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ffle
    Toggle On
    Toggle Off
  • Alphabetize
    Toggle On
    Toggle Off
  • Front First
    Toggle On
    Toggle Off
  • Both Sides
    Toggle On
    Toggle Off
  • Read
    Toggle On
    Toggle Off
Reading...
Front

Card Range To Study

through

image

Play button

image

Play button

image

Progress

1/365

Click to flip

Use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navigate between flashcards;

Use UP and DOWN arrow keys to flip the card;

H to show hint;

A reads text to speech;

365 Cards in this Set

  • Front
  • Back
  • 3rd side (hint)

효소의 경쟁적 저해

(○) Km 값이 증가한다.


(○) Vmax 값이 변하지 않는다.


(×) Km 값이 변하지 않는다.


(×) Km 값이 감소한다.


(×) Vmax 값이 감소한다.


(×) 반응속도는 기질농도와 상관성 없다.


(×) 반응속도는 저해제의 농도와 상관성 없다.

효소의 경쟁적 저해


Km 측정치는 증가한다.


효소 반응속도는 기질농도와 관계 있다.


효소 반응속도(V0)는 저해제의 농도에 반비례한다.

acetyl CoA carboxylase, propanyl CoA carboxylase, pyruvate carboxylase의 공통적인 coenzyme

(○) biotin (B7)


(×) Coenzyme A


(×) thiamine pyrophosphate


(×) FAD


(×) niacin


(×) cyanocobalamine

동물 조직에서 oxaloacetic acid pyruvic acid의 카르복시화에 의하여 생성되는 반응에서 allosteric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

(○) acetyl Co A


(×) ATP


(×) biotin


(×) Mg++


(×) CO2

pyruvic decarboxylase가 요구하는 보조효소

(○) thiamine pyrophosphate


(×) Coenzyme A


(×) NADP


(×) FMN


(×) biotin

2H2O2 → 2H2O + O2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4 unit)

(○) catalase


(×) dehydrogenase


(×) decarboxylase


(×) oxygenase


(×) superoxide dismutase (SOD)


(×) urease


(×) cytochrome c

Michaelis-Menten의 가설

(○) 효소 기질 결합체를 가정한다.


(○) 반응속도 및 기질농도의 관계식을 수립한다.


(×) 반응속도는 효소 기질 결합체 농도와 관계없다.


(×) Km은 최대 반응속도와 같다.

효소와 기질의 상호작용

(○) lactate dehydrogenase는 pyruvate와 결합한다.


(○) chymotrypsin에는 28 개의 serine이 있지만, 그 중 DIFP와 결합하는 것은 1 개이다.


(×) 효소의 기질 특이성은 효소 단백질의 입체 구조와 관계없다.


(×) 기질이 결합하는 효소부위를 조절부위라고 한다.

allosteric effect

(○) heterotrophic allosteric modulator의 binding site는 활성부위와는 거리가 멀다.


(○) 대부분 allosteric protein은 polymer이다.


(×) allosteric effector는 monomeric enzyme의 변성을 촉진한다.


(×) allosteric effector는 기질 유사체이다.

endopeptidase

(○) pepsin


(○) trypsin


(○) chymotrypsin


(○) elastase


(×) carboxypeptidase

특이적으로 trypsinogen에 작용하여 hexapeptide로 유리시켜 trypsin을 활성화시키는 효소

(○) enteropeptidase


(×) pepsin


(×) secretin


(×) chymotrypsin


(×) elastase

zymogen 형태

(○) pepsin


(○) chymotrypsin


(○) angiotensinogen


() trypsin


() pepsinogen


(×) renin

biotin과 효소단백의 결합

(○) lysine의 epsilon-amino기에 의한 아미드 결합


(×) 수소 결합


(×) lysine의 alpha-amino기에 의한 아미드 결합


(×) glutamin에 의한 아미드 결합


(×) 이온 결합

효소와 cofactor

(○) catalase - heme


(○) lactate dehydrogenase - NAD+


(○) cabonic anhydrase - Zn++


(○)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 NAD+


(×) amino acid decaboxylase - TPP

amino acid decaboxylase - PLP


• pyruvate decarboxylase - TPP

효소의 비경쟁적 저해

(○) 활성 효소분자의 농도는 감소한다.


(×) Km 값이 증가한다.


(×) Km 값이 감소한다.


(×) Vmax 값이 증가한다.


(×) 활성 효소분자의 농도는 변하지 않는다.

효소반응에서 기질 농도와 반응속도와의 관계가 sigmoid 형태

(○) allosteric enzyme 반


(×) 경쟁적 저해제가 있는 효소반응


(×) isozyme이 공존하는 효소반응


(×) proenzyme이 공존하는 효소반응


(×) 비경쟁적 저해제가 있는 효소반응

allosteric enzyme의 조절 부위 (regulatory site)

(○) regulatory enzyme의 활성 조절과 관련이 있다.


(○) active site와는 별도로 존재한다.


(○) allosteric enzyme은 보통 효소에 비해 그 크기가 크다.


(○) feedback inhibition은 allosteric enzyme의 작용기전 중 하나이다.


(×) 일반적인 Michaelis-Menten 반응을 따른다.

효소에 대한 설명

(○) Km 값은 1/2 Vmax 때의 기질 농도로서 해당 기질과의 친화성을 의미한다.


(○) Vmax = [E]total × kcat


(○) 모든 효소는 기질과 결합해서 그 기능을 나타낸다.


