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ffle
    Toggle On
    Toggle Off
  • Alphabetize
    Toggle On
    Toggle Off
  • Front First
    Toggle On
    Toggle Off
  • Both Sides
    Toggle On
    Toggle Off
  • Read
    Toggle On
    Toggle Off
Reading...
Front

Card Range To Study

through

image

Play button

image

Play button

image

Progress

1/100

Click to flip

Use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navigate between flashcards;

Use UP and DOWN arrow keys to flip the card;

H to show hint;

A reads text to speech;

100 Cards in this Set

  • Front
  • Back
  • 3rd side (hint)

1-1. 0.5M H2SO4 50mL와 2M H2SO4 80mL 혼액에 물 몇 mL를 가하면 1M H2SO4가 되는가?

답 : 55mL


몰수(n)


= 몰농도(M1)×부피(V1) + 몰농도(M2)×부피(V2)


= 0.5mmol/mL×50mL + 2mmol/mL×80mL


= 185mmol


• 목표 부피(V3)


= 몰수(n) / 몰농도(M3)


= 185mmol / (1mmol/mL)


= 185mL


• 더해야 하는 부피


= 185mL - (50mL+80mL)


= 55mL

1-2. 활동도계수 (activity of coefficient, γ)

(○) 이온세기가 증가하면 활동도계수는 감소한다.


(○) 이온의 전하가 증가할수록 활동도계수는 감소한다.


(○) 전하를 가지지 않는 중성분자의 활동도계수는 1이다.


(×) 이온의 전하수가 같은 경우 수화반경이 클수록 활동도계수는 감소한다.

화학종 a활동도(Aa)


= a의 몰농도[a] × a의 활동도계수(γa)

1-3. 해리상수가 1.6×10^-4인 약산 HA 0.1M 용액의 전리도는?

답 : 4×10^-2


전리도(α) = [A-] / ([HA]+[A-])


[A-] ≪ [HA], [HA]+[A-]≒[HA],


α[A-] / [HA]


[A-]≒α[HA]


해리상수(Ka) = [A-][H+] / [HA]


= 1.6×10^-4


[HA]=0.1M, [A-]=[H+]≒α[HA],


Ka≒α[HA]α[HA] / [HA]


약산의 전리도 α ≒ √(Ka/[HA])


= √(1.6×10^-4/0.1)


= 4×10^-2

1-4. 다음 화합물의 0.1M 수용액 중 전리도가 작은 순서

HCN (Ka = 1.0×10^-10)



H3BO3 (Ka = 5.5×10^-10)



NH4OH (Kb = 1.8×10^-5 Ka = 5.6×10-^10)



HAc (Ka = 1.8×10^-5)



HCOOH (Ka = 1.8×10^-4)

약산의 전리도 α ≒ √(Ka/[HA])


산의 전리도 α √Ka


Ka × Kb = 10^-14


Ka = 10^-14 / Kb


문제에서 몰농도가 0.1로 동일하므로 해리성수Ka만 비교하면 풀수 있다. 전리도는 Ka의 제곱근에 비례

1-5. 반응식에서 짝산과 짝염기 NH3 + H2O ↔ OH- + NH4+

(○) H2O/OH-


(×) NH3/OH-


(○) NH3/NH4+


(×) OH-/NH4+

Bröensted-Lowry의 산 염

1-6. 진한황산(98%, 비중=1.8)을 물에 사용하여 20배 희석한 용액의 농도는? 단, 황산의 분자량=98

답 : 0.9M


• 원액부피=1000mL, 비중=1.8, 백분율=98%, 분자량=98


몰농도(M)


= 몰수(n) / 1L


= 질량(m) ÷ 분자량(MW) / 1L


= 액질량(m)×백분율(pc) ÷ 분자량(MW) / 1L


= 원액부피(V)×비중(SG)×백분율(pc) ÷ 분자량(MW) / 1L


= 1000mL원액×1.8g원액/mL원액×(98g황산/100g액) ÷ 98g황산/mol / 1L


= 18mol/L


• 18mol/L를 20배 희석


⇒ 18/20 = 0.9mol/L

1-7. 전리도 (degree of ionization, α )

(○) 전해질의 전리도가 크면, 같은 몰농도의 비전해질에 비해 어는점 내림이 커진다.


(×) 약산의 전리도는 그 수용액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 전리도는 물질의 고유한 특성으로 온도가 일정하면 농도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 약산의 전리도는 온도와 상관없이 주어진 농도에서는 일정하다.


(×) 약염기의 전리도는 전기전도도와는 상관없다.

전리도(α) = [A-] / ([HA]+[A-])


해리상수(Ka) = [A-][H+] / [HA]


산의 전리도 α ∝ 1/[HA]


산의 전리도는 의 농도에 반비례하다.


전리도는 물질의 농도에 따라 변하므로 고유한 특성이 아니다.


전리도는 온도, 전기전도도, 어는점내림에 비례하다.

2-1. pH 측정기로 측정되는 값

(○) pH = -log γ H+[H+]


(×) pH = -log[H+]


(×) pH = log[H+]


(×) pH = -log AH+[H+]


(×) pH = pKW - log[OH-]

pH = pKW + log[OH-]

2-2. 아미노산의 등전점을 나타내는 [H+]

(○) [H+] = √(K1•K2)


(×) [H+] ≒ √(K1•C)


(×) [H+] ≒ √(K2•C)


(×) [H+] = √{(K1K2C+K1Kw) / (K1+C)}


(×) [H+] = √(K1K2C+K1Kw)

2-3. 완충용액의 pH를 나타내는 식

(○) 약산(HA) + 염(A-) : pH = pKa + log([A-]/[HA])


(○) 약염기(BOH) + 염(B+X-) : pOH = pKb + log([B+]/[BOH]) ⇒ pH = 14 - pOH


(○) 약염기(B) + 짝산(BH+) : pH = pKa + log([B]/[BH+])


(○) 산(H2A) + 염(HA-) : pH = pK1 + log([HA-]/[H2A])


(×) 약산(HA) + 염(A-) : pH = pKa + log([HA]/[A-])

2-4. HA와 A-로 이루어진 완충액에 강산을 ΔC만큼 첨가하였을 때, 완충용액의 pH를 나타내는 식

(○) pH = pKa + log{([A-]-ΔC) / ([HA]+ΔC)}


(×) pH = pKa + log([A-] / [HA])로 변화 없음


(×) pH = pKa + log{([A-]+ΔC) / ([HA]-ΔC)}


(×) pH = pKa + log{([A-]-ΔC) / ([HA]-ΔC)}


(×) pH = pKa + log{([HA]+ΔC) / ([A-]-ΔC)}

강산을 HB라고 한다면, 강산은 해리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HB] ↔ [H+] + [B-] 식에서 H+가 거의 ΔC만큼 생성된다.


