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ffle
    Toggle On
    Toggle Off
  • Alphabetize
    Toggle On
    Toggle Off
  • Front First
    Toggle On
    Toggle Off
  • Both Sides
    Toggle On
    Toggle Off
  • Read
    Toggle On
    Toggle Off
Reading...
Front

Card Range To Study

through

image

Play button

image

Play button

image

Progress

1/163

Click to flip

Use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navigate between flashcards;

Use UP and DOWN arrow keys to flip the card;

H to show hint;

A reads text to speech;

163 Cards in this Set

  • Front
  • Back
  • 3rd side (hint)

Leavell의 질병의 자연사 (natural history of disease)

(○) 1단계 - 건강증진


(○) 2단계 - 면역강화


(○) 3단계 - 조기발견 및 치료


(×) 4단계 - 무증상 시기

4단계 -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


5단계 - 재활의 단계

2차적 예방

(○) 조기발견


(○) 조기치료


(×) 예방접종


(×) 보건지식 습


(×) 직업훈련

1차적 예방 - 예방접종, 환경개선, 영양섭취, 안전관리, 생활조건 개선, 체력 및 생리적 기능 향상, 보건지식 습득


3차적 예방- 재활 및 사회복귀, 직업훈련

어떤 질병이 생명에 영향을 주는 위험도와 그 질병에 대한 치료법의 발달 정도

치명률

특정 시점이나 기간의 인구 중 존재하는 환자의 비율

유병률

일정기간 관찰한 인구에 대한 환자수
이환율

질병발생 제3단계

병인의 자극에 대한 숙주의 반응이 시작되는 조기병적 변화기

기술역학

(○) 인구집단 내의 질병, 병적상태, 사망 등을 사람, 장소, 시간적 측면에서 기술한다.


(○) 런던 스모그 발생과 호흡기 사망률 간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그래프 등은 기술역학의 좋은 예다.

코호트 연구

연구대상에 대하여 질병발생 전에 위험요인을 조사해 놓고 장기간 관찰하여 질병과 요인과의 상관성을 규명하는 연구방법이다.

주산기

임신 28주에서 생후 1주 미만

영아사망률

(○) 개발도상국의 보건수준을 가장 잘 반영해 주는 지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 어떤 연도 중 출생한 정상 출생수 1,000명에 대한 그 연도 중 발생한 1세 미만의 사망수이다.

그 해의 총출생아수와 28주 이후 사산수를 합한 분만수 1000명에 대해 같은 연도의 임신 28주 이후 사산수와 생후 7일 사이의 총사망수는?

주산기사망률

포괄적 보건의료

환자 치료뿐만 아니라 질병예방, 건강증진, 재활까지 포함하는 현대적 개념의 보건의료 서비스

환자-대조군 연구에서 odd ratio를 구하라.


~~~~~~폐암~~~대조군
흡연~~~480~~~~300
비흡연~~20~~~~~200

(480/300) / (20/200)


= (480x200) / (300×20)


= 16

환자-대조

(○) 시간과 인력, 비용이 적게 드는 쪽은 코호트 연구보다 환자-대조군 연구이다.


(○) 발생이 적은 질병의 연구가 가능하다.


(○) 잠복기가 긴 질병의 연구가 가능하.


(×) 환자-대조군 연구로 상대위험도, 기여위험도를 구할 수 있다.


(×) 가족에서 높게 발생하는 질병은 유전 질환이나 중독성 질환이기보다 환경이나 전염성 요인인 것으로 판단한다.

전향적 코호트

(○) 전향적 코호트는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추적조사하여 폐암의 이환률을 비교한다.


(×) 전향적 코호트는 폐암 환자와 건강한 사람에 대하여 과거 흡연력을 조사한다.


(×) 전향적 코호트는 암 예방을 위해 피험집단에 일정량의 녹차를 섭취하게 하여 추적조사한다.


(×) 전향적 코호트는 실험동물에 비타민 E를 투여하여 발암억제 효과를 장시간 두고 관찰한다.


(×) 희귀한 질병을 가진 환자의 병인학 연구는 코호트 연구가 적절하다.

분석역학

질병 발생요인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고 입증한다.

후향적 방

(○) 과거 기록을 근거로 특정 사항을 추적한다.


(○) 요인-대조군 연구에서 후향성 연구는 환자가 이미 사망한 경우에도 가능하다.

어느 지역의 흡연관련 질환의 코호트 연구결과이다. 그 결과 해석에 대하여 O,X로 판단하라.
사인~~~~~~~~기대치~~~~~피험자실측치
폐암~~~~~~~~200~~~~~~~2000
관상동맥질환~~5000~~~~~~10000

계산 편의를 위해 인구집단 10만명으로 가정함


폐암 상대위험도 = 흡연자 발생율 ÷ 대조 발생율


= 2000/10만 ÷ 200/10만


= 10


관상동맥 상대위험도 = 흡연자 발생율 ÷ 대조 발생


= 10000/10만 ÷ 5000/10만


= 2


() 흡연으로 인한 상대위험도는 관상동맥보다 폐암이 크다.


(×) 흡연으로 인한 기여위험도는 관상동맥보다 폐암이 크다.


(×) 흡연이 질병에 미친 영향은 폐암보다 관상동맥질환이 크다.


(○) 지역주민의 금연이 성공할 때 이환율 감소는 폐암보다 관상동맥질환에서 클 것이다.

John Snow

콜레라 환자 및 그 배설물, 오염된 물 등과 콜레라 발생 간의 인과관계를 밝혔다.

임신 중 thalidomide 복용으로 인한 기형발생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 188명 중 2명이, 기형이 관찰된 112명 중 90명이 thalidomide를 복용하였다면, 이 약물의 복용이 기형발생에 미치는 교차비(odds ratio)는 대략 얼마인가?
380

위험도

(○) 질병이 희소한 경우 상대위험도가 커도 기여위험도는 작다.


(○) 질병의 사망률이 높으면 상대위험도는 낮아도 기여위험도는 크.

오즈비

(○) 대상 집단 중 요인을 갖고 있는 사람과 갖고 있지 않는 사람의 비로 나타낸다.


(○) 위험도와 오즈비는 어느 요인이 질병 발생에 어느 정도 관여하는지를 수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 모집단에서 질병이나 이상의 발현율이 충분히 높으면 오즈비는 상대위험도와 거의 같아진다.

전염병이나 식중독과 같이 원인 인자가 분명한 어떤 요인에 노출된 사람 중 질병이 발생하는 빈도를 표시하는 용어는?
발병률

흡연자와 비흡연자 각 10만 명을 선정하여 질병 A, B, C에 대한 이환율을 추적 조사하여 아래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에 대한 해석이 옳은 것은?
~~~~~~~~이환율~~~~~~~~~~


