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ffle
    Toggle On
    Toggle Off
  • Alphabetize
    Toggle On
    Toggle Off
  • Front First
    Toggle On
    Toggle Off
  • Both Sides
    Toggle On
    Toggle Off
  • Read
    Toggle On
    Toggle Off
Reading...
Front

Card Range To Study

through

image

Play button

image

Play button

image

Progress

1/275

Click to flip

Use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navigate between flashcards;

Use UP and DOWN arrow keys to flip the card;

H to show hint;

A reads text to speech;

275 Cards in this Set

  • Front
  • Back
  • 3rd side (hint)

혈전증 경색

(○) 죽상 동맥 경화에 의한 혈관 내피 세포 손상이 혈전의 주요 원인이다.


(○) 색전이 발생하기 쉬운 장기는 심장, 뇌, 폐, 비장(지라)이다.


(×) 혈전은 혈액의 집합체로서 주요 구성 성분은 적혈구이며 혈소판과 백혈구는 거의 포함되지 않는다.
) 동맥 혈전에 의한 경색은 말초 영역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 경색의 원인은 대부분 색전으로 혈전은 적다.

부종

세포 밖에 필요 이상의 체액 성분이 저류된 상태를 (부종)이라고 한다. (부종)의 원인은 정맥압 상승, 교질 삼투압의 (감소), (림프관) 폐색이 있다.

백색경색, 적색경색

백색경색 생긴 장소에 혈액 공급이 적절하지 않아 밝은 황색,


적색경색은 생긴 장소에 출을 동반하여 적색

혈액량 감소성 쇼크

체내외로 대량의 혈액 손실 쇼

심장성 쇼크

심장의 펌프기능 상실 쇼

패혈성 쇼크

전신이 미생물에 의해 심하게 감염 또는 엔도톡신에 의한 쇼

신경성 쇼크

뇌나 척수의 급성 손상 뒤 신경반사에 의한 쇼

과민성 쇼크

전신에 급성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쇼

울혈, 경색

정맥 혈액의 흐름이 막혀, 혈관 내에 혈액이 필요 이상 정체되어 있는 상태를 (울)혈이라고 하며 (허)혈에 의해 조직 괴사가 일어나는 것을 (경색)이라 한다.

폐부종

발생 원인은 심장의 혈역학적 변화로 폐 모세혈관 내 관류압을 (증가)시키고 림프관으로 체액 흐름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심한 넓적다리 골절상을 입은 20대가 병원에 실려 왔는데, 얼마 후 이 환자가 색전에 의한 심한 허혈성 심근경색 진단을 받은 원인

(○) 지


(×) 공기
) 혈액


(×) 종양


(×) 양수

50대의 알코올증후군 환자가 간 기능 저하에 의한 부종이 생긴 원인

(○) 알부민 생산 부족
(×) 쓸개즙 생산 부족
(×) 혈액응고인자 생산 부족
(×) 트롬보포이에틴 생산 부족

세포 외액의 부피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인 나트륨의 흡수를 조절하는데 기여하는 사구체 옆장치에서 분비하는 호르몬

(○) 레닌
) 코르티솔
) 알도스테론
) 안지오텐신
) 바소프레신

동맥 혈전증을 발병시키는 중요 3대 요인

1. 혈관내피 손상
2. (혈류의 변화)
3. 혈액응고 (점성)의 변화

혈액 응고 과정

(○) 프로트롬빈은 활성화된 응고인자 X에 의해 트롬빈으로 전환된다.
(○) 피브리노겐은 트롬빈에 의해 피브린(섬유소)으로 전환된다.
(○) 응고인자 XIII는 피브린을 안정화된 그물망 형태로 전환한다.


(×) 조직인자와 응고인자 XII 결합체는 응고인자 X와 XI를 활성화한다.

혈관 손상에 의한 혈소판 부착과 응집

(○) 혈소판 부착은 콜라겐과 폰빌레브란트 인자(vWF)와 혈소판 표면 당단백질 수용체에 의해 매개된다.
(○) 혈소판 과립성분은 혈소판 부착과 응집을 촉진시킨다.
(○) 피브리노겐 수용체인 당단백질 IIb/IIIa를 통해 혈소판이 응집된다.


) 혈소판은 활성화되면 별모양에서 구형으로 변화한다.

혈관 내피세포에 의한 항응고 기전

(○) 프로스타시클린(prostacyclin)을 분비한다.
(○) 산화질소(NO)를 유리한다.


(○) 단백질 C(Protein C)를 분비한다.


) 아데노신 이인산(ADP)을 분비한다.

혈전 용해

(○) 조직형 플라스미노겐 활성제는 혈전 용해를 촉진한다.
(○) 우로키나아제형 플라스미노겐 활성제는 혈전 용해를 촉진한다.
(×) 칼리크레인(Kallikrein)은 혈전 용해를 억제한다.
(×) 2-항플라스민은 혈전 용해를 촉진한다.

죽상동맥경화증 병소

(○) 지방반(fatty streaks)이 있다.
(○) 섬유 염증성 지방플라그가 있다.


(×) 플라그에 신생 혈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 T세포는 플라크에 존재하지 않는다.

죽상동맥경화증 위험인자

흡연, 고혈압, 높은 LDL 콜레스테롤, 낮은 HDL 콜레스테롤, 당뇨, 노화, 스트레스, 이상지질단백혈증 등

고혈압의 후천적 원인

(○) 콩팥동맥협착증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 쿠싱증후군 (Cusing syndrome)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 크롬친화세포종 (pheochromocytoma)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 갑생샘기능저하증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레이노질환 Raynaud phenomenon

(○) 피부의 정맥혈관 경련을 나타난다.


(○) 공피증과 전신홍반루프스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 종종 감각이상과 통증을 수반한다.


) 병소가 창백해지며, 추위에 의해 증상이 완화된다.

동맥류

(○) 복부 대동맥류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동맥류이다.


(○) 뇌동맥 동맥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딸기형 동맥류(berry aneurysm)이다.
) 복부 대동맥류는 대부분 복부에 통증을 유발한다.


) 고혈압, 커피, 그리고 가벼운 음주가 위험인자다.

• 복부대동맥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일부 복부통증, 혈전이 색전되어 말초동맥 막으면 다리에 허혈 발생


유전적요인, 환경적요인, 고혈압, 흡연 등의 위험인자가 복합적으로 작

정맥류

(○) 50세 이상의 여성에서 남성보다 흔하게 나타난다.


(○) 대부분 임상적 증상 없고 주로 미적 문제를 유발한다.
(○) 심각한 정맥류는 정체피부염을 초래할 수 있다.


(×) 비만과 가족력은 정맥류 유병율과 상관없다.

심장 기능 상실과 관련된 심장 성장 촉진인자
안지오텐신 II, 엔도테린,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심장친화성 시토카인

심근 경색 합병증

부정맥(Arrhythmia), 좌심실 기능상실과 심장성 쇼크, 경색의 확장, 심장 근육의 파열, 심장벽의 혈전과 색전, 심낭염

좌측 심장 기능 상실의 임상 특징
운동시 호흡 곤란, 기좌호흡, 발작, 야간 호흡 곤란
관상동맥질환의 중요한 위험인자
고혈압, 흡연, 당뇨, 혈액 내 콜레스테롤 증가
급성 세균성 심내막염 위험 인자
선천 심장병, 승모판 탈출증,정맥 주사를 통한 약물 남용, 인공판막 이식술

심실 비대, 심장 기능 상실

(○) 만성 심장 기능 상실과 관련하여 심실 비대는 모든 상황에서 관찰된다.
(○) 수동적 폐울혈은 죄측 심장 기능 상실로 유발된다.
(○) 이완기 심장 기능 상실은 심장의 노에 의한 심근 섬유화가 원인이다.


(×) 우측 심장 기능 상실은 가장 흔히 일어나는 심장 손상 반응의 결과이다.

측 심장 기능 상실은 가장 흔히 일어나는 심장 손상 반응의 결과이다.

허혈성 심장병

(○) 허혈성 심장병은 심장의 산소 요구량에 비해 혈류가 부족한 경우 발생한다.
(○) 죽상 동맥 경화증과 혈전증은 허혈성 심장병의 주요원인이다.
(×) 고혈압은 허혈성 심장병의 주요 위험인자로 작용하지 않는다.
) 심근 경색은 임상 증상을 통해 예측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세균성 심내막염

(○) 세균성 심내막염의 가장 흔한 임상 특징은 심장 잡음이다.
(○) 세균성 심내막염의 임상 증상으로 점상 출혈, 손가락에 곤봉 모양이 나타난다.


(×) Straptococcus viridans는 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다.


(×) 승모판 탈출증(MVP)은 소아 세균성 심내막염의 흔한 원인이다.

급성 세균성 심내: 독성 강한 Staphylococcus aureus, S. pyrogens에의한 감염


아급성 세균성 심내: 비교적 독성 약한 Streptococcus viridans, Stapylococcus epidermidis에 의한 감


• 선천 심장병(CHD): 소아 세균성 심내막염의 흔한 원인

고혈압성 심장

(○) 고혈압성 심장은 고혈압 이외의 다른 원인 없이 심장이 비대해진 상태를 말한다.


(○) 고혈압성 심장의 결과로 심장 근육 허혈, 심근 경색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 고혈압성 심장의 경우 고혈압 상태로 인해 우심실의 변화가 유발된다.
(×) 급성 고혈압에 의한 반응으로 심장의 비대가 유발될 수 있다.