• 완충액의 산은 약산 HA이다. [HA] ↔ [H+] + [A-] 식에서 HA가 잘 생성된다. 여기에 첨가된 강산에서 ΔC만큼 H+가 생성되어도 바로 ΔC만큼 A-와 결합하여, ΔC만큼 AH가 생성된다([A-]-ΔC, [HA]+ΔC).

2-5. 1M NH4Cl 용액의 [H+]에 가장 가까운 값은? 단, NH4OH : Kb = 1.0×10^-5, Kw = 1.0×10^-14

답 : 1.0 × 10^-5M


• NH4+의 Ka = Kw / Kb


= (1.0×10^-14) / (1.0×10^-5)


= 1.0×10^-9


• 1M NH4+의 [H+]≒√(Ka•C)


= √(1.0×10^-9 × 0.1)


= 1.0×10^-5M

2-6. 완충용액 중의 pH를 9.24가 되게 하려면 NH4OH와 NH4Cl의 농도비를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가? 단, NH4+의 pKa = 9.24

(○) 1 : 1


(×) 1 : 2


(×) 2 : 1


(×) 1 : 1.8


(×) 1.8 : 1

pH = pKa + log([NH4OH]/[NH4+])


pH = pKa = 9.24 ⇒ [NH4OH] = [NH4+]

2-7. 아미노산 glutamic acid (H3A)는 분자 내 2개의 -COOH를 가지고 있다. 이 아미노산의 pK1 = 2, pK2 = 4, pK3 = 10 이라면 아미노산이 전하를 가장 적게 띠는 pH는?

답 : pH = 3


H3A+ ↔ H2A ↔ HA- ↔ A--


pH = 2에서는 H3A+와 H2A가 반반 정도로 존재한다.


pH = 3에서는 대부분이 H2A의 형태로 존재한다.


pH = 4에서는 H2A와 HA-가 반반 정도로 존재한다.


pH = 7에서는 대부분이 HA-의 형태로 존재한다.


pH = 10에서는 HA-와 A--가 반반 정도로 존재한다.

2-8. pH 7.2를 만들기 위하여 phosphate buffer를 사용한다. 적합한 완충용액의 구성은? 단, H3PO4의 pKa1 = 2.1, pKa2 = 7.2, pKa3 = 12.3

(○) 0.01M NaH2PO4와 Na2HPO4가 1 : 1로 섞인 용액


(×) 0.01M NaH2PO4와 Na2HPO4가 1 : 10으로 섞인 용액


(×) 0.01M Na2HPO4와 Na3PO4가 1 : 1로 섞인 용액


(×) 0.01M Na2HPO4와 Na3PO4가 1 : 10으로 섞인 용액


(×) 0.01M H3PO4와 NaH2PO4가 1 : 1로 섞인 용액

2-9. 등전점 (isoelectric point)

(○) 분자의 평균 전하가 0이 된다.


(×) 등전점에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좋아진다.


(○) 등전점에 있늘 물질을 전기장에서 움직이지 않는다.


(×) 다양성자성 약산 1M 수용액의 pH이다.

약산 1M 수용액의 pH는 0.5pKa이다.


농도 C인 약산의 수용액에서


C [H+] [OH-]


[H+] ≒ √(Ka•C)


C = 1M


⇒ [H+] ≒ √Ka


pH = -log [H+] ≒ -0.5log(Ka)


= 0.5pKa

2-10. 다음 화합물 중 염기도가 가장 큰 것은?

C6H5ONa (C6H5OH : Ka = 1.1×10^-10)



C3H7COONa (C3H7COOH : Ka = 1.5×10^-5)



CH3COONa (CH3COOH : Ka = 1.8×10^-5)



HCOONa (HCOOH : Ka = 1.8×10^-4)



NaNO2 (HNO2 : Ka = 7.1×10^-4)

Kb = Kw / Ka


Kb ∝ 1/Ka

2-11. 양성자성 용매 (protic solvent)

(×) 킬레이트 효과 (chelate effect)


(○) 자기해리 (자체이온화, autoprotolysis)


(×) 가리움 효과 (masking effect)


(○) 수평화 효과 (leveling effect)

킬레이트(chelate): 하나의 배위자가 중심 금속 원소와 두 곳 이상에서 결합하여 생성된 환상의 착화합물


가리움 효과(masking effect): 여러 성분이 공존하는 계에서 방해가 되는 성분을 착화합물로 만들어 분석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


물의 수평화 효과 (leveling effect): 물과 반응하는 아무리 강한 산이라도 H+(aq) 이온을 생성하고, 아무리 강한 염기라도 OH-(aq) 이온을 생성한다.

2-12. 완충용량이 큰 pH 7.40의 완충 용액을 만들려면 다음 중 어느 화합물 용액에 NaOH를 가하는 것이 적절한가?

(○) H3PO4 (pK1 = 2.15, pK2 = 7.20)


(×) HAc (pKa = 4.76)


(×) HCOOH (pKa = 3.75)


(×) H2CO3 (pK1 = 6.35, pK2 = 10.33)


(×) HF (pKa = 3.17)

H3PO4pH = 7.20 에서 H2PO4-와 HPO4--가 반반씩 존재한다.