질병~~~~흡연자군~~비흡연자군
A~~~~~~4,000~~~~500
B~~~~~~5,000~~~~3,000
C~~~~~~1,000~~~~100
금연시 이환율의 감소가 가장 기대되는 질병은?
상대위험도, 기여위험도

A

석면작업자와 대조군을 대상으로 흡연습관과 폐암사망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코호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석면노출군~~~대조군
흡연군~~~~602~~~~~~~~130
비흡연군~~~65~~~~~~~~~10
1) 흡연과 석면노출의 두 위험요인을 모두 갖는 집단에 대한 폐암사망의 기여위험도는?
2) 폐암사망의 원인으로써 흡연요인이 석면노출 요인보다 2배 더 위험도가 낮다( )
3) 석면노출 단독요인이 폐암사망에 미치는 기여위험도?
4) 석면노출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금연을 하는 것보다 폐암으로 인한 사망을 더 많이 감소시킬 것이다( )
5) 흡연요인 단독이 폐암사망에 미치는 상대위험도는?

1) 60.2
2) (×)
3) 55
4) (×)
5) 13

감염성 질병 발생의 변화과정에 대한 용어 중 '인체 내에 충분히 병원체가 증식한 뒤에 조직, 혈액, 분비물 등에서 균이 발견되기 시작하는 기간'을 뜻하는 용어
감염기간
최근 급성호흡기 증후군(SARS)으로 전세계적으로 3,000여명의 환자가 속출하고, 100여명이 사망하였다. 이와 같이 신종 및 해외유입 감염병으로 신속한 방역대책이 요구되는 질환은 다음의 법정감염병 분류상 어디에 해당하는가?
제4군

수두 (varicella)

(○) 전염력이 매우 강하다.
() 수두와 대상포진은 같은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 초회감염 이후 병인체는 감각신경절에 잠복한다.
(○) 소아는 발진이 가피가 될때까지 격리가 필요하다.

감염성 질환

(○) 경태반 전파는 직접전파의 일종이다.


) 병원소로부터 병원체가 탈출하는 균배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결핵균은 감염된 후 바로 시작된다.


(×) 병원소는 병원체에 대한 감수성이 있어 감염이 실제 일어나는 사람을 뜻한다.


(×) 감염시작 시점으로부터 균배출이 가장 많은 시기를 잠재기간이라 한다.

전염성 질병의 생성과정

(○) 집단면역은 집단의 총 인구 중 면역성을 갖고 있는 사람의 비이다.


(○) 디프테리아나 성홍열은 감염이 되자마자 바로 균 배출을 시작한다.


() 임산부에서 태아로 병원이 전파되는 경태반 전파는 직접전파의 한 형태이다.


(○) 일반적으로 병원소로부터의 병원체 탈출의 경로와 침입경로는 같은 경우가 많다.

법정감염병 3군에 해당하는 인축공통감염병은?
탄저병, 공수병

민감도와 특이도

각각 100%인 검사가 가장 이상적이나 실제로는 민감도와 특이도 사이에는 역(逆)상관성이 있다.

뇌졸중

뇌혈관의 순환장애와 함께 신체의 반신에 마비를 일으키는 급격한 뇌혈관 질환으로 뇌출혈과 뇌경색이 발생하는 질

뇨병에 대한 2차적 예

생활환경과 환경요인을 변화시키는 방법

발암인자

(×) 발암인자의 80-90% 정도는 방사선, 자외선, 바이러스 및 유전적 요인 등이고 약 10-20% 정도가 우리 생활주변에 존재하는 식이, 흡연 등을 통한 발암성 화학물질들이다.