(○) 효소에 의한 화학반응속도 증가는 활성화에너지를 낮춤으로써 이루어진다.


(○) 효소의 농도가 일정할 때 기질이 과량이 있으면 그 기질의 농도가 증가해도 반응 속도는 증가하지 않는다.


(○) 효소는 평형상태를 변화시킬 수 없다.


(×) 효소의 조절 부위에서 기질과 결합한다.


(×) 효소의 촉매 작용은 activation energy barrier를 높인다.


(×) 효소는 해당 반응의 평형상수를 변화시킨다.


(×) 효소의 반응속도는 온도와 pH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경쟁적 저해 설명

(○) 설폰아미드는 미생물 내에 존재하는 dihydropteroate synthase에 대하여 p-aminobenzoic acid의 경쟁적 저해제이다.


(○) 경쟁적 저해는 가역적 저해의 일종이다.


(×) 경쟁적 저해의 경우에는 Vmax는 변화하지만 Km은 변화하지 않는다.


(×) 경쟁적 저해제는 효소 내의 기질 결합 부위와는 상관없다.


(×) 경쟁적 저해의 경우에는 1/V 축의 교점을 변화시킨다.

전자전달계에서 마지막 과정(1/2O2H2O)에 관여하는 cytochrome

(○) cytochrome oxidase


(×) cytochrome a


(×) cytochrome b


(×) cytochrome c1


(×) ATP synthase

호기성 세포에서 세포 내 산화 반응으로 생기는 에너지가 저장되는 화합물

(○) ATP


(×) ADP


(×) AMP


(×) cyclic AMP


(×) NADP

전자 전달계를 촉매하는 효소가 존재하는 세포구조

(○) 미토콘드리아 내측막


(×) 미토콘드리아 외측막


(×) endoplasmic reticulum


(×) ribosome


(×) 핵막

ATP에 저장된 자유에너지를 사용하는 반응

(○) 합성 반응


(○) 발열 또는 기계적인 일


(○) 흡열 반응의 진행(추진력)

구연산 회로(citric acid cycle)의 중간체

(○) succinate


(○) oxaloacetate


(○) fumarate


(○) malate


(×) acetoacetate

bioluminescent organism에서 나오는 광에너지의 유래

(○) ATP


(×) coenzyme A


(×) NAD


(×) thiamine pyrophosphate


(×) CO2

폐에서 reduced hemoglobin이 oxyhemoglobin으로 될 때 방출되는 H+의 수용체

(○) HCO3-


(×) H2CO3


(×) methemoglobin


(×) hemoglobin


(×) thermogenin

TCA cycle에서 citric acid가 α-ketoglutaric acid로 될 때, 작용하는 효소

(○) aconitase와 isocitrate dehydrogenase


(×) isocitrate dehydrogenase와 fumarase


(×) succinate dehydrogenase와 aconitase


(×) fumarase와 malate dehydrogenase


(×) citrate synthase와 aconitase

pyruvic acid는 구연산 회로에 들어가려면 TPP의 작용이 필요한데 TPP가 관여해서 생성되는 화합물

(○) acetyl Co A


(×) oxalosuccinic acid


(×) lactic acid


(×) lipoic acid


(×) citrate

lysosome

(○) 가수분해 효


(○) 내부 산성 조건에서 활발한 분해작용


(×) 세포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


(×) 유전자 합성


(×) Ca++의 저장소


(×) 세포에 필요한 ATP 등의 에너지 생산

nuclei

NAD 생합성

mitochondria

전자 전달계 (ETS)

microsome

복합지질 생합

산화환원단위(산화력)