2-13. 강전해질

(×) CH3NH2


(○) KOH


(○) CaCl2


(○) (CH3)4NCl


(○) Na2HPO4

2-14. 다음 중 0.05M phosphate buffer (pH = 7.2) 용액 1L를 만들기에 적합한 시약은? 단, H3PO4 pK1 = 2.1, pK2 = 7.2, pK3 = 12.1

(○) NaH2PO4 0.025mol과 Na2HPO4 0.025mol


(×) H3PO4 0.025mol과 NaH2PO4 0.05mol


(×) Na2HPO4 0.025mol과 Na3PO4 0.025mol


(×) NaH2PO4 0.05mol과 Na2HPO4 0.05mol


(×) Na2HPO4 0.05mol과 Na3PO4 0.05mol

2-15. 0.1M NaHA 수용액의 pH 값은? 단, H2A의 pK1 = 7.0, pK2 = 11.0

답 : pH=9


HA-의 pH는 pK1과 pK2의 평균치에 가깝다.

2-16. 다양성자성산의 등전점

(○) 다양성자성산이 띠고 있는 전하의 평균이 0이 되는 점이다.


(○) 일반적으로 등전점에서 용해도가 가장 낮다.


(○) 이양성자성 약산의 경우 등전점의 pH는 pK1과 pK2의 평균치이다.


(×) 등전점에 있는 다양성자성산은 전기장에서 전극 쪽으로 잘 이동한다.

등전점에 있는 다양성자성산은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전기장에서 움직이지 않는다.

2-17. 0.1M H2A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A--]의 농도는? 단, H2A의 K1 = 10^-7, K2 = 10^-15

답 : 10^-15


이양성자성 약산의 수용액에서 [A--] = K2

3-1. 용해도곱 Ksp9×10^-12인 염 BA의 포화용액 중의 [B+]의 농도는?

답 : 3×10^-6


[A-]=[B+]


Ksp = [A-][B+] = [B+][B+]


[B+] = √(Ksp)

3-2. 용해도곱 (solubility product)

(○) 일정한 온도, 압력하에서 난용성염의 포화용액 중의 +, - 이온의 몰농도의


(×) 일정한 온도, 압력하에서 난용성염의 포화농도의 제


(×) 일정한 온도, 압력하에서 용액 중 두 이온의 농도의 곱


(×) 일정한 온도에서 포화용액 중 두 이온의 농도의 곱


(×) 일정한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전체 이온의 농도의 곱

3-3. B2A와 같을 염의 침전이 형성되기 위한 조건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단, Ksp는 B2A의 용해도곱

(○) [B+]²[A--] > Ksp


(×) [B+]²2[A--] < Ksp


(×) [B+][A--] < Ksp


(×) 2[B+][A--] > Ksp


(×) 2[B+]²[A--] > Ksp

3-4. Ag2CrO4의 포화 용액 중의 [Ag+]의 농도는? 단, Ag2CrO4의 Ksp=4×10^-12

답 : 2×10^-4M


[CrO4--]=[Ag+]/2


Ksp = [Ag+]²[CrO4--] = [Ag+]²[Ag+]/2


[Ag+]³ = 2Ksp

3-5. [CrO4--] = 1×10^-4M 용액이 있다. 여기에 AgNO3를 서서히 가하여 Ag2CrO4 침전이 막 생성되기 시작할 때의 [Ag+]는 얼마인가? 단, Ag2CrO4 Ksp=4×10^-12이고 용액의 부피 변화는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답 : 2×10^-4M 이상


Ksp = [Ag+]²[CrO4--]


[Ag+] = √(Ksp/[CrO4--])

3-6. AgCl과 AgBr로 포함되어 있는 용액 내의 [Cl-] : [Br-]는? 단, AgCl Ksp=1×10^-10, AgBr Ksp=1×10^-13

답 : 1000:1


AgCl Ksp=[Ag+][Cl-], AgBr Ksp =[Ag+][Br-]


[Cl-] = AgCl Ksp / [Ag+], [Br-] = AgBr Ksp / [Ag+]


[Cl-] : [Br-] = AgCl Ksp : AgBr Ksp

3-7. Ag2CrO4 포화용액 중에 AgNO3 용액을 첨가하면 용액 중 CrO4--의 농도가 감소된다.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 공통이온의 영향


(×) 염 효과


(×) 염석


(×) 분별침전


(×) 용해도곱 감소현

염류 효과는 액상 반응계에서, 염류를 첨가하였을 때 반응속도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염석은 수용액에 다른 물질(주로 무기 염류)을 첨가하여 먼저 녹아 있던 물질을 석출시키는 것을 말한다.


분별침전은 두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에 침전시약을 가하여, 용해도의 차를 이용해서 두 종류 이상의 침전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4-1. 착화합물 배위의 성질

(○) 루이스 염기


(×) 빈 전자각


(○) 비공유 전자쌍


(×) 주로 1족, 2족 원소

배위자- 전자쌍 주개, 비공유 전자쌍, 루이스 염기


중심금속- 전자쌍 받개, 빈 전자각, 루이스 산

4-2. [Ag(NH3)2]+가 0.05M인 용액에 과잉의 NH3를 넣어 그 농도가 5M이 된 용액 중의 [Ag+]은? 단, [Ag(NH3)2]+의 생성상수 Kf는 1.5×10^7이다.

답 : 1.3×10^-10


Kf = [Ag(NH3)2+] / [Ag+][NH3


[Ag(NH3)2+] = Kf [Ag+][NH3


Kf 값이 매우 커서 처음 대부분이 [Ag(NH3)2+]=0.05M이다.


• 여기에 과잉의 NH3를 넣어도 아주 소량의 착이온이 증가할 뿐이지 여전히 [Ag(NH3)2+]≒0.05M이다.


