이러스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 RNA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 면역성이 강하다.

성적 접촉에 의해 매개되는 바이러스

(○) herpes simplex virus 2


(○)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 varicella zoster virus


(×) roseolovirus


(×) Epstein-Barr virus

헤르페스바이러스(herpesvirus)와 매독균(T.pallidum)의 공통점

(○) 잠복성


(○) 전파경


(×) 숙주특이성


(×) 임상증상


(×) 치료방법

임산부의 태반감염을 통한 선천성 감염 질병 중 바이러스성 질병

(○) 거대세포바이러스감염증(CMV)


(○) 성기포진(genital herpes)


(○) 풍진(rubella)


(×) 홍역(measles)


(×) 매독(syphillis)


(×) 톡소포자충감염증(toxoplasmosis)

구순포진(herpes labialis)의 치료에 유효한 것

(○) acyclovir


(○) famciclovir


(×) oseltamivir


(×) amantadine


(×) zidovudine

헤르페스바이러스과 Herpesviridae

(○) 종양원성(oncogenicity)을 가진 것도 있다.


(○) herpes simplex virus 1(HSV-1)은 병소 부위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에 의하여 주로 전염된다.


(○) acyclovir 등이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 RNA 바이러스이다.


(×) herpes simplex virus 2(HSV-2)은 병소 부위가 주로 구강 주위이다.

A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A virus

(○) Picornaviridae에 속하며, 단일가닥 RNA를 유전물질로 갖는다.


(○) 오염된 음용수나 음식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 올바른 위생습관과 불활화 백신을 접종하여 예방할 수 있다.


(×) 소아보다 성인에서 임상증상이 비교적 경미하다.


(×) 열에 강한 내성을 갖는다.

B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

(○)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를 가지고 있다.


(○) 수혈 및 성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 lamivudine, famciclovir, adefovir dipivoxil 등의 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다.


(×) Hepadnaviridae에 속하며, 외피가 있는 작은 RNA 바이러스이다.


(×) 감염되더라도 만성 간염으로는 진전되지 않는다.

D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D virus

(○) HDV는 결손 바이러스이다.


(○) HBV에 이미 감염된 사람에게만 HDV 감염이 성립된다.


(○) HBV와 비슷한 경로로 감염되며 혈액, 체액, 질 분비물 등에 존재한다.


(×) DNA 방이러스 비리온의 크기는 HBV와 비슷하다.


(×) HDV 표면에 항원에 대한 백신의 개발로 HBV 백신과의 동시 접종이 권고된다.

C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 수혈 및 성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 감염된 환자의 약 50%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된다.


(○) 재조합 IFN-α, rivavirin 등이 치료제로 사용된다.


(×) Flaviviridae에 속하며 DNA 바이러스이다.


(×) 종양성을 가지지 않는다.

역전사효소 reverse transcriptase

(○) retrovirus가 가지고 있는 특이효소이다.


(○) RNA-dependent DNA polymerase이다.


(×) RNA-dependent RNA polymerase이다.


) DNA Topoisomerase이다.


(×) 제한효소이다.

retrovirus (예: HIV)

(○) viral nucleic acid인 RNA를 감염시키지 않고 그의 cDNA 자체만을 숙주세포에 넣어주어도 복제과정을 거쳐 progeny를 만들 수 있다.


(○) two copy의 genome을 지니므로 diploid이다.


(○) 복제 과정에서 circular ds DNA를 만들고 이는 host genome으로 integration하여 provirus 형태로 존재한다.


(○) 핵산이 단일 가닥이며 mRNA로서의 역할을 못한다.


(○) 복제과정 중에 역전사효소가 필요하다.


(○) 숙주 염색체에 integration 과정을 거친다.


(○) HIV, HTLV가 이에 속한다.


(×) viral particle은 유전물질로 이중가닥 RNA를 함유한다.


(×) 비리온 내에 숙주에서 유래된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iptase)를 지니고 있다.


(×) 1개의 동일한 양성 가닥 RNA 게놈이 캡시드안에 들어 있고, 이 캡시드는 외피로 둘러싸여 있다.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환자에게서 주로 일어나는 2차 감염질병

(○) Pneumocystis carinii에 의한 폐렴


(○) Cryptococcus neoformans에 의한 수막염


(○) Toxoplasma gondii에 의한 수막염


(×) 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한 폐렴


(×) Clostridium difficle에 의한 위막성 장염

HTLV (Human T-lymphotrophic virus)

(○) 역전사 효소를 가지고 있다.