비감염성 질환의 증가 원인

(○) 평균수명의 증가
(○) 생활양식의 변화
(○) 건강위해인자의 증가
(○) 진단기술의 발달

실제로 질병을 지닌 사람을 질병이 있는 것으로 검사결과가 나오게 하는 검사의 능력

민감도

비감염성질환의 특성

() 질병의 발생시점이 불분명하다.


) 조기진단이 쉽다.


) 원인이 단순하다.


) 잠재기간이 짧다.


(×) 치료가 쉽.

비감염성 질환의 1차적 예

(○) 영양섭취


(○) 보건지식의 습득


(○) 체력의 증진


) 예방접

암의 주된 요인

(○) 노령화


(○) 환경오염


(○) 생활습관 변화


(○) 음주 및 흡연의 증가


) 과도한 건강검

폐암의 검출시험법이 타당한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명의 건강한 대조군과 200명의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새로 개발된 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50명과 폐암환자의 100명이 양성으로 나타났다. 새로 개발된 시험법의 정밀도는?
67%

고혈압

(○)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인구가 노령화되면서 빈도와 분포는 높아지고 있음


(○) 유전적 소인, 인구의 노령화, 체중과다, 식염섭취, 혈청지질의 증가, 담배 술 커피 등의 문제, 스트레스, 그리고 체질, 기후, 직업, 정신적 갈등, 개인의 성격, 과로, 운동부족, 생활양식, 환경여건 등을 들 수 있음


(○) 1차적 예방으로서는 규칙적인 생활과 적당한 운동, 식사관리, 체중조절, 2차적 예방으로는 혈압을 자주 측정

질병의 1차적 예

(○) 보건지식의 습득


(○) 예방접종


(○) 영양섭취


(○) 체력증진


) 혈압측

아래 표는 한 집단을 대상으로 질환 A의 이환여부를 B test를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이다. B test에 대한 정확도는?

85%

질병발생의 5단계와 예방대책 단

(○) 재활의 단계는 회복기에 있는 환자에게 질병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불구)을 최소화시키는 단계이다.


(○) 병인의 자극에 대한 숙주의 반응이 시작되는 단계에서는 조기발견과 조기치료가 필요하다.


(○) 질병이 발생하여 임상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에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이를 3차적 예방이라 한다.


(○) 병인의 자극이 시작되는 질병전기에는 숙주의 면역강화로 인해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요구된.


(×) 제1단계는 숙주의 저항력이나환경요인이 숙주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여 건강의 악화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환경인자의 기여분율이 큰 질

(○) 일본뇌


) 성병


) 말라리아


) 결핵


) B형 간

다음 중 질환 발생의 원인 중 환경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세계적으로 큰 질환은?

(○) 설사증


) 허혈성 심장질환


) 만성 폐쇄성 폐질환


) 하기도 감염증


) 말라리아

트라코마

(○) 환경인자의 기여분율이 100%인 질환이다.


(○)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감염성 안질환이다.


(○) 파리에 의한 직접 감염이 가능하다.


(○) 물공급 부족과 위생시설 부족은 위험인자이다.


(×) 유충에 오염된 물에 피부가 노출되어 감염된다.

발병감소를 위해 돼지 등의 가축에 의한 노출 위험의 축소가 필요한 질환

일본뇌염

기후변화 관련 질병 중 따뜻하고 습한 겨울로 인해 설치류와 절지동물이 증가함으로써 이를 매개로 발생양상이 증가하는 질환

(○) 쯔쯔가무시증


(○) 라임증


(○) 홍반열


(○) 발진티푸


(×) 뎅기열

대기 중의 life-time이 긴 것

(○) CF4


) CO2


) CH4


) N2O


) CFC-11

환경에서 화학물질의 동태 축

(○) alkyl쇄에 분지가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환경에서 잔류도가 높다.


) Parathion은 분해속도가 매우 느려 생체 내 축적성이 높다.


) DDE는 DDT의 대사산물로서 자연 중에서 쉽게 분해된다.


) 메틸수은은 무기수은으로 전환이 가능하나 금속은은 무기수은으로 전환되지 않는다.


) polychlorinated byphenyl은 환경에서 잔류도가 높으나 생물농축은 낮.

생물농

(○) 생물이 어느 물질을 그 생활환경의 매체 중 농도보다 고농도로 함유할 경우 생물농축이라 한다.


(○) 농축계수는 생물체내 농도(Ca)와 환경내 농도(Cb)의 비인 Ca/Cb로 계산된다.


(○) 미생물에 의한 화학물질의 분해도 시험에서 시험법의 유효성은 aniline을 이용하여 확인하다.