• [Ag+] = [Ag(NH3)2+] / (Kf [NH3]²)


≒0.05 / (1.5×10^7 × 5²)


= 1.3×10^-10M

4-3. 10^-4M AgCl을 용해시키기 위한 NH3의 최소 농도는? 단, AgCl Ksp=10^-10, Ag(NH3)2+ Kf=10^8

답 : 1.0×10^-3M


현재 [AgCl]=10^-4M은 거의 용해되지 못하고 대부분 침전물 상태이다. 여기에 NH3적당량 투입해서 [Ag+]=10^-4M와 결합시켜서 착이온으로 용해시키는 것이 목표다.


• 착이온 형성해서 목표한 용해상태에는 [Ag(NH3)2+]=10^-4M, [Cl-]=10^-4M, [Ag+]=? 가 있다.


• Ksp = [Ag+][Cl-]


[Ag+] = Ksp / [Cl-]


= 10^-10 / 10^-4


= 10^-6M


• Kf = [Ag(NH3)2+] / [Ag+][NH3


[NH3]² = [Ag(NH3)2+] / (Kf [Ag+])


= 10^-4 / (10^8 × 10^-6)


= 10^-6M

4-4. 10^-3M Zn++ 용액 1L에 고체 KCN 1mol을 가하였을 때 용액 중에 존재하는 [Zn++]를 구하여라. 단, Zn(CN)4-- Kf=1×10^18

답 : 1.0×10^-21M


• Kf가 매우 커서 대부분이 착이온이다.


[Zn(CN)4--]≒10^-3M, [CN-]=1M


• Kf = [Zn(CN)4--] / [Zn++][CN-]⁴


[Zn++] = [Zn(CN)4--] / (Kf [CN-]⁴)


= 10^-3 / (1×10^18 × 1)


= 1.0×10^-21M

4-5. AgCl과 Hg2Cl2의 혼합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은?

(○) NH4OH


(×) 온수


(×) NaOH


(×) HNO3


(×) H2SO4

AgCl은 Ag(NH3)2+ 착이온을 형성하여 용해됨

4-6. 4-7. 킬레이트의 안정성

(○) 킬레이트는 5원환이 가장 안정한데 이는 입체장애가 가장 적은 구조이기 때문이다.


(×) 배위자의 산성이 강할수록 킬레이트는 안정하다.


(×) 킬레이트 시약에 있는 다른 작용기는 킬레이트 화합물의 용해성과 관련 없다.


(×) 한 금속이온에 단좌 배위자 여러 개가 결합하는 것이 다좌 배위자 소수가 결합되는 것보다 안정하다.


(×) 킬레이트 환 내에 공명이 가능한 공액이중결합이 있으면 쉽게 분해된다.

배위자의 염기성이 강할수록 킬레이트는 안정하다.


킬레이트 시약에 있는 다른 작용기는 킬레이트 화합물의 용해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배위자의 배위기가 많아 중심 금속과 여러 자리에서 결합할수록 킬레이트는 안정하다.


킬레이트 환 내에 공명이 가능한 공액이중결합이 있으면 더 안정하.

5-1. 갈바니 전지

(○) 두 개의 반쪽 전지를 연결한다.


(○) 염다리가 필요하다.


(○) 산화전극은 음극이 된다.


(○) 전기화학적 전지이다.


(×) 전극 전위의 절대값을 측정할 수 있다.


(×) '||'는 염다리이고 전위차가 나타난다.

전극 전위의 절대값을 측정할 수 없고, 다른 전극과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는 염다리이고 전위차는 없다.

5-2. 표준수소전극을 표현한 식

(○) Pt | H2(g, 1atm) | H+(aq, A=1)


(×) Ag | H+(aq, A=1) || H2(g, 1atm)


(×) Pt | H+(aq, A=1) | H2(g, 1atm)


(×) Pt | H2(g, 1atm) || H+(aq, A=1)


(×) Ag | H2(g, 1atm) || H+(aq, A=1)

5-3. 산화환원반응


(○)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은 동시에 진행된다.


(○) 전극전위의 절대값은 측정할 수 없다.


(×) 어떤 화학종이 전자를 얻으면 산화된다.


(×) 금속의 환원전위는 금속이온의 농도와 무관하다.

화학종이 전자를 얻으면 환원된다.


• 전극전위의 절대값은 측정할 수 없고 단지 다른 전극과의 차이를 측정한다.


• 각 금속의 표준환원전위는 일정하지만 환원전위는 용액 중 금속이온의 활동도에 따라 달라진다.

5-4. 다음 반응의 표준전위(E°)는 얼마인가?


반응식: 2Ag+ + Zn(s) ↔ 2Ag(s) + Zn++


단, Ag+ + e- ↔ Ag(s)의 E°=+0.80V,


Zn++ + 2e- ↔ Zn(s)의 E°=-0.76V

답 : +1.56V

5-5. 다음 식으로 나타나는 전지의 알짜반응의 식과 기전력 E°cell을 옳게 기술하시오.


전지식: Zn | ZnSO4 || CuSO4 | Cu


단, Zn++ + 2e- ↔ Zn의 E°=-0.763V,


Cu++ + 2e- ↔ Cu의 E°=+0.337V

답 : Zn + CuSO4 ↔ Cu + ZnSO4, E°=+1.100V

6-1. 실험오차

(○) 실험오차는 계통오차와 우연오차로 분류할 수 있다.


(○) 계통오차(systematic error)는 determinate error라고도 부르며, 오차가 일어나는 원인을 추궁할 수 있다.


(○) 우연오차(random error)는 indeterminate error라고도 부르며, 오차가 일어나는 원인 추궁할 수 없다.