만성 고혈압 좌심실 비대, 좌심실 근육 두꺼워

허혈성 심장의 병리

(○) 심장 내막하 경색의 경우 좌심실 1/3~1/2 지점에서 일어난다.
(○) 심근 경색이 치유되고 몇 달이 지나면 병변 부위는 단단하고 수축된 회색모양이 된다.
(○) 전층 경색의 경우 일반적으로 관상 동맥의 폐색에 따라 나타난다.
) 심근 경색에 의한 병변이 젤라틴 같은 외형으로 변하는 건은 24시간 이내에 나타난다.

폐 질환

(○) 양수 과소증은 폐 형성 저하의 주요 원인이다.
(○) 폐암 중 소세포 암종은 화학적 요법에 잘 반응한다.
(○) 폐암 중 소세포 암종의 경우 요붕증과 같은 신생물 딸림증후군의 특징을 보인다.


(×) 폐렴알균성 폐렴의 경우 폐는 회색 간변기를 거쳐 적색 간변기로 이행한다.


(×) 폐기종은 말단세기관지의 폐포층이 확장되어 섬유화를 통해 폐포가 파괴되는 질병이다.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Type Ⅱ 폐포세포에 의한 계면활성제 생성저하
술잔세포
만성 기관지염의 경우 기관지 상피에서 이 세포의 과다 증식이 일어난 것

알파-1-안티트립신

폐기종은 이 효소의 활성이 감소하여 결국 엘라스틴 용해 활성이 증가됨

규폐증
이산화규소의 과다 흡입으로 인한 질환

천식 지속 상태

심한 급성 천식이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기관지 평활근이 과다 형성 되어있음

태아기에는 높은 폐 동맥압 때문에 우심실에서 박출된 혈액이 어떻게 순환하게 되는가?
폐동맥을 우회하여 동맥관을 통해 전신순환
폐암의 발병과 관련된 유전자
K-ras, Myc, Bcl-2, Rb, p53
기흉
흉막의 외상성 천공이나 선척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흉막공간에 공기가 존재하는 질병

거대적아구성 빈혈에서 엽산결핍성 빈혈이 악성 빈혈과 다른

신경증상(감각이상, 손발 마비, 운동실조)이 없

철겹핍성 빈혈

(○) 여성, 임신/수유부, 소아에게 많이 발생한다.
(○) haemoglobin의 합성이 억제되어 초래한다.
(×) intrinsic factor의 결핍에 의해 초래된다.
) 선천적으로 glucose-6-phosphate의 결핍에 기인한다.

혈우병: 유전적으로 내인성 응고인자의 결핍, 출혈 (열성 남성에게 발병, 여성은 운반자)


• G6PD, glucose-6-phosphate deficiency: 용혈성 빈혈 유발

혈소판 응집을 촉진하는 생리활성물질
adenosine diphosphate (ADP), thromboxane A₂

혈전성 정맥염의 원인

(○) 정맥주사시 감염
(○) 임신
(○) 경구용 피임약
) 흡연

킨림프종

(○) 발열, 피로, 체중감소를 초래한다.


(○) Reed-Sternberg 세포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 주로 클론성 T림프구 악성종양이다.


(×) 다수의 림프절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다.

erythropoietin
적혈구 생성을 촉진시키는 호르몬

혈액응고 인자

(○) thromboplastin
(○) thrombin
(○) fibrinogen
) plasmin

Ig E

비만세포에 항원과 함께 결합하여 즉시형 과민반응을 초래하는 항체

출혈 억제 물질 - 생리활성

(○) serotonin - 혈관수축
(○) thromboxane A₂ - 혈소판 응집
(○) thrombin - 혈액응고
) plasmin - 혈전용해

과립구 감소증 유발 약물

(○) aminopyrine
(○) antipyrine
(○) phenylbutazone
) aspirin

역류성 식도염

(○) 식사 후 일시적인 역류가 자주 생겨 발병할 수 있다.
(○) 알코올 섭취나 흡연이 하부 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이나 에스트로겐 요법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 식사 후 바로 누웠을 때 발병한다.

바레트식도 Barrett esophagus

식도의 편평상피가 원주상피로 대체되는 것으로 식도암으로도 발전할 수 있는 질환

급성 출혈위염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SAIDs)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 화상환자에게서 스트레스성 궤양과 미란(erosions)이 나타날 수 있다.
(○) 사고나 수술에 의한 중추신경성 외상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위장의 한부분에서만 점상출혈이나 점막 출혈이 동반됨.

Helicobacter pylori
만성 위염(Chronic Gastritis)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대표적인 미생물
소화궤양의 대표적인 합병증 3 가지
출혈(Hemorrhage), 천공(Perforation), 폐색(Obstruction)

위암종

(○) 식욕부진과 현기증을 동반한 체중감소
(○) 유문 폐색이 나타난다.
(○) 만성출혈로 인한 빈혈, 대변에서의 잠혈이 있다.

후천성 젖당분비효소 결핍증

청소년기에 시작되며 증상으로 유제품 섭취 후 복부 팽만감, 고창, 설사, 내장 점막을 손상시키는 질환 (만성소화장애증)

크론병 Crohn's disease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으로 염증이 장 벽의 전층에 걸쳐서 일어나는 질환

대장암 임상 특징

(○) 대변의 잠혈
(○) 선홍색 출혈
(○) 폐쇄성 증상에 의한 복부 통
(○) 천공에 의한 복막염
(○) 만성 무증상 출혈로 인한 철 결핍성 빈혈

노르워크바이러스 Norwalk virus

미국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위장염의 1/3을 차지하며 주로 소장의 윗부분을 침투하고 설사와 구토가 발생하며 2일 내 증상이 소멸되는 영아기 설사의 주된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

간염

(○) B형 간염과 C형 간염은 혈액이나 성적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 A형 간염은 급성 간염의 주요한 원인이다.
) anti-HCV의 존재는 평생 면역 획득을 의미하고,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 A형 간염 환자의 100%는 만성 간염으로 발전하고, 간경화로 진행된다.
) 바이러스성 간염 중 가장 높은 수직 전파 감염률을 보이는 것은 C형 간염이다.

빌리루빈 대사와 황달

(○) 황달은 간경화의 주요 합병증이다.


) 길버트 증후군은 포합형 빌리루빈이 증가하는 질환이다.


) 황달은 간염의 첫 임상증상이다.
) 용혈성 황달 환자의 변은 연한 색깔이며 뇨는 진한 색깔을 띈다.
) 신생아 달은 신생아의 심각한 간 손상을 의미한다.

간경화

(○) 간경화와 간기능 상실의 합병증에는 간성 뇌병증, 부종, 지혈 장애등이 있다.
(○) 간경화 환자의 비타민 A, D, K 결핍은 담즙 생성감소와 관련이 있다.
(○) 간성 뇌병증은 혈중 암모니아 농도 증가와 관련된다.


(×) 간경화 환자는 콩팥의 관류 이상으로 요량증가증이 나타난다.


(×) 간경화 환자에서 나타나는 손바닥 홍반이나 여성형 유방은 에스트로겐의 합성 증가에 기인한다.

간경화의 병인

(○) 알코올 중독
(○) 혈색소증
(○) 쓸개관 폐색
(○) 만성 간염


(×) A형 간염

문맥고혈압

(○) 알부민 합성 감소와 알도스테론 분비 증가는 문맥고혈압 환자의 복수 형성을 유발한다.
(○) 대정맥의 폐쇄나 간정맥 혈전은 문맥고혈압을 유발한다.


(×) 간문맥 혈전은 허혈성 간질환을 유발하기 쉽다.


(×) 문맥고혈압의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항문직장정맥류이다.


(×) 간 문맥압의 증가는 지라의 기능 저하를 유발하여 혈구 제거율이 낮아진다.

간질환

(○)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최초의 병리적 변화는 간세포 내 지방의 축적이다.
(○) 심각한 알코올성 간 손상 시 간세포의 세포질 내에 축적되는 불규칙한 핑크색 봉입체는 말로리 소체이다.
(○) 사염화탄소나 아세트아미노펜은 간독성 물질로 용량의존적 간세포 괴사, 거대 소포체성 지방증을 유발한다.


(×) 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 섭취를 중단해도 회복되지 않는 비가역적 질환이다.


(×) 알코올성 지방간의 증상에는 권태감, 열, 황달등이 있다.


(×) 간세포에서 지방의 축적은 심각한 간세포 손상을 유발한다.

쓸개돌

(○) 쓸개돌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상체중보다 비만한 경우 발병률이 높다.


(○) 쓸개돌에 의한 온쓸개관의 폐쇄는 췌장염을 유발한다.
) 쓸개돌의 병인은 쓸개즙 내 콜레스테롤 분비 감소와 담즙산염 및 레시틴 분비증가이다.
) 쓸개돌에 의한 만성쓸개염의 치료로 쓸개절제술을 시행하면 쓸개즙은 더 이상 분비되지 않는다.
) 쓸개돌이 쓸개에 생성되는 즉시 심한 쓸개즙통증을 유발한다.

간에 대한 설명

(○) 간은 간문맥과 간동맥의 이중 혈류 공급을 받는 장기이다.
(○) 간염환자의 혈청 aminotransferase의 수치는 증가되어 있다.
) 간경화 환자는 PT(prothrombin time) 수치가 감소한다.
) 담도 폐쇄에 의한 쓸개즙 정체 환자는 혈중 AST와 ALT의 급격한 증가를 보인다.
) 간염 환자의 혈중 빌리루빈 수치와 알부민 수치는 증가한다.