(○) Cytochrome C > Flavinnucleotide


(×) Cytochrome C < Flavinnucleotide


(×) Cytochrome C = Flavinnucleotide

flavoprotein과 cytochrome b 사이에서 전자이동을 촉매하는 것

(○) ubiquinone


(×) cytochrome c


(×) cytochrome oxidase


(×) cytochrome P450


(×) flavoprotein

ATP

(○) adenine 함유


(○) 2 개의 pyrophosphate 결합 함유


(○) coenzyme


(×) 전자수용체


(×) 인산 추가 결합 가능

NAD

(○) adenine 함유


(○) coenzyme


() 전자수용체


() 인산 추가 결합 가


(×) 2 개의 pyrophosphate 결합 함

NAD coenzyme

(○) lactate dehydrogenase의 coenzyme


(○) yeast alcohol dehydrogenase의 coenzyme


(○) L-glutamate dehydrogenase의 coenzyme


(×)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의 coenzyme


(×) succinate dehydrogenase의 coenzyme

NADP

(○) L-glutamate dehydrogenase의 coenzyme


(○)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의 coenzyme


(×) lactate dehydrogenase의 coenzyme


(×) yeast alcohol dehydrogenase의 coenzyme


(×) succinate dehydrogenase의 coenzyme

alcohol fermentation이 혐기적 조건에서 속도가 증가하는 이유

(○) Pasteur effect 때문


(×) Bohr effect 때문


(×) TCA cycle 때문


(×) genetic function 때문


(×) carbonic anhydrase 때문

인체의 normal blood sugar value

(○) 100㎎/


(×) 50㎎/㎗


(×) 150㎎/㎗


(×) 200㎎/㎗


(×) 500㎎/㎗

혈장 내에서 가장 중요한 buffer

(○) HCO3-, H2CO3


(×) phosphate


(×) protein


(×) hemoglobin


(×) tris buffer

oxyhemoglobin 형성 요인

(○) O2 농도


(○) CO2 농도


(○) pH


(×) Ca++ 농

fibrinolysis 인자

(○) thrombin


(○) prothrombin


(○) thromboplastin


(×) plasmin

arsenite가 해당 경로에 독성을 나타내는 기전

(○) 기질 산화적 인산화의 분리


(×) phosphofructokinase의 activator인 phosphate와 경쟁


(×) enolase 저해


(×) pyruvate dehydrogenase의 환원형 lipoic acid와의 복합체 형성


(×)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의 thiol기와 반

tricarboxylic acid cycle 반응

(○) cis-aconitate를 isocitrate로 수화


(○) isocitrate를 cis-aconitate로 탈수화


(○) α-ketoglutarate를 succinyl Co A로 산화적 탈카르복시화


(○) fumarate를 malate로 수


(×) citrate를 oxalosuccinate로 탈카르복시

cytochrome P450의 주된 기능

(○) phenobarbital을 무독화


(×) steroid 16 탄소 α-수산화


(×) tyrosine을 DOPA로 수산화


(×) phenylalanine을 tyrosine으로 수산화


(×) xenobiotic을 불용성화

전자전달계와 산화적 인산화반응과의 공역을 저해하는 화합물

(○) 짝풀림(uncoupler)


(×) 에너지전이 저해제


(×) 경쟁 저해제


(×) 비경쟁 저해제


(×) 전자전달 저해

전자전달계 저해물질

(○) antimycin A


(○) rotenone


(○) cyanide


(○) amytal


(×) actinomycin D

phosphorylase kinase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

(○) calcium


(×) citrate


(×) fatty acid


(×) N-acetylglucosamine


(×) insulin

active transport

(○) Na+ K+ ATPase


(○) H+ glucose transport


(×) HCO3- Cl- transport

HCO3- Cl- transport는 촉진 확

생체 물질대사

(○) 대사는 크게 이화, 동화로 나뉜다.


(○) 동화란 이화에 의해 분해된 물질을 사용하여 단백질, 지질 등을 생합성하는 것이다.


(×) 대사의 많은 효소반응은 몇 개의 서로 독립된 대사경로를 형성한다.


(×) 생체 생합성에는 에너지가 필요하고 이것은 핵산의 고에너지 인산결합으로부터 얻는다.


(×) 이화와 동화의 대사 경도는 공통이며 가역적이다.

생체 산화

(○) 생체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반응으로 대부분 에너지가 발생하는 반응에 관계한다.


(○) 단백질, 지질, 당 등은 생체 산화를 거쳐 CO2, H2O로 분해된다.


(○) 전자전달계에서 NADH로부터 수소원자를 받는 효소는 NADH dehydrogenase이다.


(×) FADH2와 FMNH2는 전자전달계에 의해 산화되어 3 분자의 ATP를 생성한다.


(×) oxidase는 기질로부터 산소를 뺏어 물을 만든다.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 구성성분이 기능단위마다 4 개의 복합체를 형성한다.


(○) 목적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막전위를 형성하는 것이다.


(○) cytochrome oxidase는 Cyt a, a3를 포함하는 전자전달체로 산소 수용체이다.


(×) matrix와 내막에 있다.


(×) ATP 합성효소는 F0F1-ATPase라고 하며 ATP 과잉이면 ATP를 분해한다.

전자전달계에서 dinitrophenol(DNP)의 작용

(○) 전자흐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uncoupling 작용을 한다.


(×) 수용성 물성을 가지고 있다.


(×) ATP 합성을 억제하지 않는다.


(×) proton gradient를 없애지 못한다.


(×) ionophore이다.

전자에 대한 친화도가 가장 낮은 것

NADP+



FAD



FMN



ubiquinone



O2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기관으로 작은 particle로서 단백질과 RNA로 구성된 것

(○) ribosome


(×) mitochondria


(×) lysosome


(×) cell membrane


(×) fatty acid synthase complex

간의 기능

(○) 혈구 세포 합성, 분해


(○) 내, 외인성 화합물 대사, 해독, 배설


(○) bile salt 합성


(○) 아미노산 합성과 대사


(×) 지방으로부터 탄수화물을 합

산화/환원반응에 관계하는 조효소

(○) NADH, H+


(○) NADPH, H+


(○) FMN


(○) FAD


(×) biotin

해당과정에서 비가역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 hexokinase


(○) phosphofructokinase-1


(○) pyruvate kinase


(×)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해당과정에서 물 분자 하나를 잃으면서 분자간 에너지의 재분배를 통하여 에너지 상태를 높이는 효소

(○) enolase


(×) aldolase


(×) phosphoglycerate mutase


(×)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갈락토오스 혈증이란 효소의 장애로 갈락토오스와 갈락토오스 1-인산이 체내에 축적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으로 갈락토오스 혈증 I형이라 하는데 이 경우 결핍된 효소

(○) transferase


(×) galactokinase


(×) epimerase


(×) mutase

glucose부터 pyruvate까지 해당과정의 모든 중간대사체 중에서 인산화 되어 있는 물질의 수

(○) 9 가지


(×) 7 가지


(×) 8 가지


(×) 10 가지


(×) 11 가

pentose phosphate pathway 중요성

(○) ribose를 공급하여 핵산 합성, 오탄당 대사에 관여한다.