(×) 공시험은 우연오차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계통오차를 제거하는 시험법: 공시험(blank test), 조절시험(control test), 회수시험(recovery test), 맹시험(blind test), 평행시험(parallel test)

6-2. a) 1.9030, b) 0.03910, c) 1.40×10⁴

(○) a)에는 5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 b)에는 6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 b)에는 5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 c)에는 2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b)에는 4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c)에는 3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6-3. 6-4. 유효숫자 계산

(○) 3.72 × 2.3 = 8.5


(○) 107.3 - 23.7 = 83.6


(○) (27.13 ÷ 13.60) × 3.21 = 6.40


(×) 1.023 + 3.71 = 4.733


(×) 13.1 - 2.78 = 10.32


(×) 5.74 ÷ 3.2 = 1.79


(×) (26.31 ÷ 2.72) + 3.1 = 12.77

1.023 + 3.71 = 4.73


13.1 - 2.78 = 10.3


5.74 ÷ 3.2 = 1.8


(26.31 ÷ 2.72) + 3.1 = 12.8

6-5. 표준편차

(○)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가 작을수록 정밀도가 높다.


() 측정값들이 가우스 분포로 bell-shape 분포를 나타낼 때 평균값은 측정값들의 집중경향성을 나타내는 대표값이고 표준편차란 측정값들의 분포의 폭의 크기를 나타낸다.


() 표준편차와 정확도는 상관이 없다.


(×) 표준편차가 클수록 정확도가 낮다.

표준편차가 클수록 정밀도가 낮다.

6-7. 유효숫자의 자리수가 4인 것

(○) 1.001 × 10³


(×) 16,000


(×) 1.6 × 10⁴


(×) 5 × 10^-2


(×) 160,000

6-8 유효자리수가 3인 것

(○) 1000 - 2.5


(×) 1000 + 2.5


(×) 1000 × 2.5


(×) 1000 ÷ 2.5


(×) 1000 + 3.5

6-9. 곱셈 또는 나눗셈을 하여 얻을 값의 유효자리

(○) 곱셈 또는 나눗셈에 참여한 값들의 유효자리수에 지배된다.


(×) 끝자리수의 단위가 가장 작은 것에 지배된다.


(×) 끝자리수의 단위가 가장 것에 지배된다.


(×) 유효자리수의 단위가 가장 작은 것에 지배된다.


(×) 유효자리수의 단위가 가장 큰 것에 지배된다.

6-10. 유효숫자의 기재

(○) 자리수보다 한자리 더 많이 기재하되 그 이하는 사사오입하여 기재한다.


(×) 자리수만 기입하되 그 이하는 사사오입하여 기재한다.


(×) 자리수만을 기재한다.


(×) 자리수보다 한자리 더 많이 그대로 기재한다.


(×) 자리수보다 두자리 더 많이 그대로 기재한다.

6-11. 일어나는 원인을 추궁할 수 없는 오차

(○) 우연오차이며 정규분포한다.


(×) 정오차이며 정규분포한다.


(×) 부오차이며 정규분포한다.


(×) 상대오차이며 부정규분포한다.


(×) 절대오차이며 부정규분포한다.

7-1. 0.055M-H2SO4 100mL를 중화시킬 수 있늘 0.1M-NaOH는 몇 mL?

답 : 110mL


• H2SO4≡2NaOH


몰농도(M1)×부피(V1) = 몰농도(M2)×부피(V2)


2×0.055M×100mL = 0.1M×V2mL


V2 = 110mL

7-2. 10w/v% NaOH(m.w.=40)의 몰농도

답 : 2.5M


몰농도(M) = 몰수(n) / 1L


= 질량(m) ÷ 분자량(m.w.) / 1L


= 용매부피(V) × 백분율 ÷ 분자량(m.w.) / 1L


= 1L × (10kg/100L) ÷ 40g/mol / 1L × 1000g/1kg


= 2.5mol/L

7-3. Na2CO3(m.w.=106) 1.06g을 취하여 H2SO4 용액을 표정하니 10mL를 소비했다. H2SO4 용액의 몰농도는?(지시약 M.O.)

답 : 1.000M


Na2CO3H2SO4


농도(M) = 몰수(n) / 부피(V)


= 질량(m) ÷ 분자량(m.w.) / 부피(V)


= 1.06g ÷ 106g/mol / 10mL × 1000mL/1L


= 1mol/L

7-4. 90% H2SO4(S.G.=1.82) 몇 mL를 취하여 H2O에 가해서 500mL로 하면 0.25M-H2SO4 용액이 된다. 단, H2SO4 m.w.=98.00

답 : 12.25×100 / 1.82×90


• 몰농도(M2)=0.25mol/L 부피(V2)=500mL=0.5L


필요수(n) = 몰농도(M2)×부피(V2)


= 0.25mol/L× 0.5L = 0.125mol


몰농도(M1)×부피(V1) = 필요몰수(n) = 몰농도(M2)×부피(V2)


부피(V1) = 필요몰수(n) / 몰농도(M1)


= 필요몰수(n) / (몰수(n) / 원액1000mL)


= 필요몰수(n) / (질량(m)÷분자량(m.w.) / 원액1000mL)


= 필요몰수(n필) / (원액1000mL×비중(S.G.)×백분율(P)/100÷분자량(m.w.) / 원액1000mL)


= 필요몰수(n)×분자량(m.w.)×100 / (백분율(P)×비중(S.G.))


= 0.125mol×98.00g/mol×100 / (90%×1.82g/mL)


= 12.25×100 / (1.82×90)mL

7-5. H2SO4 용액 15mL를 취하여 M-NaOH으로 표정하니 31.38mL를 소비했다. H2SO4의 농도는 ( )M이다.

답 : 1.046M


• H2SO4≡2NaOH


몰농도(M1)×부피(V1) = 몰농도(M2)×부피(V2)


M1 = M2 × V2 / V1


= 1M × 31.38mL / 15mL


= 2.092M


• [H+]=2.092M이고 H2SO4는 2가이기 때문에 [H2SO4]=1.046M이다.

7-6. NaOH(m.w.=40.00) 4.40g을 물에 녹여 250mL로 만든 용액의 몰농도

답 : 0.44M


몰농도(M) = 몰수(n) / 부피(L)


= 질량(m)÷분자량(m.w) / 부피(L)


= 4.40g÷40.00g/mol / 0.25L


= 0.44mol/L

7-7. 0.1050M-HCl 30mL를 중화시키는데 NaOH 표준액 25mL를 소비하였다. 이 NaOH액의 몰농도는?

