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ffle
    Toggle On
    Toggle Off
  • Alphabetize
    Toggle On
    Toggle Off
  • Front First
    Toggle On
    Toggle Off
  • Both Sides
    Toggle On
    Toggle Off
  • Read
    Toggle On
    Toggle Off
Reading...
Front

Card Range To Study

through

image

Play button

image

Play button

image

Progress

1/23

Click to flip

Use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navigate between flashcards;

Use UP and DOWN arrow keys to flip the card;

H to show hint;

A reads text to speech;

23 Cards in this Set

  • Front
  • Back

Control of cardiac function

-혈압을 낮출 때는 vagus n가 nodal cell에 가서 HR 조절한다.


-교감 신경은 골고루 들어가 있다.

AP in Ventricular Myocyte, His-Purkinje

-Gap junction 을 통해 옆의 세포로부터 양이온이 들어올 수 있다. 이 경우 partially depol 되어 Voltage dep sodium channel 이 열리게 된다. 굉장히 빠른 속도로 sodium influx 가 생기고 이로 인해 depol 이 발생한다. Sodium channel 은 곧바로 inactivation 된다. (바로 닫히지 않으면 plateau 가 생기게 된다.) 현재는 세포 안이 양전압으로 역전이 된 상태이다.



-세포 안에 많이 있던 K 의 일부가 빠져나가서 Transient K outward current 가 생긴다. 이로 인해 살짝 voltage drop 이 생긴다. 그 다음 voltage dep Ca channel 이 열려서 칼슘이 들어온다. Na-Ca exchange sys 도 가동된다. Ca 이 RYR2 를 open 을 시켜주면 Ca induced Ca release 도 일어난다. 이로 인해 myosin 이 수축을 하게 된다. --> Ca 이 복잡한 과정을 통해 유입되므로 긴 plateau 를 형성한다.



-수축을 한 다음에는 이완을 해야 한다. Delayed K outward current 가 처음 가동된다. Transient 보다 더 많이 열어서 더 많이 내보낸다. 일부 Ca 은 SERCA 를 통해서 SR 로 들어온다. 일부는 Na-Ca exchanger 를 통해서 removal 시킨다. K outward 에 의해서 재분극이 발생한다.




-아직 원래대로 돌아오지는 않았다. Na, K 의 위치가 처음과 다르다. Na-K ATPase 가 작동을 해서 Na 를 배출시키고 K 를 가져온다. 각각을 phase 0부터 4 로 나눌 수 있다. AP 시작부터 끝을 APD 라고 부른다.

Atrial Myocyte

-Gap junction 으로 부터 이웃 세포에서 양이온을 받으면 Na 가 들어온다. K transient outward current 가 이전보다 강하게 나타난다. 그 만큼 channel 의 발현이 많은 것. 따라서 phase 1 이 더 크게 떨어지게 된다.



-APD 가 짧으므로 촘촘하게 firing 이 가능하다. 1분에 300개도 넣을 수 있다. 따라서 tachycardia tendency atrial muscle 이 강하고 속도도 더 빠르다. 심부정맥 원인이 심실보다는 심방인 경우가 많다. AP shape 이 달라서 생기는 현상.

SA & AV Nodal Cells

-Partial depol 이 되었을 때 Na 에 의한 depol 이 강하지 않고 VGCC 에 의한 AP 생성 효과가 크다. Ca channel 은 Ca 유입이 빠르지 않으므로 response 가 조금 느리다. 약간의 Na-Ca exchange 가 생겨서 plateau 가 생긴다.


-여기서는 transient 보다 delayed K outward current 가 강해서 repol 을 시킨다. 그 다음 Na-K 를 통해서 안정막 전위를 만들어 낸다.




-이것도 APD 가 짧다. SA node 의 APD 가 가장 짧다 (가장 빨리 움직일 수 있으므로 pacemaker 가 되는 것).

Ventricular myocyte conduction

전자 이동이 아니라 이온의 전달이 conduction이다.

Action Potential & Conduction

-P wave atrium conduction 을 말한다. QRS 의 시작His bundle AP 가 시작하는 시점이다. 둘 사이의 intervalAV node conduction 을 나타낸다.




-Epicardium 까지 depol 이 되면 EKG 는 baseline 으로 온다. 모두 다 depol 상태인 것. 시간이 지나서 다시 T wave 가 시작되는 데 이건 epicardium repol 되면서 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ST segment interval epicardium APD 와 같아 진다.

Endocardium 쪽에 Ischemia 왔을 때

-ST segment Depression

Epicardium 쪽에 Ischemia 왔을 때

-ST segment elevation --> transmural infarction.

부정맥 발생 기전

#1. Slow rhythm: 약물 치료 x


a. SA node dysfunction: sinus bradycardia


b. Impaired AV conduction: AV Block



#2. Fast Rhythm: 약물 치료 o

Fast Rhythm 생기는 이유

a. Enhanced automaticity (Phase4): adrenergic stress, hypokalemia, mechanical stretch, ischemia



b. Triggered automaticity (just after AP):


-EAD (Phase 3) - APD 끝나기 전에 바로 하나 더 생기는 경우. Due to prolonged action potential.