) 잉어가 생물농축실험에서 사용되며 시험물질의 농도는 LD50값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PCB

염소수가 많아지면 비중은 커진다

화학물질의 생물농축을 예측하는데 유효한 물리화학적 지표

Pow, lipid solubility

환경 중 축적되기 쉬운 물질

(○)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


(○)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 받기 어려운 물질


(○) 환경 중 방출량이 화학적 변화량 이상인 물질


) 먹이 사슬을 매개한 간접 농축이 발생하지 않는 물

수은의 환경 중 동

(○) 무기이온형 형태로 환경 중으로 유출된다.


(○) 식품 중에 존재하는 수은의 70%는 메틸수은의 형태로 주로 노출된다.


(○) 환경 중 세균이나 곰팡이에 의해서 무기수은에서 메칠수은이 생성된다.


) 흡수된 유기 수은은 포유동물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아 무기형 수은 생산이 되지 않는다.

환경오염물질의 생태계 내 동

(○) POP는 환경 내 잔류성 및 인체 내 축적성이 높다.


(○) Diazinon은 dieldrin에 비해 환경 내 잔류성이 낮다.


(○) 직쇄형 보다는 분지형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환경 잔류성이 높다.


(○) 계면활성제는 친수기와 소수기가 떨어져 있을수록 미생물 분해가 용이하.


(×) 육상생물의 화학물질 농축경로는 주로 직접농축에 의한다.

LAS계 계면활성

(○) 생분해 과정은 베타-산화과정이.


)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어렵다.


) Hard형으로 분류하는 계면활성제이다.


) 친수기와 소수기가 가까울수록 분해가 잘 된다.


) Alkyl chain에 branch가 많.

환경내 잔류성이 큰 농약

(○) dieldrin


) diazinon


) malathion


) parathion


) folate

환경오염물질의 생태계내 동태

(○)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는 환경오염물질이나 에너지가 자연적인 수준보다 과도하게 환경내에 존재하는 상태를 환경오염이라 한다.


(○) 분해가 어려운 물질을 POP 물질로 분류하는데, 이들 물질은 대체로 환경내 잔류성이 높을 뿐 아니라 인체에 대한 축적성도 높다.


) 유기염소계 농약인 DDT는 환경내에서 분해속도가 빠른 편이나 그 주요 대사체인 DDE와 DDD는 분해가 느려 생체 내 축적되어 장해를 일으킨다.


) 세제의 주성분인 builder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아 하수처리 능력의 저하, 수중 생물에 대한 독성 등 환경위생상 장해를 일으킨다.

광화학 옥시단트 중에서 측정 가능한 것

오존, aldehyde, PAN

환경 담배연기 중 건강상에 문제를 유발하는 주요 물질

일산화탄소, 니코틴, 타르

폐에 침착률이 가장 높은 입자는 보통 0.1~2.5 um 정도의 입자경을 가진다. 왜 0.1 um 이하의 입자의 침착률이 감소하는가?
호흡운동에 의하여 다시 폐 밖으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

대기오염물질로서 가스상 물질

(○) 유기수은과 유기용제는 지용성이 높아 폐포를 통과하여 혈류로 들어가 전신작용을 나타낸다.


(×) CO, NO는 수용성이 높아 기관지 점막에서 반응한다.


) NO는 산소에 비해 헤모글로빈에 대한 친화력이 낮다.


) 암모니아, 이산화유황은 수용성이 낮아 대부분이 혈액까지 유입된다.


) CO는 methemoglobin의 주요 원인물질이다.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2차 오염물질인 옥시단트, 알데히드 등이 응집하여 시계를 방해한다
2) 광화학옥시단트란 O3, peroxyacylnitrate, 그외 광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된 산화성물질의 총칭이다
3) 광화학 옥시단트의 생성에는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자외선과 산소의 존재가 필요하다
4) LA 스모그의 원인이었다
5) 질소산화물은 탄화수소나 자외선의 작용에 의해 환원력을 가지는 물질로 전환된다
5
다음 대기 오염물질 중 수용성이 높아 주로 상기도 점막을 자극하는 것은?
1) SO2
2) CCl4
3) CO
4) NO
5) ㅖㅙㄶ둗
1
미세먼지 중 폐포침착률이 가장 큰 먼지의 크기는?
0.1~2.5 um
석공, 광부, 연마공 등의 만성 직업병과 관련이 있는 폐질환은?
진폐증
다음은 어떤 입자상 물질에 대한 설명인가?
가. 형태: 고체-액체
나. 생성원인: 유기물의 불완전연소로 생성된 유기성 미립자
다. 직경: 0.01~0.1 um

1) Dust 2)Fume 3) Mist4) Smoke5) Fog

4

다음의 특성을 갖는 가스상 물질로만 이루어진 항은?
가. 증기압이 높고, 지용성도 크다
나. 기도나 폐포의 세포층을 용이하게 투과하여 혈류로 들어간다
다. 전신에 운반되어 신경증상이나 간장장해 등의 전신영향을 일으킨다.