(○) 외피를 가지고 있다.


(○) 종양성을 가진다.


(×) reoviridae에 속한 바이러스이다.


(×) DNA 바이러스이다.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치료제로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 nevirapine


(○) delaviridine


(○) efavirenz


(×) azidothymidine


(×) saquinavir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치료제로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에 해당하는 것

(○) saquinavir


(○) nelfinavir


(○) indinavir


(×) efavirenz


(○) ritonavir


(×) nevirapine

항바이러스제인 오셀타미버(oseltamivir)

(○) 뉴라미니다아제의 촉매부위와 결합하여 효소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 증상 발현 후 2일 내에 시작하여 5일간 투여한다.


(○) 소화관에서 잘 흡수되므로 주로 인산염 형태로 경구 투여한다.
(○) 새로 생성된 바이러스의 숙성 및 방출을 저지하여 전파를 막는다.


(×) A 형 및 B 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독감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며, 조류 독감의 예방과 치료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 기관지 수축 등의 안전성 문제로 7세 이하의 유아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항바이러스제 중 염기유사체 구조

(○) 아시클로버(acyclovir)


(○) 이독수리딘(idoxuridine)


(○) 시도포버(cidofovir)


(○) 시타라빈(cytarabine)


(×) 포스카네트(foscarnet)


(×) 도코사민(docosamine)


(×) 트로만타딘(tromantadine)

항바이러스제인 아시클로버(acyclovir)

(○) HSV-1, HSV-2, VZV, EBV 등과 같은 헤르페스바이러스과에 주로 유효하다.


(○) 헤르페스바이러스 내에 존재하는 티미딘 인산화효소(thymidine kinase)에 의한 인산화 과정이 약물의 활성화에 중요하다.


(○) 경구투여시 두통, 오심, 구토, 설사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 비환상 형태의 아데닌 유사체이다.


(×) HSV에 의한 각결막염 및 구순포진, VZV에 의한 대상포진, EBV 양성 림프종 치료시 항암제로 사용된다.

자발성 감염질환


slow virus infections causing degenerative disease

(○) 해면양뇌병증


(○) prion


(○) Kuru disease


(○) Creutzfeldt-Jacob disease(CJD)


(×) delta virus


(×) 비로이드

Varicella-zoster virus 및 herpes simplex virus의 공통점

(○) 잠복 감염을 형성하며 후에 재활성화되어 질병을 일으킨다.


(○) 병변주위의 특징적인 물집이 관찰된다.


(○) 티미딘 인산화효소를 가지고 있다.


(×) 중증으로 질병이 발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체액성 면역이 중요하다.


(×) 감염의 주된 경로는 비말에 의한 호흡기 감염이다.

arboviruses

(○) Japanese encephalitis virus


(○) yellow fever virus


(×) poliovirus


(×) variola virus


(×) influenza virus

신경세포 주로 감염바이러스 neurotropic virus

(○) 일본뇌염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 성기헤르페스바이러스(genital herpes virus)


(○) 광견병바이러스(rabies virus)


(○) 소아마비바이러스(polio virus)
(×) 천연두바이러스(smallpox virus)


(×) 황열(yellow fever)


(×) 인플엔자(influenza)


(×) 홍역바이러스(measles virus)

HSV-2는 잠복감염(latent infection)을 sacral dorsal root sensory ganglia라는 신경계에서 구축한다.

일본뇌염

(○) 신경계를 주로 감염한다.


(○) Culex 속 모기가 전염시켜 발병한다.


(○) 불활성화 백신으로 예방한다.


(○) 척추동물(소, 말, 돼지 등)과 조류 등이 보균동물이다.


(○)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 목 부분의 경직, 경련 및 의식장애를 일으킨다.


(○) 인수공통전염병이다.


(○) 주로 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유행한다.


(×) DNA 바이러스가 유발한다.


(×) Orthomyxoviridae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된다.


(×) 모기의 활동이 왕성한 아프리카에서 주로 유행한다.


(×) Aedes 속 모기가 매개한다.


(×) 상용화된 예방 백신이 존재하지 않는다.


(×) 상용화된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다.