답 : 0.1050×30/25M


• HCl≡NaOH


• M1=0.1050M, V1=30mL, V2=25mL


몰농도(M1)×부피(V1) = 몰농도(M2)×부피(V2)


M2 = M1 × V1 / V2


= 0.1050M × 30mL / 25mL

7-8. 0.102M-NaOH 100mL에 물 400mL를 가했을 때 몰농도

답 : 0.0204M


M1=0.102M, V1=100mL, V2=400mL


몰농도(M1)×부피(V1) = 몰농도(M2)×부피(V2)


M2 = M1 × V1 / V2


= 0.102M × 100mL / 500mL


= 0.0204M

7-9.


1) 0.1M-NaOH 100mL 중에 함유되는 NaOH 밀리몰수


2) H2SO4(m.w.=98.00) 0.49g의 밀리몰수

1) 답 : 10mmol


몰수(n) = 몰농도(M) × 부피(V)


= 0.1mmol/mL × 100mL


= 10mmol


2) 답 : 5mmol


몰수(n) = 질량(m) ÷ 분자량(m.w)


= 0.49g ÷ 98.00g/mol × 1000mmol/1mol


= 5mmol

8-1. HAc를 0.1M-NaOH로 적정할 때 적당한 지시약

(○) PP


(○) TP


(×) BCG


(×) MR


(×) MO


(×) PR

8-2. 약산을 강염기 표준액으로 적정

8-3. 산 표준액을 표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가장 적당한 표준물질은?

(○) Na2CO3


(○) KHCO3


(×) K2Cr2O7


(×) As2O3


(×) Na2SO4


(×) KHP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8-4. 알칼리 표준액을 표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가장 적당한 표준물질은?

() KHP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 NaSO3NH2


(○) H2C2O4


(○) HCl


(×) NH2HSO4


(×) Na2C2O4


(×) KHCO3


(×) Na2S2O3

8-5. KHCO3를 사용하여 0.1M-HCl을 표정하려고 한다. 다음 지시약 중 가장 적당한 것은?

(○) MR


(○) MO


(×) BTB


(×) BCG


(×) PP


(×) TP

8-6. H3PO4 + H2SO4 혼합액에 MO를 넣고 0.1M-NaOH 액으로 적정하여 a mL를 소비하였다. 다시 동량의 시료에 PP를 넣고 0.1M-NaOH 액으로 적정하여 b mL를 소비하였다.

(○) H3PO4 ⅓량 중화하는데 (b-a) mL 소


(×) H3PO4 량 중화하는데 (b-a) mL 소


(×) H3PO4 전량 중화하는데 b-(b-a) mL 소비


(×) H3PO4 ⅔량 중화하는데 3(b-a) mL 소비


(×) H3PO4 ½량 중화하는데 b-(b-a) mL 소비

8-7. Warder 법으로 NaOH + Na2CO3 혼합액을 적정하였을 때 각 지시약에 대한 M-HCl 소비량은 <다음>과 같다. 검액 중 NaOH와 반응한 M-HCl 양은?


<다음> PP 25mL, MO 5mL

답 : 20mL

8-8. aspirin (m.w.=180) 시료 S g을 취하여 0.1M-NaOH 50mL를 넣고 가온 후 0.05M-H2SO4으로 역적정하여 a mL를 소비하였다. 따로 공시험한 결과 0.05M-H2SO4 b mL가 소비되었다. S g 중의 aspirin의 g 수는?

답 : 0.09 × (b-a)


aspirin 180g2M-NaOH 1L≡1M-H2SO4 1L


aspirin 90g≡1M-NaOH 1L≡0.5M-H2SO4 1L


aspirin 0.009g≡0.1M-NaOH 1mL≡0.05M-H2SO4 1mL ??

8-9. NaOH 표준액을 조제할 때 일단 끓여서 식힌 물을 사용하는 이유

(○) 적정할 때 탄산오차를 적게 하기 위하여


(×) 조제할 때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용존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 적정할 때 중화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 소독하기 위하

8-10. 0.5M-HCl을 KHCO3를 기본물질로 하여 표정할 때 적당한 지시약

(○) MR


(○) MO


(×) PR


(×) PP


(×) TP


(×) BCG

9-1. 프탈산수소칼륨(표준물질, m.w.=204.23) 500.0mg을 빙초산 80mL에 녹여 0.1M-HClO4(m.w.=100.47)로 적정했을 때 24.13mL를 소비하였다. 공시험에 0.05mL 소비하였다면 이 0.1M-HClO4의 몰 농도계수(factor)는 얼마인가?

답 : 1.017


표준물질(a)=500.0mg=0.5g, 실제값(V)=(24.13-0.05)mL


KHP 204.23g≡M-HClO4 1000mL


KHP 20.423g≡0.1M-HClO4 1000mL


KHP a g≡ 0.1M-HClO4 V0 mL


V0 = 1000 × a ÷ 20.423 mL


f = V0 / V = 1000 × a ÷ 20.423 / V


= 1000 × 0.5 ÷ 20.423 / 24.08


= 1.017

9-2. Karl Fischer 수분측정법

(○) Karl Fischer 법은 비수용매 중에서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수분적정법이다.


(○) 시액은 수분과 정량적으로 반응한다.


(○) 시액의 factor는 시액 1mL에 대응하는 물의 mg 수로 표시한다.


(○) Karl Fischer 법으로 결정수의 정량도 가능하다.