유발 요인 - 관련 질환

(○) 경구피임약 - 버드-키아리 증후군
(○) 이소니아지드 - 만성간염
(○) 동화스테로이드 - 간자색반병
) 메칠도파 - 간 혈관육종
(○) 크로로프로마진 - 쓸개즙 정체

B형 염을 앓고 회복되어 저항성을 가지게 된 환자와 만성 간염 환자의 혈 검사 결과를 HBsAg, HBeAg, anti-HBc, anti-HBs에 대해 -/+로 쓰시오.

회복환자: HBsAg(-), HBeAg(-), anti-HBc(+), anti-HBs(+)


만성간염환자: HBsAg(+), HBeAg(+), anti-HBc(+), anti-HBs(-)



※ 실제 B형 간염 완치율은 1-2%라서 회복 검사결과는 매우 드물다.

이자

(○) 이자에 실제로 두 종류의 분비샘이 존재한다.
(○) 이자 내분비부분(pancreatic islet)에서의 분비물은 혈류로 바로 흘러간다.
(○) 이자 베타세포는 인슐린을 분비한다.


(×) 글루카곤과 인슐린은 비슷한 양상으로 혈당을 조절한다.

이자액

(○)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는 불활성화 된 상태로 존재한다.
(○) 샘창자 내 산성도가 높으면 분비가 증가된다.


(×) Cholecystokinin(CCK)에 의해 분비가 억제된다.


(×) 산성이다.

이자의 외분비액

(○) 중탄산이온을 함유한다.
) 위산을 함유한다.
) 활성화된 소화 효소들을 함유한다.
) 인슐린을 함유한다.

이자염

(○) 과도한 음주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이자염이 잘 발생한다.
(○) 이자염의 경미한 증상은 경미한 복통과 증가된 이자효소들이다.
(○) 이자염은 이자 조직을 파괴하기도 한다.


(×) 이자염은 이자 내분비부분에서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해 발생한다.

급성 이자염의 원인인자
복부 수술, 쓸개관계 질환, 고지혈증, 음주

급성 출혈성 이자염

(○) 이장의 괴사와 염증, 주변 지방 조직들이다.
(○) 활성화된 이자 효소들이 이자 조직을 파괴한다.


(○) 활성화된 이자 효소와 염증들에 의해 이자 내 혈관들의 파괴로 현저한 출혈을 동반한다.
(○) 극심한 복통과 압통이 특징이다.
(○) 위의 네가지 모두 급성 출혈성 이자염과 연관된다.

만성 이자염

(○) 음주가 가장 많은 원인이다.
(○) 이자관 내 단백질 침전에 따라 이자관 폐쇄로 발생한다.
(○) 경미한 급성 이자염의 반복을 통해 이자 조직의 지속적인 손상과 상처가 발생한다.
(○) 임상 시험을 통해 주기적인 혈중 아밀라제와 리파제의 증가를 측정할 수 있다.
(○) 영양분의 소화와 흡수장애가 발생한다.
(○) 고혈당이 발생한다.


(×) 저혈당이 발생한다.


(×) 지방변은 이자의 분비기능의 1/2이 상실되었을 때 발생한다.


(×) 이자 조직의 손상은 원인을 제거하면 회복된다.

이자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원인

위험인자: 흡연, 화학적 발암물질, 신체용적 지수와 식이요인, 당뇨병, 만성 이자염, 분자유전학
위험인자 아닌 것들: 커피, 알코올, 쓸개돌, 기생충 감염, 쓸개절술 병력 등

이자암

(○) 이자머리에 가장 잘 생긴다.
(○) 관샘암 (ductal adenocarcinoma)이 가장 흔하다.


) 이자 꼬리암이 이자 머리암보다 예후가 좋다.
) 이자 머리암은 이자 머리의 국소절제로 치료가 충분하다.

콩팥 질환

(○) 콩팥증후군은 심한 단백뇨, 저알부민증, 부종, 고지혈증 및 지질뇨를 특징으로 한다.


(○) 토리염은 대부분 면역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 상염색체 열성 다낭콩팥병은 콩팥실질에 많은 낭종이 있는 가장 흔한 선천성 질환군이다.
) 토리의 초승달 형성 (모세혈관외 상피세포 증식)은 토리염에서만 보이는 특징적인 소견이다.
) 당뇨병성 토리경화증은 말기 콩팥질환의 주요 원인이며 제1형 당뇨에서만 발생 가능하다.
) 콩팥돌과 요로돌은 콩팥의 세뇨관이나 요로의 집합관 안에 돌이 있는 것이다.

성인과 소아 콩팥증후군의 주요 원인과 빈도 및 병리적 특성

급성 세뇨관 괴사

- 허혈성 급성 세뇨관 괴사는 주로 저혈압으로 인한 콩팥관류의 저하로 발생한다. 전형적인 ATN 증상을 보이는 일부 환자에서 세뇨관 상피세포는 괴사되지 않고 납작해지는 경우가 있다.
- 장독소성 급성 세뇨관 괴사는 상피세포의 화학적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소변 중 헤모글로빈과 미오글로빈이 높은 농도로 존재하면 내독소로 작용하여 ATN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다양한 과정들을 통하여 토리 여과기능 감소와 세뇨관 상피세포 기능저하를 유발한다.

고혈압성 콩팥경화증의 형태학적 소견

콩팥의 크기가 정상보다 작고, 토리는 단단한 호산성 구형종괴에 의해 막히며 흉터에 둘러 싸인다. 토리 소실의 결과로 세뇨관의 위축이 오며 이는 만성염증세포에 의한 간질의 섬유화 및 침윤으로 발생한다. 경화된 토리와 주변의 위축된 세뇨관은 국소적으로 피막아래구역에 모이며 주변의 토리와 세뇨관은 정상소견을 보인다. 경화성 콩팥의 표면이 과립상 모양을 보이고, 유리질세동맥경화증 (hyaline arteriolosclerosis)이 나타난다.

콩팥돌의 종류와 병인

콩팥의 집합관이나, 요로의 집합관 안에 돌이 존재하여 발생하고, 칼슘돌, 감염돌, 요산돌, 시스틴돌 등이 있다.

윌름스종양의 호발 연령과 형태학적 소견

윌름스종양은 대개 1~3세 소아에서 발생하며, 98%가 10세 전에 발생한다. 조직학적으로 종양은 정상 태아조직과 비슷한 요소들로 구성되며,


1) 후콩팥발생모체 (metanephric blastema)


2) 미성숙 간질 (간엽조직)
3) 미성숙 상피조직


들을 포함한다.

미세변화 토리병

광학현미경상 토리가 정상으로 보이지만, 전자현미경상에서 내측의 족돌기 소실이 전체적으로 나타나며 콩팥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토리병

국소분절토리경화증(FSGS) 병인

족세포 단백질의 유전적 이상, 콩팥실질의 감소, 기능적 과로

급성감염후 토리콩팥염

주로 그룹 A 연쇄알균 중 콩팥염 유발 균주에 의해 발병하며 토리 안에 면역복합체가 침착된 ‘혹’이 보이는 미세구조 특징을 나타내는 토리병

제1형, 제2형 막증식 토리콩팥염

제 1형은 만성 면역 복합체 질환으로서 토리간질과 모세혈관벽의 내피하에 면역복합체가 위치하여 발생.
제 2형은 보체대체경로의 불균형으로 C3 보체가 침착되는 것이 특징임.

방광염

(○) 방광염의 주요 원인균은 E.coli 등의 대장균군 세균이다.
(○) 대부분의 방광염은 하부요로의 감염이 1차적 원인이다.


(○) 주 증상은 빈뇨, 급박한 요의, 배뇨통, 혈뇨 등이다.


(×) 신체구조여성보다 남성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여성에서 더 자주 발생)
) 만성간질방광염은 항생제로 쉽게 치료된다. (세균성 방광염은 항생제에 잘 반응하나 만성간질 방광염은 항생제 치료 효과 없음)

양성전립샘비대증 BPH

(○) 주로 전립샘의 이행대(transitional zone)에서 발생한다.


(○) BPH의 주요 임상증상들은 비대해진 전립샘결절의 요로 압박 및 폐쇄와 관련이 깊다.
(○) 5 α-reductase 저해제는 BPH 환자의 전립샘 크기를 줄여준다.


(×) 비대해진 전립샘을 가진 모든 환자들에서 배뇨시작 어려움, 뇨 배출 세기 감소, 빈뇨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난다. (BPH 가진 사람의 약 10% 만 임상증상을 호소함)


)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치료에 사용되는 α1A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는 비대해진 전립샘의 크기를 약간 감소시킬 수 있다. (전립샘 평활근 수축저해로 요로폐색증상 완화, 전립샘크기는 감소시키지 않음)

전립샘암

(○) 주로 전립샘의 가장자리부위 (peripheral zone)에서 발생하므로 대체로 발생 초기에는 요로폐쇄를 유발하는 경우는 드물다.