소아마비

(○) paralytic poliomyelitis


(○) Sabin 백신


(○) Salk 백신


(○) 엔테로바이러스


(×) Negri소체


(×) 호흡기 감염

엔테로바이러스

(○) poliovirus


(○) coxsackie virus


(×) influenza B virus


(×) variola virus


(×) influenza A virus


(×) measles virus

천연두 바이러스 smallpox virus

(○) DNA virus


(○) variola virus


(○) Guarnieri 소체


(○) variola virus


(○) 예방에 생백신을 사용한다.


(○) 강한 면역을 획득할 수 있다.


(○)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주로 호흡기 경로를 통해 전파된다.


(×) Negri 소체


(×) Pap smear


(×) Koplik 반점이 생긴다.


(×) RNA 바이러스이다.

천연두

(○) 호흡기로 감염될 수 있다.


(○) 수포(물집), 농포(고름집), 가피(딱지) 진행 과정이 동일 보조를 취한다.


(○) 전 세계적인 예방 접종 프로그램에 의해 1980년 천연두 박멸이 선언되었다.


(○) 가피가 벗겨진 후 반흔(자국)을 남긴다.


(×) 손바닥이나 발 등에는 농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 varicellar zoster virus에 의한 질환이다.

전염성 - 특징

(○) 공수병 - Negri 소체


(○) 인플루엔자균 - Type b 다당류


(×) 대장균 O157:H7


(×) Botulism - schick test

신경성 후유증이 있는 바이러스 질환

(×) 천연


(×) 바이러스성 설사


(○) 광견병


(○) 무균성 뇌척수막염


(○) 일본뇌


(○) 유행성회백수염

인유두종바이러스 human papillomavirus

(○) 피부나 점막의 상처를 직접 접촉, 성관계, 신생아가 감염된 산도를 통과하는 경우 감염될 수 있다.


(○) 세포검사(pap smear)라 불리는 자궁경부질 세포검사를 통해 인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한 자궁경부암의 조기 발견이 가능하다.


(○)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 파포바바이러스과(Paapovaviridae)에 속하며, 양성 단일가닥 RNA를 유전물질로 가진다.


(×) 자궁경부암, 사마귀, 성병성 림프육아종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종앙바이러스 - 관련된 대표적인 암의 종

(○) B형 간염 바이러스 - 간암


(○) 인유두종바이러스 - 자궁경부암


(○) 사람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 T 림프종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 양성 두경부종양


(×)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 - 자궁경부암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

(○) 자궁경부암


(○) 사마귀


(○) 항문, 생식기 사마귀


(○) 양성 두경부종양


(×) 성병성 림프육아종


(×) 유방암

홍역 증상 중 가장 특징적인 것

Koplik 반점

Rabies virus에 감염된 세포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것

Negri 소체

천연두 진단의 중요한 증거가 되는 것

Guarnieri 소체

Japanese encephalitis virus의 전염 매개체

Culex 모기

감염시 수포성 발진을 유발하며 1차 감염 후 체내에 잠복하였다가 면역이 저하되면 다시 2차 증상을 발현하는 입방대칭형(icosaherdron)의 DNA 바이러스로, acyclovir에 의해 증식이 억제되는 것은? 2가지
herpes simplex virus(HSV),
varicella-zoster virus(VZV)
수인성 전염되는 Picorna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혈중 aminotransferase 농도의 증가와 함께 피로, 구토, 황달, 갈색뇨 증상을 나타내는 바이러스는? (한가지)
hepatitis A virus(HAV)
설치류의 진드기를 매개체로 하여 전염되는 바이러스로 발열, 오한, 식욕부진과 함께 단백뇨와 같은 신증후군과 상반신에 피부발진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은? (한가지)
Hantan virus
감염된 환자의 구강에서 Koplik spot이 발견되는 바이러스는? (한가지)
measles virus
항바이러스제의 일종인 amantadine에 의하여 증식이 억제되는 바이러스는?
influenza virus
수두를 일으키며 재발시 대상포진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의 원인체로 알려진 것은?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전 세계적으로 유아설사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로 생후 4주부터 접종되는 경구용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바이러스는?
로타바이러스(rotavirus)
유행성 각결막염(아폴로 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감염된 세포 내에서 Guarnieri 소체가 관찰되는 바이러스는?
천연두 바이러스(variola virus)

경구를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

(○) A형 간염 바이러


(○) 아데노바이러스


(○) 아스트로바이러스


(○) 소아마비 바이러스


(○) 노로바이러스


(×) B형 간염 바이러스


(×) C형 간염 바이러스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


(×) 거대세포 바이러스

종양 바이러스 - 관련된 암의 종류

(○) HBV - 간암
(○) EBV - 버킷림프종
(○) HHV-8(KSHV) - 카포시육종
(○) HPV - 자궁경부암
(○) HTLV - T 림프종

HBV와 HDV가 중복감염된 전격성 감

HBV 단독감염보다 치사율이 약 10배 정도 증가한다.