(○) NADPH를 공급한다.


(○) GS-SG로부터 GSH를 환원시키는데 중요하다.


(○) 적혈구에서 왕성하게 수행되 oxidative damage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


(○) 해당과정, citric acid cycle을 통한 glucose의 산화보다 ATP 생성률이 크다.


(×) NAD+를 공급하여 혐기 조건에서 glycolysis가 계속 진행되게 한다.


(×) citric acid cycle과 밀접하게 관련있다.


(×) ribose, 4-carbon, 7-carbon 당을 생성한다.


(×) glucose, gluconate, glucuronate 등에서 에너지를 생성할 때 다양한 효소를 사용한다.

glycolysis가 진행되고 있는 cell-free liver preparation에 32P-방사성 무기 인산을 첨가하면 가장 먼저 방사성 인산이 결합되는 중간대사체

(○) 1,3-bisphosphoglycerate


(×) glucose 6-phosphate


(×) fructose 1,6-bisphosphate


(×) thiamine pyrophosphate


(×) 2-phosphoglycerate

glucose가 lactate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glucose 1 분자당 생성되는 NADH 수

(○) 0


(×) 1


(×) 2


(×) 3


(×) 4

proton gradient를 형성하는 데 관여하지 않는 전자전달계 complex

(○) complex II


(×) complex I


(×) complex III


(×) conplex IV

negative free energy change (-ΔG)

(○) 반응은 자발적으로 진행된다.


(×) 반응은 역으로 진행된다.


(×) 반응은 무질서도 변화(ΔS)에 의해 우선적으로 유도된다.


(×) 반응은 enthalpy 변화(ΔH)에 의해 우선적으로 유도된다.

¹⁴C-방사성 표지 acetyl Co A가 citric acid cycle에 들어간다면 생성되는 방사성 물질

(○) citrate


(○) isocitrate


(○) malate


(○) oxaloacetate

citric acid cycle에 관여하는 효소로만 짝지음

(○) aconitase, succinate dehydrogenase


(×) fumarase, hexokinase


(×) pyruvate dehydrogenase, cycloxygenase


(×) citrate synthetase, aldolase


(×) fumarase, phosphofructokinase

urea cycle

(○) ammonia는 urea 형태로 배출된다.


(○) arginine은 urea 전구체이다.


(○) ornithine은 carbamoyl phosphate와 반응하여 citrulline이 된다.


(○) 생성되는 fumarate는 urea cycle과 citric acid cycle을 연결한다.


(×) 척추동물과 조류에서는 urea 대신에 uric acid가 배출된다.

도파민 생합성에 이용되는 아미노산

(○) tyrosine


(×) glycine


(×) proline


(×) asparagine


(×) lycine

adenosine deaminase deficiency (ADA)

(×) 필수 아미노산 결핍이 원인이다.


(○) 심한 면역 결핍 증세를 일으킨다.


(○) adenosine deaminase 결핍이 원인이다.


(○) purine 대사 이상이 원인이다.


(○) 유전자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마지막 식사를 한지 48 시간이 지났을 때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작동하는 생체 대사

(○) gluconeogenesis


(×) glycogenesis


(×) glycolysis


(×) glycogenolysis


(×) HMP shunt

에너지 저장물질로써 탄수화물보다 지방산이 유리한 점

(×) 중간대사 과정에서 필요할 때 즉각 이용할 수 있다.


(○) 더 환원된 형태이다.


(○) 소수성이 커서 단위 공간에 더 많이 저장할 수 있다.


(○) 단위 무게당 함유된 에너지가 더 많다.

인체에서 prostaglandin의 precursor

(○) arachidonic acid


(×) leukotriene


(×) oleic acid


(×) cholesterol


(×) glucose

페닐케톤뇨증, 백색증 관련 아미노산 대사

(○) tyrosine


(×) tryptophan


(×) histidine


(×) arginine


(×) methionine

통풍 치료제 알로푸리놀이 방해하는 전환반응

(○) xanthine uric acid


(×) GMP → IMP


(×) thymine → adenine


(×) inosine → guanosine


(×) adenine → inosine

전자전달계 inhibitor 설명

(×) oligomycin - 전자전달 저해


(○) venturucidin - 전자전달 저해


(○) dinitrophenol - uncoupling


(○) CO - 전자전달 저해


(○) DCCD(dicyclohexylcarbodiimine) - ATP synthase 저

CN, CO, H2S - Cyt oxidase 저해


Ventruricidin, Oligomycin, DCCD - ATP Synthase(F0) 저해


DNP, CCCP, Valinomycin - Uncoupler

ATP → cAMP + ppi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 adenylyl cyclase


(×) adenylate kinase


(×) creatine kinase


(×) cAMP dependent kinase


(×) NDK

ATP + AMP ↔ 2ADP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 adenylate kinase


(×) adenylyl cyclase


(×) creatine kinase


(×) cAMP dependent kinase


(×) NDK

succinate가 fumarate로 산화될 때 chemiosmotic model에서 생성되는 ATP 분자 수

(○) 1.5 분자


(×) 0 분자


(×) 0.5 분자


(×) 2.5 분자


(×) 3.5 분

pyrimidine dNTP 과잉일 때, ribonucleotide reductase에 대한 되먹임 조절 신호가 되는 nucleotide

(○) dTTP


(×) dCTP


(×) dGTP


(×) dUTP


(×) dATP

nucleotide 합성을 방해하여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것

(○) 5-fluorouracil: thymidylate synthase inhibitor


(×) hypoxanthine: gua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inhibitor


(×) allosteric modulator of ribonucleotide reductase


(×) xanthine dehydrogenase inhibitor


(×) uric acid analogue

chemiosmotic theory

(○) proton gradient는 ATP 합성을 위한 energy reservior 역할을 한다.