(×) 혈청 전립샘특이항원(PSA)는 전립샘에서만 생산되며 전립샘암 발생 시에만 매우 특이적으로 증가하므로 전립샘암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혈중 PSA는 전립샘암 이외에도 BPH, 전립샘염, 사정 직후에도 증가하므로 전립샘암의 스크리닝에는 유용하나 진단에는 침생검법같은 추가검사 필요)
(×) 질병의 자연사가 비교적 잘 밝혀져 있고 스크리닝법이 존재하므로 조기 발견 및 조기치료가 가능하다. (안드로겐은 암세포의 생존 및 증식과 관련 있으나 발암개시과정에는 관여하지 않음.)
(×) 전립샘암은 글리슨등급시스템에 따라 분류되며 등급 점수가 높을수록 분화가 많이 된 세포가 발견되며 예후도 더 좋다. (글리슨등급점수가 낮을수록 더 많이 분화된 종양이며 예후가 좋다)

방광암 발생의 주요 위험인자
흡연, 아조색소, 주혈흡충증, 시클로포스파미드, 방사선요법

남성 생식기계

(○) 음경발기은 부교감신경, 방출과 사정은 교감신경의 자극을 받아 이루어진다.


(○) 고환의 세르톨리세포는 inhibin 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하여 뇌하수체로부터 FSH 분비를 저해한다.


(○) 전립샘액은 약알칼리성으로 질 내의 산성을 중화시키고, 전립샘액에 포함된 PSA는 피브린 분해효소로 작용하여 정자의 활동성과 생식력을 증진시킨다.
(×) 고환의 간질세포는 Leydig 세포라 불리우며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FSH의 자극을 받아 정자의 형성과정 을 돕는다. (간질세포는 LH의 자극 받아 테스토스테론 분비, 세르톨리세포가 FSH 자극 받아 정자형성)
(×) 정관은 정자가 수정능 및 운동성을 획즉하는 곳이며 정낭은 생성된 정자의 저장소이다. (부고환에서 정자의 운동성과 수정능 획득, 정관에서 성숙된 정자 저장, 정낭은 정자의 에너지원, 프로스타글란딘, 피브리노겐 및 정액부피의 60%에 해당하는 액체 분비)

고환암

(○) 잠복고환은 고환암의 주요 위험인자 중 하나이다.
(×) 대부분의 고환암은 양성이며 생식세포 기원이고, 각종 치료법에 비교적 잘 반응한다. (고환암의 대부분은 악성이다)

하부요로 기관

(○) 방광 체부의 평활근은 모든 세포끼리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활동전위 생성 시 동시에 수축하여 배뇨를 돕는다.


(×) 신우와 요관은 콩팥에서 생성된 뇨를 방광으로 보내주는 통로이며 중력을 이용해 오줌을 방광을 향해 이송한다. (신우와 요관 벽의 평활근의 연동운동으로 오줌을 방광까지 수송)
(×) 방광경부의 내괄약근과 요도의 외괄약근은 모두 수의 신경계의 영향 받는 수의근으로 배뇨를 의식적으로 억제 가능하다. (내괄약근은 수의근이 아니며, 방광 내압이 역치를 넘을 때 까지만 배뇨를 억제)

요로폐색 주요 원인

결석 (신우의 녹각상 결석, 요관석), 요관 신우 협착, 혈전, 요관의 이행성 세포암종, 복막후 섬유증, 임신, 자궁 경부암, 자궁내막증, 방광의 이행성 세포암종, 신경성 방광, 양성전립샘비대증, 요도협착

비특이적 감염성 요도염 주요 원인균
E coli, Pseudomonas spp.
잠복고환의 주요 합병증
불임, 고환암

여성 생식기 감염성 질환

(○) 독성쇼크는 질내 포도알균감염과 연관이 있다.


(○) 정기적인 자궁목 암검사가 도움이 된다.


(×) Neisseria gonorrhoeae, Treponema pallidum, Candida albicans는 성접촉으로 전염되는 생식기 감염질환이다.


) Chlamydia trachomatis type L1-3는 다양한 염증성 골반질환을 유발한다. (성병성 림프육아종 lymphogranuloma venereum, LGV 유발)

외음부, 질, 자궁목 질환

(○) 경화성 태선(Lichen sclerosus)은 자가면역질환과 관련이 있다.
(○) 질샘증(Vaginal adenosis)은 태아기 동안 diethylstilbestrol(DES)에 노출된 여성에서 발생한다.
(○) 자궁목상피내암종(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은 침습성 암의 전조이다.


(×) 포도상육종(sarcoma botryoides)은 소아 양성종양이다.


(×) 자궁목염(Cervicitis)은 Streptococcus, Herpes simplex type 1, Chlamydia trachomatis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한다.

포도상육종 sarcoma botryoides: 방광, 자궁, 정소, 질입구부에 발생하는 소아 악성종양


• 자궁경부염: 임균 혹은 클라미디아균에 의해 자궁내경관에 염증이 생겨 노란색이나 연두색을 띠는 점액화농성 분비물이 분비되는 것

자궁 질환

(○) 자궁내막염은 비정상적인 염증성 침습물을 통해 진단한다.


(○) 양성 자궁내막 과형성(Benign endometerial hyperplasia)은 과도한 에스트로겐 자극으로 발생한다.
) 자궁내막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자궁인대이다.
(×) 평활근종은 평활근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평활근육종에 비해 드물다.
) 자궁내막상피내종양 (Endometrial intraepithelial neoplasia)은 PTEN 유전자의 증가로 발생한다.

난소에 관련된 질환

(○) 가장 흔한 악성 난소종양은 장액성샘암종 (Serous adenocarcinoma)이다.


(○) 쿠르켄버그종양(Kurkenburg tumor)은 위에서 주로 발생하며, 뮤신이 채워져 있는 반지세포(Signetring)의 군집으로 나타난다.
(×) 대부분의 악성 난소종양은 호르몬을 분비하여 종양항원에 대한 항체가 확인된다.
) 난소의 생식세포 종양은 성인에서 악성이고 어린이에서는 양성이다.

태반과 임신성 질환

(○) 완전포상기태(Complete hydatidiform mole)는 모체 DNA가 없는 난자의 수정에서 발생한다.


(○) 부분포상기태(Partial H. mole)는 삼배체세포가 특징적이다.


) 융모양막염(Chorioaminonitis)은 하행성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
) 자간전증(Preeclampsia)과 자간증(Eclampsia)는 저혈압과 부종 등의 복합증상을 나타낸다.
) 융모막암종(Choriocarcinoma)은 숙주인 모체에 이종 이식되는 양성종양이다.

유방암 breast cancer

(○) 초경(menarche)이 빠를수록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가족력은 그리 중요한 유방암 위험인자가 아니다.
) 유방암의 대부분은 소엽내암종(lobular carcinoma)이다.


) 유방암은 림프절로의 전이가 거의 없는 암이다.


)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수용체가 발견되는 유방암은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다.

Her2/neu(Erb-2)

유방암 치료제인 Herceptin (trastuzumab)은 이 유전자가 과발현된 유방암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임

유방 질환

(○) 섬유샘종(fibroadenoma)은 가장 흔한 유방 양성 종양이다.


(○) 남성의 여성형유방증 (gynecomastia)은 다양한 이유로 인한 에스트로겐의 증가 때문이다.


) 비증식성 섬유낭성 변화 (nonproliferative fibrocystic change)의 경우 유방암으로 발전할 위험성이 높다.


) 엽상종양(phyllodes tumor)은 유방암 중 가장 침습성이 강한 악성 종양이다.

내분비 호르몬

(○) 시상하부에서 분비된 CRH는 뇌하수체에서 ACTH의 분비를 촉진한다.
(○) ADH는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된다.
(○) 스테로이드호르몬이란 전구물질이 콜레스테롤인 물질들을 말한다.


(×) 도파민(dopamine)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펩티드(peptide) 호르몬이다.

호르몬 - 분류

(○) progesterone - 스테로이드 호르몬
(○) calcitonin - 펩티드 호르몬
(○) androgen - 스테로이드 호르몬


(×) catecholamine - 단백질 호르몬

뇌하수체저하증의 증상

(○) 갑상샘 기능 부진
(○) 부신 기능 부진


(○) 사춘기 지연
(×) 성 조숙증
) 중심시야상실
) 온도조절 능력상실
) 과식증

갑상샘기능저하증

(○) 원인은 갑상샘호르몬의 합성 결함으로 인한 호르몬의 부족이다.


(○) 풍토적 조건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 피곤, 허약, 추위를 못 견디는 특징적 증상을 보인다.
) 안구돌출의 증상을 보인다.
) TSH의 과잉생산으로 체중감소의 증상이 나타난다.

그레이브스병

갑상샘기능항진증의 대표적 질병으로 안구돌출, 오렌지 껍질, 돼지피부와 같은 병변을 보이는 질병

갑상샘암

(○) 유두 갑상샘암종이 갑상샘암의 90%를 차지한다.
(○) 갑상샘수질암종의 경우 상염색체 우성 유전성이다.
(○) 갑상샘미분화암종의 경우 요오드보충 부족지역에서 반발한다.


(×) 종류에 상관없이 방사성 요오드가 치료에 효과적이다.

고코르티솔형증 (쿠싱증후군)

40대 여성이 피로감, 둥근 얼굴, 고혈압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알고 보니 오랫동안 관절염에 좋다는 건강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였는데 그 건강기능성 식품에 덱사메타손이 다향 함유되어 있었음이 밝혀졌다.