9-3. Karl Fischer 시액을 표정하기 위하여 주석산나트륨을 102.2mg 달았다면 몇 mg의 물을 취한 셈인가? 단, 주석산나트륨 C4H4O6Na2•2H2O, C:12.011, H:1.008, O:15.999, Na:22.990

답 : 16.0mg


C4H4O6Na2•2H2O 분자량


= 12.011×4 + 1.008×8 + 15.999×8 + 22.990×2


= 230.08


2H2O 분자량


= 1.008×4 + 15.999×2= 36.03


• 주석산나트륨 : 물


= 230.08 : 36.03 = 102.2 mg : x mg


x = 16.0mg

9-4. 비수용매

(○) 프로톤 용매는 프로톤과의 결합력에 따라 산성, 염기성, 양성용매의 3 가지로 구분한다.


(○) 비프로톤 용매는 수평화 효과를 갖지 않는다.


(○) 혼합 용매는 프로톤 용매와 비프로톤 용매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 두 가지를 섞은 것이다.


(○) 카르복실산은 산성용매의 대표이다.


(×) 비프로톤 용매는 용매 분자내에 수소원자가 없다.

9-5. 다음에 기술된 내용은 카페인 (C8H10N4O2, m.w.=194.19)의 비수적정법에 관한 것이다. [ ]에 들어가야 할 수치는?


"이 약을 80℃에서 4 시간 건조하고 그 약 0.4g을 정밀히 달아, 무수초산빙초산 혼액(6:1) 70mL를 가하여 녹이고, 0.1M 과염소산으로 적정한다 (지시약: 염화메틸로자닐린 시액 3 방울). 단, 적정의 종말점은 액의 자색이 녹색을 거쳐 황색으로 변할 때로 한다. 같은 방법으로 공시험을 하여 보정한다.


0.1M 과염소산 1mL = [ ]mg"

답 : 19.419

9-6. 0.1M-HClO4 표준액 1000mL를 조제하려면 과염소산(m.w.=100.47, S.G.=1.664, 71%)을 ( )mL를 취하여 빙초산 800mL가 들어있는 volumetric flask에 넣는다. 계속하여 무수초산 30mL를 가한 후 빙초산을 더 가하여 1000mL로 한다. ( )의 답은?

답 : 약 8.7mL


부피(V) = 몰수(n)×분자량(m.w.)×100 / (백분율(P)×비중(S))


= 0.1mol×100.47g/mol×100 / (71%×1.664g/mL)


= 8.5mL

9-7. 0.1M-HClO4 표준액을 표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표준물질

(○) 프탈산수소칼륨 (KHP)


(×) As2O3


(×) phenol


(×) benzoic acid


(×) NaCl

9-8. 0.1M-HClO4 표준액을 표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지시약

(○) crystal violet (CV)


(×) phenolphthalein


(×) thymol blue


(×) eosine


(×) fluorescein

9-9. caffeine을 0.1M-HClO4 표준액으로 적정할 때 가장 적합한 용매

(○) 무수초산-빙초산-혼합액


(×) 증류


(×) benzene


(×) ethanol


(×) DMF

9-10. 구연산 피페라진(piperazine citrates, m.w.=642.66) 1mole은 HClO4 몇 mole에 해당하는가?

답 : 6 mole

(piperazine)3(citrate)2 형태로 존재하는데, piperazine에 N이 2개. 총6개의 N이 H+와 반응할 수 있으므로 6mole.

10-1. 0.1mol/L-AgNO3 액을 표정할 수 있는 일차 표준물질

(○) NaCl


(×) KHCO3


(×) NH4SCN


(×) Fe


(×) Sn

10-2. 차광 보존을 요하는 것

(○) 0.1mol/L-AgNO3


(×) 0.1mol/L-K2Cr2O7


(×) 0.1mol/L-Ba(OH)2


(×) 0.1mol/L-H2SO4


(×) 0.1mol/L-NaCl

10-3. Cl-을 0.1M AgNO3로 적정할 때 흡착지시약

(○) fluorescein


(×) diphenylamine


(×) phenolphthalein


(×) eosin


(×) K3Fe(CN)6

10-4. NaCl을 Volhard 간접법으로 정량할 때 발생하는 부반응의 방지를 위해 AgCl 침전에 엷은 막을 입혀 NH4SCN과 작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가하는 물질

(○) nitrobenzene


(×) diazomethane


(×) acetone


(×) KHCO3


(×) H2S

10-5. 시료 - 정량법

(○) 요오드팅크 중 I2 - Na2S2O3 법 (iodimetry)


(○) KBr - Fajans 법


(○) KI + KCl 중 KI - Kolthoff 요오드 전분법


(○) KCl - Mohr


(×) 표백분 중 유효염소 - Volhard

표백분 중 유효염소 - Iodometry(간접요오드 적정법) Na2S2O3

10-6. KCN을 0.1mol/L-AgNO3로 Ag[Ag(CN)2]의 백색 침전이 생기기 시작하는 점까지 적정하였다.


0.1mol/L-AgNO3 1mL( )mg KCN (m.w.=65.11)

답 : 13.022mg


AgNO3 + 2KCN Ag[Ag(CN)2]↓


1mol/L-AgNO3 1mL130.22mg KCN

11-1. EDTA로 적정하기 전에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에 완충액을 가하는 이유

(○) 금속이온이 수산화물로 침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 금속지시약이 일장한 pH 범위에서만 변색하므로


(○) 조건상수값이 pH에 따라 변하므로


(×)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11-2. 킬레이트 적정에 미치는 인자

(○) 적정액의 pH


(○) 금속이온의 가수분해


(○) 경쟁 리간드의 농도


(○) 킬레이트의 안정도 상

11-3. pH 12에서 0.1M-MgCl2 100mL를 0.1M-EDTA로 적정시 당량점에서의 [Mg²+]를 구하여라.(생성상수=5.0×10^8)

답 : 10^-5M


• 처음 농도(C)에 적정액만큼 부피가 추가되서 농도/2가 된다. [MY]=C/2


당량점 KMY = [MY] / [M][Y]


= [MY] / [M]²


[M]² = C/(2KMY)


[M] = √(C/(2KMY))


= √(0.1/(2×5.0×10^8))


= 10^-5M

11-4. 건조 수산화알루미늄겔 시료에 염산을 넣어 가열하고, 그 일부에 0.01M-EDTA를 과량 가한 후 pH 4.8에서 0.05M 초산아연액으로 역적정하였다. 0.01M-EDTA 1mL에 해당하는 시료 중의 Al2O3(m.w.=102)의 mg 수는?