1) 이산화질소, 포스겐2) 암모니아, 이산화황3) CO, NO4) 수은, 유기용제 등의 증기5) 메탄, 프로판

4

다음은 어떤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설명인가?
가. 이산화질소와 탄화수소가 햇빛과 반응하여 생성된다
나. 불쾌한 냄새, 운동신경 기능저하, 호흡기 감염증가, 시력저하 등과 같은 피해를 유발한다
다. 돌연변이 유발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존
다음 중 이산화황의 독성 작용기작에 해당되는 것은?
가. 단백질에 존재하는 -S-S- 결합을 개열한다
나. 생물의 돌연변이를 유발한다
다. DNA의 cytosine잔기를 uracil로 변환시킨다
라. 대기중 탄화수소나 자외선 작용으로라디칼 반응이 일어나 oxidant를 발생시킨다
가, 나, 다
다음은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1차오염물질은 낮에 대기중의 농도가 증가된다
2) 2차오염물질은 아핌저녁에 대기중 농도가 증가한다
3) 2차오염물질 중 oxidant는 아침저녁에 대기중 농도가 증가한다
4) 1차오염물질은 낮에는 바람이나 상승기류에 의하여 확산되어 농도가 저하된다
4
대기 중의 질소 산화물을 인체가 흡입시 일어나는 변화 및 인체 증상으로 옳은 것은?
1) 흡입된 아질산 이온은 장내세균이나 catalase에 의해 질산으로 산화된다
2) 급성 독성은 상기도 점막에 염증, 기관지염 및 폐수종을 일으킨다
3) 만성 노출 때는 적혈구 및 백혈구 증가 현상이일시적으로 나타난다
4) 흡입한 경우 폐 lacti acid dehydrogenase의 isozyme pattern이 변화한다
1, 2, 3, 4
실내환경의 주요 오염물질로써 모래나 시멘트 등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되어 폐암의 원인물질로 최근 주목되고 있는 것은?
라돈
실내환경 오염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위한 방향제의 사용은 실내 환경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다
2) 실내에서 흡연을 하는 경우 담배 연기성분인 일산화탄소와 니코틴 및 타르 등은 유해성분으로 분류된다
3) 빌딩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의 특징은 두통, 안질환, 후두염, 알레르기 질환 등의 증세를 들 수 있다
4) 에너지 절감율을 높이기 위한 건물의 밀폐화는 일시적 또는 만성적인 건강과 관련된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5)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물질은 분진, 휘발성 유기용제, 석면, 라돈, NO2, CO2, CO등이다
1
다음 중 smok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체응축으로 생긴 미세 물방울
2) 액체분산 또는 응축에 의해 생긴 물방울 상태의 콜로이드
3)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에 의한 유기성 미립자
4) 화학반응에 의해 생긴 기체가 식어 콜로이드 상태로 된 것
5) 고체분산 또는 파괴로 인해 생긴 고체상 물질
3
일간 광화학 온시던트 생성과 관련된 물질의 최고점 도달 시각이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알데히드, 탄화수소류, NO, 옥시던트
NO -> 탄화수소류 -> 알데히드 -> 옥시던트
차가운 지면에 따뜻한 공기가 흘로들어 하층부터 기온이 하강해서 발생하는 기온역전 현상은?
1) 이류성역전
2) 지형성역전
3) 전선성역전
4) 침강성역전
5) 방사성역전
1
대기오염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스모그는 여름철에 바람이 없을때 도시에서 주로 발생한다
2) 1차오염물질은 태양에너지가 요구되므로 낮에 농도가 증가한다
3) 실제 기온감율보다 단열감율이 작으면 오염물질의 희석과 이동이 증가한다
4) London smog는 자동차 배기가스가 주요 원인이었다
5) London smog는 농무형, LA smog는 연무형으로 구분된다
5
라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감기 3.8일의 자연방사선 물질이다
2) 건축자재, 지하실 틈새 등에서 공기중으로 방출된다
3) 담배연기, 먼지 등에 흡착되어 폐에 도달할 수 있다
4) 폴로니움이 핵분열되어 생성된다
5) 무색, 무취의 기체이다
4
수용성이 낮아 호흡 세기관지나 폐포에 도달하여 염증을 유발하고 가스교환에 장애를 유발하는 폐자극성의 가스상 물질로 옳은 것은?
1) 시안화수소
2) 불화수소
3) 오존
4) 포스겐
5) 황화수소
3, 4
분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생석회: 만성 기관지염
2) 활석: 진폐증
3) 니켈: 급성 폐렴
4) 동물성 분진: 알레르기성 질환
5) 목면: 피부점막 장애
2, 4
광화학스모그 생성에 필요한 요소로 옳은 것은?
1) 질소산화물
2) 탄화수소
3) 산소
4) 이산화황
5) chlorofluorocarbon
1, 2, 3
입자상 물질 3개?
납 fume, 황산미스트, 담배연기
증기압과 지용성이 높아 폐포를 쉽게 투과하여혈류에 들어가 전신독성(신경증상, 간장해 등)을 유발하는 물질?
수은증기, 벤젠증기(유기용제)
수용성이 낮은 비자극성 가스로 폐포벽 손상없이 혈류로 확산되어 헤모글로빈의 산소운반능 저하 및 heme 단백질에 결합하는 물질?
일산화탄소, 일산화질소, 시안화수소