이 여자의 질병은 쿠싱증후군이다.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의 증상

(○) 자각증상이 없어 확장기 고혈압으로 진단
(○) 근육약화
(○) 다뇨증
(○) 다갈증
) 소변에서 카테콜아민 수치 증가

크롬친화성세포종

(○) 고혈압 합병증이 나타난다.
(○) 종양의 10%가 부신 외에 위치한다.


(○) 종양의 10%가 악성이다.
(○) 종양의 10%가 가족성증후군 (MEN)과 관련된다.

부신의 갈색세포종 (부신경절종)

(○) 후복막강에 빈발한다.
(○) 방광에 발생한 경우 배뇨 시 고혈압이나 두통의 증상을 호소한다.
(○) 크롬친화성세포종이다.
(○) 매우 변동이 심한 고혈압 증세를 보인다.


(×) 머리와 경부에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이 악성이다.

제1형 당뇨병

(○) 발병은 주로 소아때 일어난다.


(○) 저혈당증이 일어나기 쉬운 당
) 인슐린이 약간 부족하거나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생긴다.
(×) 식이조절, 체중감량, 운동 또는 경구용 항당뇨약 등으로 치료한다.
) 합병증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제2형 당뇨병

(○) 환자가 고삼투압성 비케토산성 혼수에 빠지기 쉽다.


(○) 혈장 인슐린의 레벨이 정상이거나 높다.
(○) 과체중인 사람에게서 잘 일어난다.


(×) 환자가 케톤산증에 걸리기 쉽다.

인슐린 의존성 당뇨 환자의 증상

(○) 혈중 포도당의 증가
(○) 소변으로의 포도당 배출


(○) 케톤체의 과량생성
) 이자에서 인슐린 분비의 증
) 이자관을 막는 탁한 점액의 분

당뇨병과 함께 일어나는 다뇨증의 원인

(○) 소변에서 포도당 배출의 증가


(×) 갈증의 증가


(×) 케톤산
) 당뇨콩팥병

당뇨병에 의한 저혈당증

(○) 비틀거리는 걸음, 방향감각상실 및 현기


) 깊고 빠른 호흡
) 붉고 건조한 피부와 점막
) 갈증과 소변에서 포도당 배출의 증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가진 환자가 의식불명을 일으키게 되는 원인

산증과 혈량저하증 (acidosis and hypovolemia)

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일어나기 쉬운 급성 대사성 합병증

고혈당 고삼투압성 비케톤성 증후

당뇨환자의 호흡에서 아세톤 냄새가 날 때 의심할 수 있는 합병증

당뇨성 케톤산

저혈당 불인지

당뇨환자가 갑작스럽게 의식을 잃을 수 있는 원인으로 만성적으로 저혈당에 적응하여 저혈당이 나타났을 때 저혈당을 경고하는 증상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것

심장비대 hypertrophy

() 심장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크기가 증


(×) 심장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가 증가


(×) 심장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크기가 감소


(×) 다른 종류의 세포로 대

세포의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고 세포 배열이 불규칙적이며 핵이 비대하거나 불규칙적인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암과 세포학적 특징이 유사하여 다단계 발암과정 중 발암전구단계로 분류될 수 있는 현상

(○) 이형성 dysplasia


(×) 화생 metaplasia


(×) 비대 hypertrophy


(×) 위축 atrophy

질병으로 인하여 운동량이 저하될 경우 근육세포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

(○) 위축 atrophy


(×) 비대 hypertrophy


(×) 이형성 dysplasia


(×) 과다증식 hyperplasia

세포손상 요

(○) 저산소 조건 (hypoxia)


(○) 독성 화합물


(○) 급격한 저온


(○) 심한 압

세포자멸사 apoptosis

(○) 유해하거나 돌연변이를 일으킨 세포를 제거하는 자기방어기전


(×) 죽은 세포가 빠르게 분해되어 공동 또는 낭포를 형성하는 것


(×) 세포가 허혈성 손상을 입는 것


(×) 특정 세포에서 mitosis가 증가되는 현

세포 손상

(○) 손상 받은 세포는 스스로 이를 복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 상피세포의 이형성(dysplasia)은 만성 염증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다.


(○) ROS 중 수산기(hydroxyl radical)는 전리방사선에 의해 물이 분해되어 생성된다.


(○) 세포사는 세포가 손상을 받을 때에만 나타난다.


(○) 사염화탄소는 세포막 인지질의 과산화 및 손상을 유도한다.


(○) 응고괴사는 광학현미경 상에 나타나는 세포의 특징적 변화이다.


(×) 모든 세포는 괴사되어 죽는다.


(×) 독버섯 유래의 phalloidin은 미토콘드리아에 영향을 미친다.


(×) 괴사(necrosis)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사 작용이다.


(×) DNA의 변이는 세포 기능의 변화와 관련이 없다.
(×) 모든 세포는 동일한 비율로 사멸한다.
) 가벼운 허혈(ishcemia)은 즉각적인 세포 사멸을 일으킨다.

세포손상 외부 요인

(○) 식품 첨가물


(×) 유전적 결함


(×) 비정상적 대사 과정


(×) 저산소 조

손상 받은 세포의 변화

(○) 염분과 물이 세포로 확산되어 세포가 부풀어 오르거나 터지기도 한다.


(○) 지방구가 세포질에 축적된다.
(○) 세포가 사멸하고, 때로는 괴사(necrosis)에 이르기도 한다.

세포 노화 원인

(○) 유전적 요인


(○) 산화적 스트레스
(○) 효소 체계의 활성 또는 효율 저하
(○) DNA, RNA 및 세포 소기관의 손상

건락괴사 caseous necrosis

(○) 죽은 세포가 두꺼운 치즈덩어리 같은 형태를 나타낸다.


(×) 세포 단백질이 변성된다.


(×) 세포가 효소에 의하여 액화된다.


(×) 박테리아가 침윤한다.

세포자멸사 병태생리

(×) 염증반응을 일으킴


(○) 염색질 응축 chromatin condensation
(○) DNA 파편 DNA fragmentation
(○) 세포막에 bleb 형성

염증의 임상증상

백혈구 증가증, 급성기 반응 (식욕부진, 수면패턴 변화, 급성기 단백질 변화), 발열 (오한, 경직, 입모, ), 쇼크

급성 염증

(○) 다핵형 백혈구가 많이 보인다.
(○)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고 혈관이 확장된다.


(×) 조직의 섬유화가 나타난다.
) 림프구나 대식세포가 주요 염증세포이다.

세포유래 염증 매개체
아라키돈산, 혈소판 활성화 인자, 프로스타노이드, 류코트리엔, 리폭신, 시토카인, 활성산소종
혈장유래 염증 매개체
하게만 인자, 키닌, 아나필락시스독소, 옵소닌, 막공격복합체

육아종성 염증의 원인

감염 (결핵, 진균 감염, 나병, 주혈흡충증), 외부 물질 (봉합사, 활석가루), 자가면역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크론병, 사르코이드증)

염증세포

(○) 다핵형 백혈구는 급성 염증의 주요 세포로 식균작용의 매개체이다.


(○) 대식세포는 혈관활성 매개체를 생성하고 만성 염증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혈소판은 지혈과정에 중요하다.
) 비만세포와 호염기구는 백혈구 부착과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 분자 발현을 조절한다.


) 비만세포와 호염기구는 기생충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호산구는 알레르기성 과민반응을 조절한다.

급성염증에서의 백혈구의 기능

(○) 식작용을 통해 외부 물질이나 손상된 세포의 파편을 인식해서 내면화 및 소화하는 작용을 한다.


(○) 디펜신에 의한 살균작용을 매개한다.
) 다핵형 백혈구 과립 내에는 많은 호산구 효소가 존재한다.


) 활성 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살균작용은 백혈구에 의해서 일어나지 않는다.

혈관 염증반응

(○) 부종은 혈관 외 구획과 간질 조직에 체액의 축적을 말한다.


(○) 섬유소성 삼출액은 응고 기전 활성화로 다량의 섬유소를 함유하고 있는 부종액을 말한다.
(○) 고름성 삼출액은 다핵형 백혈구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


(×) 누출액은 단백질 농도가 높은 (비중>1.015) 부종액을 말한다.


(×) 삼출액은 단백질 농도가 낮은 (비중 <1.015) 부종액을 말한다.

염증의 5 가지 주요 징후
발적, 발열, 부종, 통증, 기능 상실
염증 반응에서 백혈구의 내피세포 부착과정
연변화, 테더링, 구르기, 정지 또는 부착, 이동

조직 손상 후 수복과정

(○) 육아조직을 이루고 있는 주요 세포는 섬유모세포와 혈관내피세포이다.
(○) 임시기질(Provisional matrix)은 손상부위에 축적된 혈장 유래 기질과 조직 유래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 육아조직은 손상된 조직을 영구히 대체한다.
) 수복은 손상된 조직이나 소실된 일부 신체 기관이 원래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대체되는 것이다.