대변이 antigenic shift

새로운 항원형의 출현과 관련이 있다. antigenic shift는 항원성을 변화시키고, antigenic drift는 아형의 변화를 초래한다.

소변이 antigenic drift

점돌연변이가 수년간 누적되어 발생한 것이다.

사람 거대세포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특징

부엉이 눈 모양의 봉입체가 감염된 세포에서 관찰된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질환

매우 다양하며 유행성 각결막염 외에 위장관질환, 급성호흡기질환, 비인두결막염 등이 있다.

아스트로바이러스

소아와 성인에게서 위장관염의 원인이 되며 현재 치료약이나 백신이 없다.

라이노바이러스

(○) 상기도 감염으로 인한 감기의 원인이 되며 연중 발생한다.


(○) 초가을이나 봄에 주로 유행한다.


(×) 초가을이나 봄보다 한겨울에 주로 유행한다.

프리

(○) 주로 퇴행성 신경질환을 일으킨다.


(○) 잠복 기간이 길지만, 증상이 시작되면 진행이 빠르다.


(×) 잠복 기간이 매우 짧다.

간염 바이러스

(○) B형 간염 바이러스 및 C형 간염 바이러스는 혈액 또는 장기 이식을 통해 전파된다.


(○) A형 간염 바이러스는 경구를 통해 전파되고 D형 간염 바이러스는 혈액을 통해 전파된다.


(×) A형 간염 바이러스와 D형 간염 바이러스는 경구를 통해 전파된다.

바이러스가 감염된 동물을 통해 전파되는 질환

에볼라 출혈열, 한탄바이러스 폐증후군, 공수병, 라사열 등이 있다.

HSV 1형과 2형

(○) HSV-1에 의한 병소는 주로 허리 윗부분으로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 HSV-2에 의한 병은 허리 아랫부분인 생식기에서 주로 발생하며 성 접촉으로 전파된다.

병원성 진균류

(×) Entamoeba histolytica


(○) Epidermophyton floccosum


(○) Trichophyton mentagrophytes


(○) Candida albicans


(○) Cryptococcus neoformans

진균류로 인하여 일어나는 질병

(○) 칸디다증(candidiasis)


(○) 히스토플라스마증(histoplasmosis)


(×) 임질(gonorrhea)


(×) 매독


(×) 단순헤르페스(herpes simplex)


(×) 공수병(rabies)

Candida albicans

(○) gentian violet


(○) thrush


(○) sabouraud dextrose medium


(×) trichomoniasias

곰팡이 중 무좀(athlete's foot)을 일으키는 것

(○) Trichophyton rubrum


(○) Microsporum audouini


(○) Epidermophyton floccosum


(○) Candida albicans

효모균증 cryptococcosis

(○) 감염환자의 가래 등을 인디아 잉크로 염색하면 협막형성을 관찰할 수 있다.


(○) amphotericin B와 5-FC를 병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 고급지방산 mycolic acid를 함유하여 항산성을 나타낸다.


(×) Wasserman에 의해 혈청학적 진단법이 개발 되었다.
(×) 병든 새로부터 직접 접촉으로 감염된다.

1) 피부진균증에 사용하는 아졸 계열의 항진균제는? (두가지)
2) Penicillin속에서 생산하는 것으로 피부사상균증에 사용되는 항진균제는? (한가지)
3)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생합성 저해에 관여하는 것으로 피부사상균증에 사용하는 allylamine계 항진균제는? (두가지)

1) fluconazole, clotrimazole
2) griseofulvin
3) terbinafine, naftifine

Amphotericin B, nystatin 등과 같은 폴리엔 마크로라이드 항진균제의 작용점은 어느 것인지 쓰시오
에로그스테롤(ergosterol)

기회성 진균증의 원인이 되는 진균류

(×) Epidermophyton floccosum


(○) Pneumocystis carinii


(○) Aspergillus fumigatus


(○) Candida albicans


(○) Cryptococcus neoformans

전신성 진균증에 해당하는 것

(○) 분아진균증(blastomycosis)


(○) 콕시디오이드진균증(coccidioidomycosis)


(○) 효모균증(cryptococcosis)


(×) 두부백선(tinea capitis)


(×) 스포르트리움증(sporotrichosis)

손톱의 백탁과 붕괴가 증상인 조갑백선(tinea unguium)의 주요 원인균은?