수용성이 높아 상기도나 기관지 점막 부분에 염증이나 괴사를 일으키고 천식성 발작을 유발하는 물질?
암모니아, 오존, 불화수소
중성에서 수용성이 낮아 점막액에 녹기 어렵고, 세기관지나 폐포에 도달 폐포벽에 염증성 손상을 유발하며 가스교환능에 지장을 주는 물질은?
이산화질소, 포스겐, 오존
BOD가 200mg/l(ppm)이고 수량이 4,000m3/일인 폐수를 BOD가 2mg/l(ppm)이고 유량이 4,000,000 m3/일인 하천에 방류를 하는 경우, 하천수의 BOD는 몇 mg/l(ppm)인가? 단, 폐수와 하천수는 즉시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으로 가정함.
2.2
물꽃현상 발생시 증식이 늘어나는 Cyanobacteria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암 및 간독성 유발물질을 생산하는 것은?
Microcystis
Mills-Reinke 현상과 관련 있는 정수처리 과정은?
여과
사람 분변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로, 일반적인 염소소독으로는 불활성화가 어려워 오존소독이 필요한 것은?
Hepatitis virus A
염소소독시 pH8에서의 상황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물과 염소가 반응하여 HClO 생성이 시작된다
2) Monochloramine의 생성이 우세해진다
3) Dichloramine의 생성이 우세해진다
4) Trichloramine의 생성이 우세해진다
5) HClO의 해리가 어려워 ClO-는 소량이 존재한다
2
암모니아성 질소를 함유하는 물에 염소 주입시 불연속점을 보이게 되는데, 이 점 이후에 검출되는 염소의 형태는?
HOCl, NCl3
하천의 수질환경기준 중 검출되어서는 안되는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수은
수돗물 수질기준 중 소독부산물로 관리하는 항목은?
클로로포름
정수과정 중 Sodium pyrophosphate나 triphosphate를 이용하는 것은 제거대상 물질의 어떤 영향 때문인가?
Boiler scale 발생
수질오염 판정지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유물질은 수생생물의 광합성을 저해한다
2) 유기물의 호기적 생물분해로 용존산소가 감소한다
3) BOD는 산소소비량을 mg/liter로 표시한다
4) 총유기탄소는 검수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여 표시한다
5) BOD가 크면 COD도 크고, BOD가 작으면 COD도 작다
5
베타-중부수성 수역의 지표생물은?
히드라
염소소독의 기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HClO는 산성에서 ClO-로 완전히 해리된다
2) 염소나 표백분은 물에 녹아 HClO가 된다
3) 살균력은 HClO < ClO- 이다
4) 잔류성은 HClO = ClO- 이다
5) 살균효과는 결합잔류염소 > 유리잔류염소이다
2
다음 중 병원미생물 추정 항목이 아닌 것은?
1) 질산성 질소
2)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3) 암모니아성 질소
4) 잔류염소
5) 일반세균
4
다음 중 일시경도와 관련이 있는 물질은?
Ca(HCO3)2
염소를 이용한 정수에서 염소를 주입하고 일정시간을 반응시킨 후에 유리형 잔류염소가 잔류하는데 필요한 염소량은?
염소요구량
다음 중 수질 환경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을 고르면?
1)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에 해당하는 기준의 예로는 음이온계면활성제, 수은, 사염화탄소, 안티몬 등이 있다
2) 생활환경 기준에서 하천의 경우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호소의 경우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사용한다
3) 호소에 관한 기준에는 총질소에 관한 기준이 없다
4) 지하수에 관한 기준에서 검출되어서 안되는 것으로 규정된 기준으로는 시안, 수은 유기인, PCB가 있다
5) 먹는샘물 및 먹는물 공동시설에 관한 기준에는 생태독성 기준이 있으며 이는 물벼룩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기준으로 한다
1
폐기물 오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의 처리방법은 매립, 소각이다
2) 감염성 폐기물의 주요 원인은 생활폐기물이다
3) 플라스틱제품의 불완전 소각은 다이옥신을 발생한다
4) 일반폐기물과 지정폐기물의 구분은 함유성분의 독성에 의한다
5)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로 크게 구분한다
2
토양오염의 특성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간접적, 만성적
냉방설계를 위하여 고안된 온도지수이며, 기동요인이 포함되지 않으며, 여름의 찌는 듯한 더위정도를 표시한다
불쾌지수
실내공기의 움직임을 말하는 경우에도 사용되며, 체표면에서 체열의 방산을 촉진하고, 체표온도를 저하시킨다
기류
인체에 주는 온감을 말하며, 습도 및 공기의 흐름과 온도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된다
감각온도
태양이나 방사체(인공적 열원이나 벽면 등)에서 열 에너지가 방출되는 것을 말하며, 기상학에서는 일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적외선을 주로 하는 전자파로서 방출되고 온열감을 준다