금속단백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

육아조직이 흉터로 전환될 때 세포 외 기질 구성 변화가 동반이 되는데 이때 세포 외 기질 분해를 통하여 세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단백분해효소

Ⅲ형 콜라겐 typeⅢ collagen

상처 부위에 생성되는 과증식성 흉터인 켈로이드의 주요 구성성분

대식세포 Macrophage

상처 부위로 이동하는 세포들 중 육아조직 생성에 중요한 케모카인과 성장단백질을 분비하여 섬유모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조절하는 세포

Ⅰ형 콜라겐 typeⅠcollagen

상처의 치유과정에서 초기에 생성되었던 콜라겐이 말기에 새로운 종류의 콜라겐으로 대체가 되면서 결합직의 재형성이 일어나는데 치유 말기에 주로 생성되는 콜라겐의 종류

근섬유모세포

화상에서 종종 일어나는 구축(contracture)은 상처치유과정 중 특정한 세포 작용이 과도한 활성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구축을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세포

재생과 수복

(○) 인체 내 비타민C의 결핍은 수복과정에서 조직의 신장강도를 감소시킨다.
(○) 만성적이거나 심한 간조직 손상은 재생보다는 간조직의 섬유화를 증가시킨다.


(×) 조직 손상 후 수복과정에서 조직의 긴장력인 신장강도(tensile strength)의 증가는 콜라겐Ⅲ형 기질의 교차결합이 증가하여 발생한다.


(×) 성체줄기세포는 간세포, 심근세포를 대체할 능력이 있다.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VEGF

상처수복 과정에서 형성되는 육아조직 내에서 혈관신생을 촉진시키는 대표적인 성장인자

Ⅳ형 콜라겐 type Ⅳ collagen

조직의 기저막(basement membrane)에 주요 구성성분으로 존재하는 콜라겐의 종류

성체줄기세포

조직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 조직 특이적 재생을 조절할 수 있는 세포로서 골수, 표피, 장, 간, 뇌 등에 일부 존재하는 세포

과민반응

(○) 제1형 과민반응은 면역글로불린 E (IgE) 항체를 매개로 하는 비만세포의 활성화와 탈과립에 의해 일어난다.


(○) 세포독성 항체의 형성이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제2형 과민반응이다.


) 그레이브스병과 중증근무력증과 같은 질환은 제4형 과민반응의 예이다.
) 육아종성 질환인 결핵등은 제2형 과민반응의 예이다.

Ig A

면역글로불린 중 초유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

이식편대숙주병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골수 이식 후 제공자의 림프구가 숙주의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는 현상

면역체계의 세포

(○) B세포는 형질세포로 최종 분화하며 Ig을 분비한다.
(○) CD4+도움자 T세포 중 Th2은 B세포를 통한 항체매개 면역 및 알레르기 감작과 관련이 있다.
(○) 자연살해세포(NK cells)는 가슴샘과 골수에서 생성된다.
) 자연살해세포는 제2형 주조직적합분자(Type 2 MHC) 수용체를 갖고 암 세포 등을 사멸한다.

제3형 과민반응 면역글로불린

IgM, IgA, IgG

전신홍반루프스

(○) 만성적인 자가면역질환이다.
(○) 제3형 과민반응의 원형이다.
(○) 여성의 발병 빈도수가 높다.
) 가장 중요한 진단 자가 항체는 세포막의 EGFR 에 대한 높은 항체 농도이다.

후천면역결핍증후군

(○) 사람의 CD4+ helper T세포가 주 표적이 되어 감염이 된다.


(○) 감염자체보다는 기회 감염/종양에 의해 사망한다.


(×) 대부분 HIV-2에 의해 발생한다.
) 체액성 면역보다는 세포성 면역이 저해된다.

이식된 조직의 면역반응

(○) T 세포매개 항체 매개반응 모두 이식거부 반응의 중요한 요소다.


(○) 급성 거부는 질소혈증과 소변감소증이 갑작스럽게 나타난다.
(○) 이식 수술 전 항체 검사가 적절히 시행되면 초급성 거부 반응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 IgE가 주로 관여한다.

보체 complement

박테리아를 파괴하는 하나의 방법은 박테리아의 세포벽에 막공격복합체 (membrane attack complex)를 형성하는 것인데 이것을 이루는 물질

아세틸콜린 수용체 AChR

중증근무력증에서 자가항체의 타겟으로 작용하여, 시냅스 전달에 문제를 일으켜 근육약화를 야기시키는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화학적 발암의 단계 중 화학적 발암제가 하나의 세포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과정

(○) 개시


) 촉진
) 분화
) 전이
) 진행

양성 종양

(○) 상피에 생긴 종양일 경우 기저막통과하지 않았다.


(○) 형태적으로 원래의 조직과 매우 닮아있다.


) 거대 핵의 모습이 보인다.
) 세포 분열 속도가 악성 종양에 비해 빠르다.

암을 일으키는 형질전환 유전자

(○) p53은 대표적인 종양 억제 유전자이다.


(○) 종양세포는 유전자 형질전환으로 일반적으로 세포 성장이 촉진되는 신호가 활성화 된다.


) 종양유전자 (oncogene)로부터 원발암 유전자 (protooncogene)가 만들어진다.


) 종양세포는 유전자 형질전환으로 인해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유전자가 활성화된다.

290-320 nm 파장의 자외선이 피부암을 일으키는 분자생물학적 기전

(○) DNA에 피리미딘 이분자체 형성시킴
) 리보좀에서 단백질 합성을 억제함
) 세포막에서 K+채널 활성을 증가시킴
) 단백질의 아세틸레이션을 억제시킴


) RNA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킴

혈관 중 암세포가 가장 쉽게 침입할 수 있는 혈관

(○) 세정


) 대동맥
) 동맥
(×) 세동맥


) 대정맥

혈관생성 억제제 (예: Avastrinⓡ등)이 항암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이유
종양세포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종양 세포에 영양분 공급을 위한 혈관 신생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

Human Papiloma Virus

자궁 경부암을 일으 수 있는 바이러스

Human Herpesvirus-8
카포시 육종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

양성종양 분류

(○) 기형종 teratoma


(○) 지방종 lipoma


(×) melanoma


) 림프종 lymphoma

종양 억제 유전자

(○) p53


(○) RB1


(×) c-Myc


(×) bcl-2


(×) HER-2/neu

종양

(○) 종양 세포가 생성하는 여러 펩타이드에 의해 암 환자의 경우 종양이 자라는 곳의 위치와 상관없는 전신 증상(예: 열, 식욕부진, 호르몬계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살균/소독을 위해 사용되는 강한 자외선(UV-C, 200-280nm)에 쬐였을 경우 피부암이 유발될 수 있다.
) 백혈병(leukemia) 양성 종양이다.

돌연변이의 형태적 이

(○) 무발생증(agenesis): 원시기관의 완전 결손
(○) 유합부전증(dysraphic anomalies): 연립구조의 완전한 융합


(○) 폐쇄증(atresia): 내강의 불완전한 형성에 의해 생기는 결
) 퇴화부전증(involution failures): 퇴화과정에 문제가 생겨 배아조직이 불완전하게 분할되어 생김


) 딴곳증(ectopia): 발달 동안 위치하는 곳에 기관이 계속 정체하는 것

다운 증후군

(○) 감수분열에서의 비분리가 대부분 원인
(○) 엄마의 출 시 나이에 영향받음


(○) 지능저


) 염색체의 삼염색체(trisomy)가 유일한 원인
) 47, XX, +20로 표현

테이-삭스병, 터너 증후군, 마르팡 증후군, 다운 증후군 중 심장이상이 생길 확률이 낮은 질병
Tay-Sachs

47, XXY

27세의 남성이 불임증을 호소하며 찾아왔다. 검사결과 고환 위축, 제모길이 감소, 골반 사이즈 증가 등이 관찰되었고, 정자부족증도 있었다. 또한 황체형성 호르몬(FSH)의 증가와 테스토스테론의 감소도 발견되었다. 이 남자에게서 찾을 수 있는 핵형 (karyotype)은 47, XXY 이다.

터너 증후군

(○) 45, X
(○) 줄모양 잔유난소 (streak ovary)
(○) 유아성 생식기 (infantile genitalia)
(○) 낭림프관종(cystic hygroma)


(×) 정신지

Neurofibromatosis
NF1 disorder
Marfan
Fibrilin disorder
Ehlers-Danlos syndrome typeⅥ
lysyl hydroxlase disorder
Familial fypercholesterolemia
LDL receptor disorder

마르팡증후군

(○) 헐렁한 판막 floppy valve
(○) 거미손가락 arachnodactyly
(○) 수정체 전위 ectopia lentis
(○) 깔대기 가슴 recrus excavatum


(×) 리쉬 결 Lisch nodule

상염색체 열성 질환

(○) 낭성 섬유증cystic fibrosis
(○) 당원증 glycogen storage disease
(○) 알캅톤뇨증 alkaptonuria
(○)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Ehlers Danlos symdrome


(×) 골형성 부전증 osteogenesis imperfecta

골형성 부전증 osteogenesis imperfecta: 상염색체 우

고셔병

(○) glucocerebrosidase mutation
(○) 지라 비대 (enlarged spleen)
(○) hexosaminidaseA 결함
(○) 골격의 기형 (skeletal deformity)


(×) 지질이 뉴런에 축적되어 neuronal death 발

신생아 감염 시 TORCH complex의 미생물 감염원인균 4 가지
Toxoplasmosis, Rubella, Cytomegalovirus(CMV), Herpesvirus

흡연의 영향

(○) 흡연은 관상동맥 질환, 폐암,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다.


) 흡연은 고혈압 및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영향을 주는 직접인자이다.

알코올 중독

(○) 급성 독성 효과에는 부정맥이 있다.


) 의존성과 금단 증상을 일으키고 만성 독성효과를 유발하나 급성 독성효과는 보고된 바 없다.