-DAD (phase 4): calcium overload condition. Due to calcium overload conditions.



c. Re-entry: due to a new circuit. Anatomical/functional re-entry.


Tachyarrhythmia

-Sinus tachycardia: 정상적인 것. 달리기를 했을 때.



-Flutter: EKG 의 AP 가 형성이 되기는 하지만 굉장히 좁게 붙어져 있다. 톱의 이빨 모양처럼 생겼다. 빠르긴 하지만 심장이 수축하고 있다.



-좀 더 진행이 되면 fibrillation 이 되는데 flutter 보다 더 빠르고 리듬이 없다. 심장을 겉으로 보면 떨기만 하고 수축을 못한다. 이게 발생하면 defibrillation을 시켜주어야 한다.

Enhanced automaticity 치료

*Nodal Cell


-Adenosine, Ach: RMP를 hyperpolarization 시킨다.


-b blocker: phase4의 기울기를 눕게 만든다.


-Ca channel blocker: APD가 길어진다.


-K channel blocker: APD가 길어진다.



*Ventricle:


-b blocker: phase 4 기울기 눕게


-Na channel blocker: threshold를 올리고 phase0을 눕게 만든다.


-K channel blocker: APD가 길어진다.

EAD 치료

-phase III 혹은 phase II가 지연되서 발생한다. (hypo K 일 때 HERG channel에 K 대신 Na가 붙으면 phase 3가 delay됩니다)


-Na Channel block을 해서 threshold를 올려주던가, Ca channel block을 한다.

DAD 치료

-DAD는 Ca overload 때문에 발생한다 (Na-Ca exchange 에서 Ca 하나 나갈 때 Na 3개가 들어옴).


-따라서 Na block/Ca block을 하면 된다.

Re entry (Anatomical re-entry: Wolff Parkinson White Syndrome)

-Na channel blocker를 써서 threshold를 올리던가 K channel blocker를 써서 re entry 시점을 refractory period 안에 넣는다.

Re entry (functional re-entry)

-Na channel blocker

Enhanced automaticity

특징적으로 hypokalemia (diuretics), hyperkalemia (RF, MI)에서 모두 생긴다.



Hyperkalemia 때: inward current가 강해진다.


Hypokalemia 때: Na/K ATPase가 작동을 잘 하지 못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Na가 channel을 통해서 조금씩 들어와서 partial depol이 일어날 수 있다.

Classification of antiarrythmic agents

Class I: Na+ channel blocker


Ia: moderate recovery rate (1-10 s): Open되어 있을 때 막음.


Ib: short recovery rate (<1 s): Inactivated 되어있을 때 막음.


Ic: long recovery rate (>10 s): Stage에 상관없이 막는다.


cf) Resting상태일 때 막는 것은 없다.


Class II: b-adrenergic blocker


Class III: APD prolongation (K+ channel blocker)


Class IV: Ca2+ channel blocker

State dependent Sodium Channel Block

Na-blockers are more effective when Na+ channels open frequently or when APD is prolonged --> Diseased > Normal



Ib: EAD, DAD 억제 (by delaying Na-ch reactivation)


Ic: APD 연장, excitability and conduction 억제


-QRS widening, PR prolongation.


Ia: moderate

Na channel blocker toxicity

toxicity:


a. Reentry in ischemic area by one way block


b. Ventricular tachycardia in atrial flutter due to reduced atrial beat


c. Neuromuscular paralysis 악화

K channel blocker toxicity

a. APD 연장


b. Refractory period 연장


c. Re-entry, VF (ventricular fibrillation) 차단


d. Have additional effects such as na channel blocking, b arenergic blocking



Toxicity: APD 연장 (phase3) -> EAD 발생 (like long QT syndrome)

Ca channel blocker toxicity

심장 specific: Verapamil, diltiazem


Smooth m specific: Nifedipine.



Reduced automaticity and excitability in nodal tissues.


-in SA: slow beating.


-in AV: re-entry block in WPW syndrome/reduced ventricular beat in atrial flutter.


-in ventricular myocyte: EAD, DAD 억제 --> inhibits ectopic beat.



Toxicity:


a. Hypotension owing to reduction of CO and vascular tone


b. Decreased contractility in HF


c. Bradycardia, AV block


d. Constipation by verapamil

b-adrenergic blocker

b-receptor stimulation:


- Ca channel activation


- K channel activation


-increased automaticity in SA node


- increase ectopic beating tendency



b-receptor antagonist:

-heart rate 감소-automaticity 감소 - ectopic beat 억제

-AV node 억제 – reentry 차단 in WPW syndrome Toxicity:

(1) bronchospasm


(2) contractility 감소 in heart failure


(3) alpha-stimulation in vascular SM - 말초혈관질환 악화

(4) rebound symp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