열복사
감각온도란?
기온, 기습, 기동이 인체에 주는 온감
Kata 냉각력이란?
36.5`C와 동일한 Kata온도계 눈금에 있어서 그 주위의 공기에 대한 냉각률
등감온도라 함은?
온도, 습도, 기동이 인체에 주는 온감
불쾌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측정해야 하는 것은?
건구 및 습구온도
β선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경우 나타나는 만성장해는?
피부장해, 안과장해
방사선 요오드(131I)가 인체에 들어온 경우 어떠한 장기조직에 주로 침착하여 장해를 주기 쉬운가?
갑상선
방사선 장해에 있어 틀린 것은?
1) 급성피폭의 경우 피부장해인 탈모, 홍반, 수포 형성
2) 급성피폭의 경우 전신장해인 혈액장해, 골수, 비장, 임파선 장해
3) 생식에 대한 선감수성이 심하여 무월경, 무정자상태
4) 방사선에 의해서는 돌연변이가 절대 일어나지 않음
5) 장해를 받은 피부는 외적 자극에 민감하여 궤양이 일단 형성되면 암 발생 유발
4
일반적으로 자외선 290-313nm의 광선을 Dorno rays라 하는데 그 생리학적 작용은?
각질 내에 있는 Histamin 유사 혈관 작용물질이 미세혈관을 확장시켜 피부에 홍반 유발
방사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소는 난소보다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이 적다
2) 노인은 유아보다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
3) 피폭선량이 같으면 만성피폭이 급성피폭보다 독성이 적게 나타난다
4) 골수, 비장 임파선 등은 신경이나 골에 비하여 방사선 장해가 약하다
1, 3
정상조직의 방사선 감수성이 큰 것은?
점막, 흉선, 피부
방사선 감수성이 가장 큰 조직은?
점막
방사선장해에 있어 투과력의 순위는?
γ>β>α선
자외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UVA는 UVC보다 파장이 짧다
2) UVA는 UVC보다 살균작용이 강하다
3) UVB는 pyrimidine dimer 생성을 유발한다
4) UVC는 8-oxo-2'-deoxyguanosine 배설을 촉진한다
5) UVA는 산화적인 DNA 손상을 유발한다
3, 5
Melaton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뇌하수체 전엽에서 합성된다
2) Tyrosine에서 유래되는 물질이다
3) 산화적 스트레스의 방어인자 중 하나이다
4) 면역계를 활성화시킨다
5) Raynaud syndrome 발생에 관여한다
3, 4
소음과 관계없는 것은?
1) 두통
2) 작업능률의 저하
3) 불쾌감
4) 소화항진
5) 난청
4
다음 중 소음의 단위는?
Phon, dB
소음으로 인해 장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내분비 이상
2) 난청
3) 부교감신경 긴장
4) 초조감과 주의력 산만
5) 작업능률 저하
3 (교감신경 긴장)
다음 중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수면, 학습 방해
2) 교감신경 긴장
3) 혈행 장애
4) 수지골, 관절 변형
5) 근육산소소비량 증가
2 (레이노증상)
진동에 의한 장해로 타당한 것은?
1) 산소소비량의 감소
2) 말초혈관 혈행장해
3) 타액 및 위액 분비 항진
4) 혈관확장에 의해 혈행 왕성
5) 근육의 긴장 감소
2
손가락에 심한 국소진동을 받아 말초혈관 혈행장해가 원인이며, 손과 팔의 불쾌감, 저린감으로부터 시작되어 장지관절의 말초가 창백하게 되고, 수지골이나 관절의 변형이 생길 수 있는 질병에 해당하는 것은?
Raynaud syndrome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적인 진동발생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작업공정의 변천
2) 방진재 사용
3) 방진구조 설치
4) 진동원을 개방형으로 변경
5) 소음발생 기계의 교환
4
진동부하에 의해 인체의 산소소비량 증가가 나타나는 이유는?
근육긴장의 증가
고산병에 대한 설명?
두통, 오심
다음 중 직업병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특정 직업에 종사함으로써 근로 조건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질환
2) 업무와 명확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
3) 직업 종사자에 대한 불특정 대상
4) 만성적 노출에 따라 발생
5) 우발적인 사고나 과실로 발생하는 재해성 질환
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직업병은?
가. 고압 작업 후 급속하게 상압으로 복귀에 따른 관절의 동통, 호흡곤란 유발
나. 감압 중 고압 상태에서 혈액과 조직에 녹이있던 질소가 상압 하에서 기포화에 따른 공기색전
감압증, 잠수병, 잠함병
고압에서 급히 상압으로 감압되면 혈액에 녹아 있던 질소가 발포되어 공기색전을 일으키는 질환과 증상으로 옳은 것은?
Caisson disease(잠수병)-실신
용광로 작업시 폐로 흡입하여 cytochrome계를 저해, 의식상실, 경련 및 호흡정지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은?
시안화수소
직업병과 발생장소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규폐증-잠함작업
2) 직업성 난청-도자기 제조
3) 안구진탕증 - 임업
4) 크롬 중독 - 염료공장
5) 납 중독 - 축전지 제조
4, 5