1도 화상
중간 정도로 햇볕에 그을리는 화상이며 통증을 유발하기도 함

저체온증은 체온이 몇 도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뜻하는가?

35 도

일반적으로 체온이 몇 도 이하일 때 혼수상태를 유발하는가?

28 도

전신고온증의 3대 원인

① 열 생성의 증가
② 체내 열을 느리게 제거
③ 체온 조중추 자체의 장애

음주 후 급사의 원인

(○) 부정맥


) 빈혈
) 간경화
) 췌장염


) 역류성 식도염

환각제로 남용되는 물질들이 공통적으로 발생시키는 효과

(○) 인지 및 인식의 교란


(×) 졸림
) 심계항진
(×) 중추신경 자극
) 무기력상태 및 대사율 저하

흡연자들에서 흡연으로 인한 사망의 빈도가 가장 높은 질환

(○) 심근경색


) 폐암
) 폐기종
) 후두암
) 위궤양

여성호르몬제제는 경구피임제로 또한 폐경기 호르몬 대체요법의 합병증이나 부작용의 위험도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경우

(○) 정맥혈전


) 대장암
) 난소암
) 골다공증
(×) 자궁내막증

감염성 유기체가 감염을 일으키기 위한 조건

(○) 숙주와 접촉
(○) 숙주의 방어기전을 회


(○) 숙주 생체 자원을 기반으로 기생


) 숙주의 체외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적

기회감염 유발 인자
면역력 저하, 감염, 수술, 영양실조 등

감기

(○) 공기 중 비말 감염이나 손을 통한 접촉 감염이 주요 감염 경로이다.


) 주요 원인균은 influenza virus이다.
) 바이러스는 고온에서 최상의 번식력을 갖기 때문에 해열제를 즉시 투여해야 한다.
) 모든 환자에서 합병증의 우려 없이 치료하지 않아도 저절로 낫는다.

홍역과 수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임상 증상
바이러스성 발진

후천성면역결핍증 AIDS

(○) HIV감염에 의한 CD4+T cell의 파괴로 면역기능이 저하된다.


(○) 예방적 처치가 없을 경우 Pneumocystis jiroveci 등에 의한 기회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 HIV는 감염 혈액 노출에 의해서만 전파된다.
) 급성기 및 잠복기를 거쳐 직접 인체를 사망에 이르게 한다.

헤르페스과 바이러스의 종류
HSV-1, HSV-2, VZV, EBV, CMV, HHV-6, HHV-8
인유두종바이러스 HPV
여성 생식기의 편평상피세포암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진 바이러스

임질

(○) 성 접촉 또는 감염된 모체로부터 태아감염 된다.


) 스피로헤타에 속하는 임균 Neisseria gonorrhoeae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 1기 임질에서 경성하감이 형성된다.


) 3기 임질에서는 고무종이 출현한다.

매독

() Treponema pallidum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 남성에서는 골반염이 흔히 야기된다.
) 여성에서는 요도염 및 배뇨통이 주로 야기된다.
) 백신접종이 최상의 예방법이다.

결핵

(○) 기회감염에 의한 감염율이 높다.


(○) 결핵균은 폐에서 건락성 육아종을 형성하여 특징적인 병소인 건락성 괴사를 야기한다.


) 마이코플라스마균인 M. tuberculosis 감염으로 인한 질병이다.
) 결핵균에 접촉한 모든 사람에서 결핵으로 진행된다.

25세 여성이 팝도말검사에서 비정상 소견을 받은 의미

(○) 생식기에서 떨어진 비정상 세포가 있으며 더 자세한 검사가 필요하다.
(×) 자궁상피내암종을 가지고 있다.
) 침윤성 자궁경부암을 가지고 있다.
) 암은 젊은 여성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비정상 팝도말검사 결과는 무시해도 된다.

세포검사 악성 소견

(○) 두드러진 핵소체
(○) 핵-세포질(N/C)의 비율 증가
(○) 윤곽의 현저한 변화와 이상
(○) 정상 세포에 비해 색이 어두움(과염색성 핵)
) 분화도 높음

양성 종양 세포

(○) 세포는 비교적 정상적으로 보인다.


(○) 섬유성 피막이 있고 서서히 자란다.


) 섬유성 피막이 없고 침윤성이다.
) 미분화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다.
) 종종 전신 효과를 나타낸다.
) 활발한 유사분열을 하고 비전형적으로 빨리 자라는 세포를 함유한다.
) 전이를 할 수 다.

세포검사 장점

(○) 진단이 더 빠르다.
(○) 환자의 전처치가 불필요하여 훨씬 더 편리하다.


() 검체채취의 영역이 더 넓다.


(×) 침윤의 정도나 깊이를 더 잘 평가할 수 있다.

팝도말검사 Pap smear

대표적 세포병리학 검사이며 자궁경부암 조기 진단으로 자궁경부암 발생 빈도를 현저히 감소시킨 검사

세포병리학 검사를 위해 세포를 채취하는 방법 3 가지
자연 탈락된 세포 채취, 인위적으로 기구를 이용해 탈락시킨 세포 채취, 세침흡인
N/C 비율
핵/세포질 비율, 악성종양 시 비율 증가
세포검사 시 진단의 정확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보조적 방법
분자생물학적 기법, 컴퓨터를 도입한 선별검사, 액상세포 검사
체액으로 자연 탈락하는 세포검사의 대표적 채취 부위
복수, 흉수

아밀로이드

(○) 아밀로이드가 세포 밖에 점차 축적됨에 따라 세포의 압박과 위축을 일으킨다.
(○) 아밀로이드는 콩고 레드 염색에서 편광을 주면 적녹색의 굴절 양상을 보인다.
(○) 원발성 아밀로이드증은 른 질환이 먼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을 보인다.
(○) Aβ아밀로이드 단백질의 뇌혈관 침착은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관찰된다.


(×) 아밀로이드는 세포 내에 침착되는 변성된 단백질이다.

AL

골수의 형질세포 기능 장애로 발생되며, 면역글로불린 경쇄에서 유래하는 아밀로이드 단백질

AA

결핵, 만성골수염,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오랜 기간동안 계속되는 만성적인 감염이나 염증이 있는 경우에 전신적으로 침착될 수 있는 아밀로이드 단백질

APrP

인간과 동물의 뇌에 해면뇌병증의 퇴행성 뇌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프리온 단백질 (prion proteins) 유래의 아밀로이드 단백질

비늘증 (어린선)

생후 3개월부터 나타나며 팔오금, 슬와, 액와부를 제외한 전신에 인설성 병변 및 잔주름이 생기는 피부질환

아토피 피부염

유아에서 양볼에 소양성 홍반이 특징적으로 발생하며 밤에 소양증이 더 심해지는 유전성이 높은 습진 질환

전신성 홍반 루푸스

진피 기저막에 면역복합체가 침착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병소가 확대되면 그 가장자리와 중심이 탈색된 원반모양의 구진이 관찰되는 질병

피부질환

(○) 두드러기는 특이 항원에 감작된 비만세포가 탈과립을 일으켜 부종 및 소양성 구진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 흑색종 발병은 모반의 비대칭적 성장 및 모반 개수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 농가진의 원인은 바이러스이다.


) 사마귀를 치료하지 않을 경우 합병증으로 토리콩팥염이 나타난다.

여드름을 악화 인자
마찰 등의 기계적 자극, 스트레스, 발한, 유분이 많은 화장품

음식을 삼키는 행동

(○) 뇌신경 5, 9, 10, 12번의 협력이 필요하다.
) 전적으로 자발적인 운동 현상이다.
) 시상하부에 있는 조절중추에 의해 조절된다.
) 호흡 운동과는 무관하다.

구강 칸디다증

(○) 구강에 발생하는 기회감염 중 하나이다.


) 영아와 소아들에게 흔한 세균성 감염이다.
) 구강 점막과 혀에 심한 통증의 궤양을 야기한다.
) 구강 점막에 제거되지 않는 백색판을 생성한다.

구강 주위에 발생하는 단순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이 재발하는 이유

(○) 감각신경절에 잠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 급성 감염일 경우 대개 증상이 없어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바이러스가 약제 내성을 야기하지 때문이다.
(×)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돌연변이로 면역반응이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치주염 periodontitis

(○)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인대와 뼈에 세균성 손상을 야기한다.


) 치아 표면 사기질(enamel)의 마모를 야기한다.
) 치은 조직에 염증과 감염을 야기한다.
) 치아의 표면에 석회화된 치태를 생성시킨다.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침입한 발열성 세균(폐렴 구균이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어린아이 시절에 발병되는 가장 흔한 중이염

(○) 화농성 중이염


) 장액 중이염
) 급성 유양돌기염
) 진주종
) 메니에르병

전음성 난청 conduction deafness

(○) 중이 내의 청소골들의 유착결과이다.


) 코르티 기관(organ of Corti)의 손상 결과이다.
) 제8 뇌신경의 변성 결과이다.
) 대뇌 측두엽의 외상결과이다.

귀경화증 otosclerosis

(○) 등자뼈와 난원창의 유착 결과이다.
) 청소골들의 상호 유착 결과이다.
) 고막의 섬유화 결과이다.
) 뼈가 자라서 귀 관을 막기 때문이다.