Tinea rubrum,
Tinea mentagrophytes

피하진균증의 증세가 만성화되어 림프샘을 따라 몸전체로 퍼지면 전신성 진균증인 스포로트리쿰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스포로트리쿰증의 대표적인 치료약물은?
Itraconazole
면역력이 저하되거나 건강이 쇠약해졌을 때 정상미생물총에 있던 진균에 대한 감수성이 생겨 유발되는 진균증의 종류는?
기회성 진균증
전신감염 칸디다증에 주로 사용되는 치료 약물은?
Amphotericin B 단독,
또는 5-Flucytosine과 병용으로 치료

질칸디다증에 적용하는 국소 치료 약물

(×) zidovudin


(○) butaconazole


(○) miconazole


(○) clotrimazole


(○) nystatin

히스토플라스마증 histoplasmosis

(○) Histoplasma capsulatum가 주요 원인균이다.


(○) 미국 중부 지역의 조류 배설물 중에 들어있는 포자가 주요 오염원이다.


(○) 폐로 흡입된 포자는 대식세포 안에서 효모 형태로 전환된다.


(○) amphotericin B가 가장 유효하다.


(×) 멜라닌 색소를 포함하고 있어 유색진균이라고도 한다.

다표재성 진균증의 원인균 - 질환

(○) Piedraia hortae - 흑색 사모증
(○) Trichosporon beigelii - 백색 사모증
(○) Malassezia furfur - 어우러기

피부사상균에 적용하는 외용제

(○) econazole


(○) miconazole


(○) greseofulvin


(○) terbinafine


(○) clotrimazole

표재성진균증

(○) 어우러기는 Malasserzia furfur가 원인균이며 지방기가 많은 목과 얼굴 피부에 특히 기생한다.


(○) 백색 사모증은 Trichosporon beigelii가 원인균으로 옅은 노랑 소절을 형성한다.


(×) 흑색 백선증은 Piedraia hortae가 원인균이며, 주로 모간에 서식하고 검은 소적을 형성한다.


(×) 흑색 사모증은 Exophiala werneckii가 원인균이며 멜라닌을 생성하여 흑색으로 변한다.

피부진균증 dermatophytes

(○) 두부백선(Tinea capitis)은 두피 모발의 감염으로 머리카락이 빠지고 염증이 생긴다.


(○) 족부백선(Tinea pedis)과 수부백선(Tinea manuum)은 발과 손에 피부사상균이 감염된다.


(○) 조갑백선(Tinea unguium)은 손톱의 백탁과 붕괴가 생기는 것이다.


(×) 체부백선(Tinea corporis)은 사타구니에 감염되는 피부사상증이다.


(×) 고부백선(Tinea cruris)은 털이 없는 부위에 환상피진을 형성해 수포농포성 병변이 생성된다.

기회성 진균증의 일종으로 특히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함유 안약을 장기 사용했을 경우 안구에 생길 수 있는 감염증은?
안구 칸디다증(Ocular candidiasis)

각종 진균증의 진단방법

(○) 전신성 감염증의 경우 환자 내부의 채취물을 수집하여 주로 현미경학적으로 관찰한다.


(○) 표재성 진균증의 경우 감염 부위 표면은 70% 에탄올로 채취하거나 10% 수산화칼륨으로 처리한 피부각질, 모발이나 모간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 Cryptococcus neoformans로 야기되는 뇌수막염의 경우 환자의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을 채취하여 협막 염색을 하여 진단한다.


(○) Candida albicans의 경우 5-10% 혈청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여 1-2시간 내에 균사 형성 여부를 확인한다.

일반적 진균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것

(○) potassium iodide(KI)


(○) ampotericin B


(○) 5-flucytosine


(○) miconazole


(×) chloramphenicol

뉴모시스티스 폐렴을 유발하는 Pneumocystis jiroveci는 다른 진균류와는 달리 세포막에 에르고스테롤이 없어 아졸계열 약물은 효과가 없다. 뉴모시스티스 폐렴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 두가지는?
Trimethoprim, Sulfamethoxazole
신생아, 당뇨병 환자, 항생제 복용환자 또는 AIDS 감염 환자 등에게 아구창(thrush)이라고 하는 감염증세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기회성 진균은?
Candida (albic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