() osmosis를 통해서 물질이 막을 투과한다.


() 전자전달계의 마지막은 산소가 물로 환원되는 것이다.


() membrane transporter를 가진다.


(×) 전자전달계는 항상 NADH로부터 시작된다.

뇌가 에너지의 대부분을 glucose에 의존한다면 헌팅턴 환자에서 헌팅턴 단백질과 해당과정 효소와의 상호작용

(○) 헌팅턴 단백질은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에 결합하여 해당과정을 저해하고 ATP 결핍을 일으킨다.


(×) 헌팅턴 단백질은 enolase에 결합하여 해당과정을 저해하고 ATP 결핍을 일으킨다.


(×) 헌팅턴 단백질은 triose phosphate isomerase에 결합하여 해당과정을 저해하고 ATP 결핍을 일으킨다.


(×) 헌팅턴 단백질은 phosphoglycerate mutase에 결합하여 해당과정을 활성화시키고 뇌에서 ATP를 과다 생산한다.


(×) 헌팅턴 단백질은 phosphoglycerate kinase에 결합하여 해당과정을 활성화시키고 뇌에서 ATP를 과다 생산한다.

phosphocreatine

(○) 근육에 있는 고에너지 인산 화합물


(×) ATP와 동일하게 자주 사용되는 화합물


(×) 뇌세포가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 화합물


(×) 간세포가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 화합물

pyruvate에서 직접 생성되는 물질

(○) oxaloacetate


(○) lactate


(○) alanine


(○) valine


(×) citrate

alanine aminotransferase에 관여하는 cofactor

(○) pyridoxal phosphate


(×) biotin


(×) ascorbic acid


(×) NAD


(×) zinc ion

succinate dehydrogenase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

(○) fumarate


(×) malate


(×) citrate


(×) succinate


(×) succinyl Co A

pyruvate dehydrogenase cofactor

(○) thiamine pyrophosphate


(×) coenzyme A


(×) NADP


(×) FMN


(×) ATP

pyruvate dehydrogenase allosteric inhibitor

(○) ATP


(×) ADP


(×) pyruvate


(×) malate


(×) succinate

당의 D-체, L-체 결정하는 표준화합

(○) glyceraldehyde


(×) glycerol


(×) glucose


(×) ribose


(×) fructose


(×) dihydroxyacetone

glucose 중합체

(○) amylose


(○) starch


(○) glycogen


(○) amylopectin


(○) cellulose


(×) inulin

HMP shunt에서 중요한 생성물

(○) NADPH


(×) NADH


(×) ATP


(×) Co A


(×) fructose

high energy phosphate 화합물

(○) phosphoenolpyruvic acid


(○) adenosine triphosphate


(○) adenosine diphosphate


(○) 1,3-diphosphoglyceric acid


(×) glyceraldehyde-3-phosphate


(×) glucose-6-phosphate


(×) glycerphosphate


(×) 2-phosphoglyceric acid


(×) 6-phosphogluconate

해당과정 효소


(○) hexokinase


(○) phosphofructokinase


(○) phosphorylase


(○) phosphohexose isomerase


(○) aldolase


(○) enolase


(○) pyruvate kinase


(×) glucosylase


(×) gluconokinase

pyruvate oxidative decarboxylation 필요 물질

(○) coenzyme A


(×) NADP


(×) cytochrome


(×) acetyl Co A


(×) ATP

glucose-6-phosphate → fructose-1,6-diphosphate 반응 효소

(○) phosphohexose isomerase, phosphofructokinase


(×) phosphohexose isomerase, aldolase


(×) phosphoglucomutase, phosphofructokinase


(×) phosphoglucomutase, phosphorylase


(×) phosphoglucomutase, aldolase

산소에 의한 해당 작용의 억제 효과

(○) Pasteur 효과


(×) Crabtree 효과


(×) Glycolytic 효과


(×) Doppler 효과


(×) Fermentation

UDP-glucose가 효소적으로 산화되어 UDP-glucuronic acid를 생성할 때 필요한 것

(○) NAD


(×) ATP


(×) FMN


(×) NADP


(×) NADPH

phosphoglyceraldehyde dehydrogenase가 함유하는 것

(○) NAD


(×) NADP


(×) FMN


(×) ATP


(×) Cu++

탄수화물 환원성이 기인하는 radical

(○) hemiacetal hydroxyl


(×) hemiacetal carboxyl


(×) free hydroxyl


(×) free carboxyl


(×) cupric ions


(×) Na

'glucose, mannose는 epimer' 의미

() 탄소 원자 한 개의 configuration만 다


(×) 하나는 pyranose, 다른 하나는 furanose


(×) 하나는 aldose, 다른 하나는 ketose


(×) 서로 conformation change 가능함


(×) 서로 대칭

pyruvic acid가 TCA cylcle에 들어가기 전에 변환되는 것

(○) acetyl-CoA


(×) succinyl-CoA


(×) propionyl-CoA


(×) lactate


(×) oxaloacetate


(×) citrate


(×) malate

"Hexose monophosphate shunt" 효소

(○)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 glucose-6-phosphatase


(×) phosphorylase


(×) aldolase


(×) fructose-6-phosphatase

Hexose monophosphate shunt 탈수소효소 조효소 특이성

(○) NADP


(×) NADPH


(×) NAD


(×) FAD


(×) FMN

조직에서 glucose로부터 lactic acid를 생성하는 반응

(○) anaerobic glycolysis


(×) aerobic glycolysis


(×) oxidative phosphorylation


(×) oxidation


(×) hydroxylation

glycogen glucose-1-phosphate 반응 효소

(○) phosphorylase


(×) UDPG-transferase


(×) isomerase


(×) aldolase


(×) branching enzyme

ribose-5-phosphate + xylulose ↔ sedoheptulose-7-phosphate + glyceraldehyde-3-phosphate