메니에르 (Meniere) 증후군에서 현기증 (vertigo)이 발생하는 원리

(○) 과도한 내림프액들로 인해 전정기관의 미로 속에 있는 유모세포(hair cell)들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 내이로부터 체액이 소실된다.
(×) 증가된 혈압에 의해 중이와 내이에 부종이 발생한다.
) 청신경 중 전정신경(vestibular nerve) 가지에 손상이 발생한다.

약물이나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귀독성(ototoxicity)의 최초 증상

(○) 귀울림(이명, tinnitus)


) 갑작스런 청력 소실
) 귀에 심한 통증
) 귀로부터 삼출액의 유출

귀에 발생하는 질병

(○) 달팽이 (와우, cochlear)이식술은 감각난청 (sensorineural deafness)에 의해 발생한 청력 소실을 재건할 수 있다.


(×) 전음성 난청(conduction deafness)은 내이 손상의 결과이다.


) 대뇌의 청각 영역에 손상이 있을 경우 한쪽 귀의 난청을 야기 시킨다.
) 달팽이 (와우, cochlear) 이식술로 모든 청각 장애자들의 청각 경로를 복원할 수 있다.

골관절염

(○) 활동을 하면 통증이 악화된다.


(○) 병소 부위에서 뼈의 증식이 수반된다.


) 관절에서 섬유화가 일어난다.
(×) 작은 관절에서 좌우 대칭적으로 병이 진행한다.


(×) 전신적으로 생화학적 변화가 증상으로 나타난다.


(×) 관절강이 넓어진다.


(×) 중년 남성에 흔히 발생한다.


(×) 손가락 마디 관절에는 흔히 발생하지 않는다.

류마티스 관절염

(○) 좌우 대칭적으로 작은 관절에서 다른 관절로 병이 진행한다.
(○) 자가면역 질환으로 인한 전신적 염증반응이다.
(○) 판누스(Pannus)에 의해 관절연골이 파괴된다.


(×) 많이 사용한 관절에서 처음 병변이 시작된다.

골다공증

(○) 칼슘과 비타민D의 섭취가 치료에 도움이 된다.
(○)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해 클루코코르티코이드 약물을 장기 사용하면 골다공증이 올 수 있다.
(○) 부갑상샘기능항진증에 의해서도 초래될 수 있다.


(×) 무게 부하가 없는 운동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

비타민D 결핍증의 원인 또는 결과

(○) 어린이에게 구루병을 초래할 수 있다.
(○) 간 담즙정체성 질환 또는 담관 폐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어른의 경우 연화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 콩팥에서 1α수산화효소 (하이드록실라제)의 결함으로 발생할 수 있다.
) 혈중 칼슘 농도가 감소하면 비타민D 합성이 감소한다.

혈구 생성에 대한 뼈의 역할
뼈 안의 결합조직인 골수에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을 생성하는 조혈작용을 담당

골다공증 위험 증가 요인

) 과체중


(○) 칼슘섭취 부족
(○) 비타민D 결핍
(○) 여성
(○) 백인종

통풍 합병증

) 골다공증
(○) 콩팥병증
(○) 급성 관절 염증
(○) 연조직에 요산결절
(○) 콩팥손상

원발성 골다공증의 병인

폐경으로 인한 에스트로겐의 감소와 그에 따른 뼈파괴세포의 증가로 뼈밀도 감소 / 노인성 골다공증은 뼈모세포의 기능감소로 뼈밀도 감소

칼슘의 생체항성성(homeostasis) 유지를 위해 뼈에 작용하는 호르몬과 그 기능

혈중 칼슘 농도가 감소하면 부갑상샘호르몬(PTH)의 분비가 증가하여 뼈파괴 세포 활성 증가, 콩팥에서 칼슘 재흡수 증가, 콩팥에서 활성비타민D 생성 증가를 통하여 혈중 칼슘 도를 다시 증가시킴.
혈중 칼슘 농도가 증가하면, 부갑상생호르몬의 분비는 억제되고, 갑상선에서 칼시토닌(calcitonin)이 분비되어 뼈파괴세포의 활성을 억제하고 뼈의 미네랄화를 증가시킴.

말단거대증
내분비선 기능장애로 발생하는 골격근증
근위축
유전질환, 디스트로핀 결여, X의존 열성 유전

중증근무력증에서 자가항체의 타겟으로 작용하여, 시냅스 전달에 문제를 일으켜 근약화를 야기시키는 신경전달물질 수용

아세틸콜린 수용체

중증근무력증

자가 면역 질환으로 신경근접합부 신경자극전달 차단으로 발생, 신경근접합부 아세틸콜린 수용체 수 감소, 아세틸콜린억제제로 치료

신경근접합부의 감각신경수용체
아세틸콜린
뒤시엔형 근장애의 유전방식
X열성유전
횡문근융해 Rhabdomyolysis
교통사고와 같은 요인으로 근괴사후 근성분(미오글로빈)이 혈중으로 유입되는 증후군
피부근염
후천성 근장애로 관절, 식도 폐에 주로 발생하고 특히 눈주위가 붉게 변하는 특징인 질환
골격근의 일반병리반응
근위축, 근섬유집단화, 근섬유괴사

유아기에 주로 발생하고 일생 근장애를 보이는 질환명과 그 종류

선천성근육병증: 중심코아병, 네마린근육병증, 중심핵근육병증

뇌동맥류

(○) 선천성 기형과 혈관 내 압력이 원인이다.


(○) 딸기동맥류는 동맥 근육의 분지 분위 발생과 정의 결함에 의해 발생한다.


(○) 진균성 동맥류는 심장판막의 감염에서 기원한다.


(×) 딸기동맥류에서 혈관벽의 조직학적 구조는 정상이다.
) 죽상경화성 동맥류는 혈관의 파열이 주된 결과로 나타난다.

뇌출혈

(×) 자발성 뇌출혈은 고혈압과의 상관성이 다른 형태의 뇌출혈에 비해 가장 크다.
) 뇌교출혈은 샤르코-부샤르 동맥류의 파열이 원인이다.

뇌졸중

(○) 전허혈은 뇌에서 혈류감소에 민감한 부위가 우선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 분수계경색증은 혈관사이 문합이 없는 부위에 발생 한다.


(○) 국소허혈은 죽상동맥경화증에 대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동맥 혈전 또는 색전증에 의해 발생한다.


) 소뇌의 푸르킨예 신경세포는 저산소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크다.

수막염

(○) 결핵수막염은 육아종의 형성이 조직학적 특징이다.(○) 바이러스 수막염은 엔테로바이러스가 주된 원인이다.


) 세균 수막염은 세균이 혈액전파를 통해 수막에 도달하는 경우 발생한다.
) 경수막염은 거미막에 세균에 의한 감염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뇌고름집

(○) 혈액유래 미생물에 의해 발생한다.
(○) 부종 및 액화괴사를 동반한 급성 염증 반응이 유발된다.

바이러스성 뇌척수염

(○) 혈관주위 림프구 침윤 및 핵 또는 세포질 봉입체가 특징이다.


(○)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는 가장 보편적인 비유행성 뇌염의 원인이다.
) 광견병은 매우 짧은 잠복기를 가진다.

프리온병

) 프리온병에서 발견되는 프리온의 분자구조는 α나선구조이다.
(×) 프리온병은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시작된다.
(×) 소스폰지형뇌병증은 동물에서만 발견되는 프리온병이다.
(×) 프리온병은 단백질의 원인이므로 비전염성이다.

파킨슨병

(○) 흑색질에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소실이 특징이다.


(○) 운동 전 과정의 근육 경직 및 수의 운동의 지연이 발생한다.


) β아밀로이드의 세포내 축적이 원인이다.

삼뉴클레오티드반복확장 증후군

(○) 헌팅튼병 유전자의 암호부위에서 CAG 염기반복의 확장에 의해 발생한다.


(○) 프리이드라이히운동실조는 가장 보편적인 척수소뇌 운동실조 질환이다.


) 헌팅튼병은 불수의 운동은 나타나지만, 인지기능은 정상적이다.

알츠하이머병

(○) 알츠하이머는 고령자 치매의 가장 보편적인 원인이다.


(○) 알츠하이머병에서 발견되는 노인성 플러그는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진단에 의해 형성된 β아밀로이드 구형 응집체이다.
(○)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기억력과 인지기능 소실, 언어 구사에 있어서 어려움을 나타낸다.
(○) 대부분 기관지 폐렴으로 사망한다.


) 치료요법은 레보도파 투여가 일반적이다.

당뇨망막병증을 증식망막병증과 비증식성 망막병증으로 구분하는 기준

혈관신생

견인망막박리
증식망막병증이나 안구 안쪽 감염 후에 주로 나타나는 망막박리

원발 개방각녹내장

안구전방 부분의 전방각은 정상처럼 보이나, 슐렘관 근처에서 방수 유출에 대한 저항이 커져서 발생하는 녹내장

망막 질환

(○) 망막중심동맥 폐쇄의 경우 앵두반점 형태로 관찰된다.


(○) 증식망막병증의 합병증은 유리체 출혈, 망막박리, 실명 등이다.
(○) 대부분의 녹내장은 고안압증에 의해 유발된다.
(○) 원발 개방각 녹내장은 주변 시야의 소실을 특징으로 한다.


(×) 노인성 백내장의 경우 수정체의 부피 감소가 나타난다.


(×) 망막박리는 망막이 맥락막에서 분리되는 것을 말한다.


(×) 원발 폐쇄각 녹내장은 홍채와 수정체 사이의 각도가 좁아졌을 때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