답 : 0.51mg


Al2O3 + 2EDTA → 2[Al(EDTA)]+


2M-EDTA 1mL≡102mg Al2O3


1M-EDTA 1mL≡51mg Al2O3

11-5. 금속이온의 선택적정에 이용되는 방법

(○) pH의 조절에 의한 방법


(○) Masking에 의한 방법


(○) 침전 및 추출에 의한 방법


(×) 농축에 의한 방법

11-6. 0.05mol/L-EDTA 액을 만들어 다음과 같이 표정하였다. 0.05mol/L-EDTA 액의 몰농도계수로서 가장 가까운 값은?


아연(표준시약, Zn=65.39) 0.8320g을 달아 묽은 염산 12mL 및 브롬수 5 방울을 넣어 천천히 가온해서 녹인 다음, 끓여서 과량의 브롬을 제거한 다음 물을 넣어 정확히 200mL로 한다. 이 액 20mL를 정확히 취하여 수산화나트륨용액(1→50)을 넣어 중화한 다음 pH 10.7의 암모니아•염화암모늄 완충액 5mL 및 EBT•NaCl 지시약 40mg을 넣고 조제한 0.05 mol/L-EDTA액으로 적정하였더니 25.20mL가 소비되었다.

답 : 1.010


• 질량=0.8320g, 분자량=65.39g/mol, 부피=200mL=0.2L, 사용 부피=20mL


아연 몰농도(M') = 몰수(n) / 부피(V)


= 질량(m)÷분자량(m.w.) / 부피(V)


= 0.8320g÷65.39g/mol / 0.2L


1M-Zn 1mL1M-EDTA 1mL


• f = M'V' / MV


= 0.8320g÷65.39g/mol/0.2L×20mL / (0.05M×25.20mL)


= 1.010

12-1. 과망간산적정법

(○) 일정량의 시료 용액에 H2SO4을 충분히 가하여 산성으로 한 후 적정한다.


(○) 당량점을 지나 과잉의 MnO4-에 의한 연한 홍색이 나타날 때가 종말점이다.


(○) 온도가 80도를 넘으면 MnO4-이 분해된다.


(○) KMnO4 표준용액은 갈색유리병에 넣어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12-2. KMnO4 표준액을 표정할 때 쓰이는 일차표준물질

(○) Na2C2O4


(×) K2Cr2O7


(×) Na2S2O3•5H2O


(×) NaHCO3


(×) Fe2(SO4)3

12-3. 0.1M-KMnO4 1000mL는 H2O2(m.w.=34.01) 몇 g을 산화시킬 수 있는가?

답 : 8.503g


2KMnO4≡5H2O2


KMnO4≡5/2H2O2


1M-KMnO4 1000mL≡34.01g 5/2H2O2

12-4. 아스코르빈산 시료 0.2020을 칭취하여 메타인산 시액(1→50) 50mL에 녹이고 0.05M-I2 표준액으로 적정하여 22.00mL를 소비하였다. 아스코르빈산 정에 들어있는 L-ascorbic acid (C6H8O6, m.w.=176.16)의 함량%(w/w)를 구하시오.

답 : 95.9%


I2≡C6H8O6


1M-I2 1mL≡176.16mg C6H8O6


0.05M-I2 1mL≡8.806mg C6H8O6


함량% = 측정÷ 채취량 × 100


= 0.008806g-C6H8O6 / 1mL-I2 × 22.00mL-I2 ÷ 0.2020g-C6H8O6 × 100


= 95.9%

12-5. 포비돈 요오드액 5.00mL를 정확하게 취하여 유리 마개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넣어 30mL로 한 다음 전분시액 3mL를 가하고 0.02M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하여 20.00mL를 소비하였다. 포비돈 요오드액 중 요오드(I, m.w.=127)의 함량%(w/v)를 구하시오.

답 : 1.02%


Na2S2O3≡I


1M-Na2S2O3 1mL≡127mg-I


0.02M-Na2S2O3 1mL≡0.00254mg-I


함량% = 측정량 ÷ 채취량 × 100


= 0.00254mg-I / 1mL-Na2S2O3 × 20mL-Na2S2O3 ÷ 5.00mL-I × 100


= 1.02%(mg/mL)

12-6. 요오드 적정에 사용되는 I2 표준액

(○) I2는 물에 녹기 어려우므로 KI을 가하여 용해도를 증가시킨다.


(○) 산성에서는 I-이 공기 또는 용액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I2를 생성한다.


(○) 알칼리성에서는 I2는 불균형반응이 진행되어 IO- 또는 IO3-을 생성한다.


(○) I2 표준액으로 적정할 때는 pH 5~9 범위가 적당하다.

12-7. CaOCl2 중 유효염소의 정량은 A와 B를 가하여 유리되는 C를 D 표준액으로 적정하면 된다. A-B-C-D에 적합한 답은?

(○) HCl - KI - I2 - Na2S2O3


(×) NaOH - KI - I2 - Na2S2O3


(×) NaHCO3 - H2O2 - NaI - AgNO3


(×) HCl - IBr - HBr - AgNO3


(×) NH4Cl - NaOH - NH3 - H2SO4

12-8. H2O2 (m.w.=34.01) 1mL에 d-H2SO4 10mL 및 KI 2g을 가하고 반응 후 0.1mol/L-Na2S2O3로 적정할 때 0.1mol/L-Na2S2O3 1mL ≡ ( )g H2O2에 대응한다.

답 : 34.01/20000


2mol/L-Na2S2O3 1mL≡34.01mg H2O2


1mol/L-Na2S2O3 1mL≡34.01/2000g H2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