(○) transketolation


(×) transaldolation


(×) transamination


(×) transhydroxylation


(×) transphosphorylation

ATP + glucose 반응이 hexokinase 촉매되어 생성되는 물질

(○) glucose-6-phosphate


(×) glucose-1-phosphate


(×) fructose-6-phosphate


(×) fructose-1,6-diphosphate


(×) fructose

glycogen + Pi → glucose-1-phosphate 반응 효소

(○) phosphorylase


(×) hexokinase


(×) aldolase


(×) fructokinase


(×) enolase

혐기성 해당 작용 (anaerobic glycolysis)

(○) 1 분자의 glucose는 2 분자의 lactic acid를 생성하며 2 분자의 ATP가 생성된다.


(○) glucose → glucose-6-phosphate 반응을 hexokinase가 촉매한다.


(○) substrate-level phosphorylation만 수행되며 respiration-linked phosphorylation은 수행되지 않는다.


(○) 생성된 NADH는 에너지 생산에 사용되지 못한다.


(×) 최종 생성물은 lactic acid이며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소변으로 배설된다.


(×) 1 분자의 glucose가 직접 2 분자의 lactic acid로 된다.


(×) aldolase는 hexose phosphate 이성화반응을 촉매한다.


(△) pyruvic acid가 acetyl Co A로 되어 TCA로 도입된다.


(△) enolase는 Mg++ 하에 2-phosphoglycerate에 작용한다.

Krebs cycle 진행을 저지하는 물질

(○) fluoroacetic acid


(○) arsenite


(○) malonate


(○) ATP


(×) zinc

acetyl Co A가 condensing enzyme 촉매로 citric acid 생성할 때 필요 물질

(○) oxaloacetic acid


(×) fumaric acid


(×) succinic acid


(×) fluoroacetic acid


(×) CO2

2-phosphoglyceric acid → phosphoenol pyruvate 반응 효

(○) enolase


(×) aldolase


(×) ketolase


(×) fumarase


(×) aconitase

anaerobic glycolysis 중간

() 3-phosphoglyceric acid


(×) citric acid


(×) fumaric acid


(×) α-ketoglutaric acid


(×) oxaloacetic acid

pyruvic acid가 탈탄산 되면서 active acetate로 되는 반응 활성

(○) TPP


(○) dehydro-lipoic acid


(○) Co A


(○) glucose-6-phosphate


(×) biotin-enzyme

glycogen 합성에 이용되며 glucose-1-phosphate에 작용하는

(○) UTP


(×) ATP


(×) CTP


(×) GDP


(×) NADP


(×) SAM


(×) cAMP


(×) FAD

glucose-6-phosphate를 특이적으로 가수분해하는 phosphatase 존재하는 기관

(○) 간


(○) 신


(○) 췌장


(○) 소


(×) 뇌


(×) 근육


(×) 비장


(×) 부신


(×) 적혈구


(×) 혈장

EM pathway, HMP shunt, glycolysis에 모두 관여하는 것

(○) glucose-6-phosphate


(×) phosphogluconate


(×) ribose


(×) xylose


(×) aldolase

UDP-galactose에서 uridine diphosphate-4-epimerase 작용으로 생성되는 물질

(○) UDPG


(×) UTP


(×) ATP


(×) CTP


(×) IDP

citrate에서 oxaloaxetate가 될 때 C2 unit acceptor

(○) coenzyme A


(×) acotylase


(×) hexokinase


(×) creatine


(×) isocitrate

α-ketoglutaric acid가 TCA cycle을 돌면서 형성되는 것

(○) suucinyl CoA


(×) succinate


(×) coenzyme A


(×) coenzyme Q10


(×) ferric flavoprotein


(×) leucine


(×) vaniline

pyruvic acid가 acetyl coenzyme A로 될 때 필요한 것

(○) lipoic acid


(×) folic acid


(×) galic acid


(×) tocopherol


(×) coenzyme A

HMP shunt 관련 물질

(○) ribose-5-phosphate


(○) xylulose-5-phosphate


(○) glyceraldehyde-3-phosphate


(○) sedoheptulose-7-phosphate


(×) mannose-6-phosphate

핵산생합성에 관여하는 당을 합성하는 과정

(○) direct oxidative pathway (HMP shunt)