일생동안의 평균 일일 노출량을 구하는 식은?
총노출량(mg)/[평균체중(Kg)x평균수명(days)]
총노출량(mg) = 오염물질농도(mg/m3, mg/L, mg/Kg)
------------------------ x 접촉률(m3/day 또는 L/day)
-------------------------x 노출기간(days)x흡수분율
위해지수 산출결과 위해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위해지수가 1보다 클 때
개인초과 발암위해도란?
인체노출량(mg/kg/day) x 발암력(mg/kg/day)
= 현오염도수준 x 단위위해도
인구집단위해도와 개인초과 발암위해도 차이는?
인구집단위해도 = 개인초과발암위해도 x 노출인구수
위해성평가를 근거로 위해성관리 정책을 수립하는 이때 위해성관리의 주요 내용은?
위해성저감
유해화학물질의 위해성평가와 거리가 먼 것은?
1) 유해성 확인
2) 노출평가
3) 용량-반응평가
4) 위해성결정
5) 위해성의사소통
5
위해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계획수립의 단계에서 평가를 위한 기초현황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때 기초현황조사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된 환경
2) 오염된 식품
3) 오염된 지역
4) 노출량 측정계획
5) 유해성시험실시
5
비발암성물질에 대한 위해성펑가와 가장 관련 있는 것은?
NOAEL
기준노출량(인체독성참고치, RfD)와 같은 의미에 해당하는 용어는?
ADI(Acceptable daily intake)
TDI(Tolerable daily intake)
사람이 음용수, 식품, 또는 공기중의 단위농도(1 ug/L, 1 ug/m3)로 평생 동안 노출될 경우, 추가적으로 증가되는 발암위해도는?
단위위해도
인체위해성평가 시 고려 사항이 아닌 지표는?
1) RfD
2) MOS
3) PEC
4) UF
5) BMD
3
어떤 물질의 기준노출량을 구할 때 가장 우선 순위의 값은?
1) 원숭이 실험으로부터 구한 NOAEL
2) 사고로 인한 노출에서 제시된 인체 LOAEL
3) 역학조사 자료에제시된 인체 NOAEL
4) 동물시험 자료 중 가장 낮게 제시된 NOAEL
5) 동물시험 자료 중 가장 낮게 제시된 LOAEL
3
어떤 물질의 위해성 평가결과 개인초과발암위해도가 2x10-5이었고, 인구 2백만명인 대구시 모든 인구가 이 물질에 노출되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평가대상물질의 존재로 인해 대구에는 매년 4명이 추가로 암에 걸릴 가능성이 존재한다
2) 인구 백만명당 매년 적어도 20명 정도는 평가대상 물질로 인해 추가로 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3) 이 물질의 인체노출량과 발암력의 곱은 2x10-5이다
4) 개인초과발암위해도는 이 물질에 70년간 노출된다고 가정했을 때의 개인의 평생 최대위해이다
5) 이 물질의 현오염도수준이 20ug/l라면 기준노출량은 1x10-6 (ug/kg/day)-1이다
3, 4
다음 중 위해지수를 의미하는 식은?
인체노출량/기준노출량
노출평가 시 환경매체로부터의 총 노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이 아닌 것은?
1) 오염물질 농도
2) 접촉률
3) 노출기간
4) 흡수분율
5) 평균체중
5
노출량 산정 시 측정값의 수가 너무 적고 편차가 심하여 통계적 접근이 어려운 경우 보수적으로 대표농도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측정값 중 가장 높은 값을 이용한다
어떤 지역의 대기 중 어떤 중금속의 현재 농도는 100ng/m3이다. 이로 인해 인구 1백만명당 400명이 추가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면 이 물질의 단위위해도(ug/m3)-1는 대략 얼마인가? 단, 이 중금속은 한 가지 형태로 존재하는 발암물질임.
4 x 10-3
어떤 발암성물질의 허용위해도를 1 x 10-6으로 간주할 때, 이에 해당하는 대상물질의 농도를 의미하는 것은?
virtually safe dose
안전역의 정의?
LD1/ED99
<어떤 특정 상태에서 유해영향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을 의미하는 용어는?
안정성(safety)
다음 중 위해성 관리에 해당하는 항은?
1) 사람에 대해 risk의 종류와 크기를 추정한다
2) 화학물질의 건강영향 유무 결정과 종류를 판정한다
3) 사람에 대한 노출 정도를 결정한다
4) 위험을 허용수준 이하로 하기위한 수단을 고려 선택한다
4
다음은 화학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한 위해성 평가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되는 것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사람 또는 환경에의 폭로(노출)량을 명확히 한다
2) 위험요인을 허용수준 이하로 하기 위한 수단을 고려하여 위해저감 계획을 수립한다
3) 용량과 작용 또는 반응의 관계를 구한다
4) 선택에 필요한 비용과 편익과의 관계를 명확히 한다
5) 위험요인의 유해한 특성을 명확히 한다
1, 3, 5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위해성이 크다고 인정되어 그 용도로의 제조, 수입, 판매, 보관, 저장, 운반 또는 사용을 금지하기 위하여 환경부장관이 지정고시한 물질은?
취급제한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