(×) EM pathway


(×) TCA cycle


(×) uronic acid pathway


(×) glycosylation

해당과정 중 fructose-1,6-diphosphate를 분해하는 촉매

(○) aldolase


(×) enolase


(×) ribose


(×) fructokinase


(×) phosphofructokinase

1 mole의 glucose가 혐기적 해당과정을 거칠 때 생성되는 ATP mole 수

(○) 2 mole


(×) 1 mole


(×) 6 mole


(×) 8 mole


(×) 10 mole

ATP + glucose → ADP + glucose-6-phosphate 반응을 촉매하는 hexokinase에 필요한 것

(○) Mg++


(×) Mn++


(×) Fe++


(×) insulin


(×) inorganic phosphate

NADP+ → NADPH + H+ 반응 효소

(○)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 phosphopentose isomerase


(×) phosphofructokinase


(×) transketolase


(×) transaldolase

선척적 galactose 대사 장애의 하나인 galactosemia를 발생시키는 효소

(○) UDP-galactose transferase


(×) UDP-galactose-4-epimerase


(×) uridyl pyrophosphate transferase


(×) galactose-1-phosphatase


(×) phosphohexose isomerase

포유동물 조직에서 일어나는 반응

(○) glucose-6-phosphate → glucose


(○) glucose-6-phosphate → glucose-1-phosphate


(○) glucose-6-phosphate → fructose-6-phosphate


(○) glucose-6-phosphate → glyceraldehyde-3-phosphate


(×) glucose-6-phosphate → 6-phosphoglucuronic acid

glycoside 분해

(○) 효모 maltase는 α-glycoside만 분해한다.


(○) invertase가 sucrose를 가수분해할 때 선광도는 (+)에서 (-)로 변한다.


(×) β-amylase는 β-glycoside 결합을 분해한다.


(×) 타액 amylase는 β-1,4-glycoside 결합을 분해한다.


(×) amylase는 glycogen breakdown에 관여하지 않는다.

간 phosphorylase 활성화 물질

(○) epinephrine


(○) glucagon


(×) glycogen


(×) insulin


(×) ACTH

간 glycogen 저장에 관련있는 hormone

(○) epinephrine


(○) 11-oxycorticoid


(×) 17-ketosteroid


(×) estrogen


(×) progesterone

glycogen의 구성당, glycoside 결합방식

(○) glucose, α-1,4 결합, α-1,6 결합


(×) galactose, α-1,4 결합, α-1,6 결합


(×) glucose, galactose, α-1,6


(×) glucose, galactose, α-1,1 결


(×) glucose, fructose, β-1,4 결

효모에서는 혐기성 해당과정으로 ethanol을 생성하는데 동물 조직에서는 ethanol이 생성되지 않는 이유

(○) pyruvate decarboxylase가 없기 때문이다.


(○) 대신에 lactate를 생성한다.


(×) 대신에 glucose를 생성한다.


(×) pyruvate decarboxylase가 있기 때문이다.


(×) lactate decarboxylase가 없기 때문이다.

1 mole 가수분해로 생기는 glucose

(○) lactose < maltose


(×) lactose > maltose


(×) lactose = maltose

1,6-gycoside 결합의 수

(○) glycogen > starch


(×) glycogen < starch


(×) glycogen = starch

glycogen에 있는 결합의 수

(○) α-1,4 결합 > α-1,6 결합


(×) α-1,4 결합 < α-1,6 결합


(×) α-1,4 결합 = α-1,6 결합

분지결합의 존재빈도

(○) starch < glycogen


(×) starch > glycogen


(×) starch = glycogen

α-1,4-glucan maltohydrolase에 의한 가수분해 정도

(○) glycogen > maltose


(×) glycogen < maltose


(×) glycogen = maltose

근육 phosphorylase의 분자당

(○) phosphorylase a > phosphorylase b


(×) phosphorylase a < phosphorylase b


(×) phosphorylase a = phosphorylase b

glycogen 농도에 비례 관계

(○) 혈중 11-oxycorticoid 농도


(○) 혈중 insulin 농도


(×) 혈중 epinephrine 농도


(×) 혈중 thyroxin 농도


(×) 혈중 glucagon 농도

혈중 epinephrine 농도, 혈중 lactate 농도의 상관 관

(○) 비례 관계


(×) 비례 관계


(×) 상관 없

glucose-1-phosphate에서 glucose-6-phosphate로 전환할 때 필요한 것

(○) phosphoglucomutase


(×) glucose-1,6-diphosphate


(×) fructose-1,6-diphosphate


(×) ATP


(×) NAD+

혐기적 반응에서 pyruvate가 축적되지 않는 이유

(○) phosphoglycer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생성된 NADH를 산화시키기 때문이다.


(×) lactate dehydrogenase가 활성이 크기 때문이다.


(×) pyruvate dehydrogenase에 의해서 acetyl-CoA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 NAD+에 대한 NADH의 비율이 낮기 때문이다.


(×) lactate dehydrogenase는 pyruvate에 비해 Km이 크기 때문이다.

혈장 당단백질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탄수화물

(○) dolichol diphosphoryl digosaccharide


(×) cytidine diphosphoryl sialic acid


(×) uridine diphosphoryl mannose


(×) adenosine diphosphoryl N-acetyl glucosamine


(×) guanosine diphosphoryl xylose

혈장 당단백질의 최말단 탄수화물 잔기

() cytidine diphosphoryl sialic acid


(×) dolichol diphosphoryl digosaccharide


(×) uridine diphosphoryl mannose


(×) adenosine diphosphoryl N-acetyl glucosamine


(×) guanosine diphosphoryl xylose

근육에 존재하는 효소

(○) glycogen synthetase


() amylo-(1,4→1,6)-transglycosylase


(○) amylo-(1,6)-glucosidase


(○) phosphorylase kinase


(×) glucose-6-phosphate

debranching enzyme

(○) amylo-(1,4→1,6)-transglycosylase


(×) glycogen synthetase


(×) amylo-(1,6)-glucosidase


(×) phosphorylase kinase


(×) glucose-6-phosphate

간 pyruvate kinase를 저해하는 것

(○) ATP


(×) AMP


(×) ADP


(×) NAD+


(×) glucose-6-phosphate

fructose diphosphate phosphotase를 저해는 것

(○) AMP


(×) ATP


(×) ADP


(×) NAD+


(×) glucose-6-phosphate

pyruvate dehydrogenase를 저해하는 것

(○) ATP


(×) AMP


(×) ADP


(×) NAD+


(×) glucose-6-phosphate

phosphofructokinase를 저해하는 것

(○) ATP


(×) AMP


(×) ADP


(×) NAD+


(×) glucose-6-phosphate

hexokinase를 저해하는 것

() glucose-6-phosphate


(×) ATP


(×) AMP


(×) ADP


(×) NAD+

citric acid cycle 반응

(○) cis-aconitate → isocitrate 가수분해


(○) isocitrate → α-ketoglutarate 산화적 탈탄산


(○) α-ketoglutarate → succinyl CoA 산화적 탈탄산


(○) fumarate → malate 가수분해


(×) citrate → oxalosuccinate 탈탄산

glycogen synthase 조절물질

(○) glucose-6-phosphate


(×) citric acid


(×) long chain fatty acyl-CoA ester


(×) 2,3-diphosphoglyceric acid


(×) GTP

간의 세포질에서 해당과정으로 생성되는 NADH, H+가 mitochondria로 들어가는 방법

(○) aspartate-malate shuttle


(×) carnitine shuttle


(×) TCA cycle


(×) simple diffusion


(×) passive diffusion

환원성 탄수화물

() saccharose


(×) glucose


(×) maltose


(×) fructose


(×) pentose

maltose

(○) disaccharide


(×) polysaccharide


(×) aldohexose


(×) ketohexose


(×) fructane

glucose의 anomer carbone은 몇 번째 탄소?

(○) C1


(×) C2


(×) C3


(×) C4


(×) C6

glucose의 asymetric carbon atom에 의한 광학이성질체 수

(○) 32


(×) 8


(×) 16


(×) 20


(×) 40

DNA, RNA를 구성하는 당

(○) pentose


(×) triose


(×) tetrose


(×) hexose


(×) heptrose

fructose가 알칼리 용액에서 분해되어 생성되는 물질

(○) glucose, mannose


(×) galactose, mannose


(×) galactose, fructose


(×) maltose, fructose


(×) rhamnose, fucose

maltose 가수분해물

(○) glucose, glucose


(×) glucose, galactose


(×) glucose, fructose


(×) glucose, mannose


(×) glucosamine, fructose

non-reducing disaccharide

(○) sucrose


(×) maltose


(×) isomaltose


(×) lactose


(×) cellobiose

non-toxic, biodegradable, β(1→4)-linked-D-glucosamine homopolymer

(○) chitin


(×) chitosan


(×) heparin


(×) hyaluronic acid


(×) chondroitin

혈액응고 예방, 억제하는 muco-polysaccharide

(○) heparin


(×) hyaluronic acid


(×) keratan acid


(×) dermatan sulfate


(×) chondroitin-4-sulfate

혈액 중에 많은 당

(○) D-glucose


(×) L-glucose


(×) D-fructose


(×) L-galactose


(×) D-sorbitol

hyaluronic acid, heparin에 존재하는 것

(○) glucosamine


(×) galacosamine


(×) mannosamine


(×) glucuronic acid


(×) gluconic acid

transamination 생성물

(○) α-keto acid


(×) α-imino acid


(×) α-OH acid


(×) uric acid


(×) urea

alanine → carbohydrate

(○) gluconeogenesis


(×) glycogenolysis


(×) glycolysis


(×) HMP


(×) EMP

5-phosphoribosyl-1-pyrophosphate가 생합성 중간체인 물질

(○) NAD


(○) FAD


(○) purine nucleotide


(○) pyrimidine nucleotide

혈당이 감소할 때 간에서 활발한 반응

(○) glycogen 분해


(○) 당신생


(×) 해당과


(×) TCA cycle


(×) HMP shunt

von Gierke's disease 관련 효소

(○) glucose-6-phosphatase


(×) glycogen phosphorylase


(×) pyruvate decarboxylase


(×) galactokinase


(×) uridyltransferase


(×) branching enzyme


(×) debranching enzyme


(×) coenzyme A

glucose의 C1과 Asn 잔기 간의 공유결합

(○) N-glycosidic linkage


(×) O-glycosidic linkage


(×) amide linkage


(×) ester linkage


(×) hydrogen linkage

hyaluronic acid,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의 공통적인 특성

(○) 산성 작용기 (acidic functional group)


(○) 당단백당 (glycosaminoglycan)


(○) 척추동물 발현 (present in vertebrate)


(○) CoA 형태 (forms coenzyme A)


(×) 에너지 저장 당중합체 (polysaccharide form of storage energy)

fructose anomeric carbon

(○) C2


(×) C1


(×) C3


(×) C4


(×) C6

산소 존재할 때만 운용되는 대사

(○) citric acid cycle


(×) glycolysis

H2S, CO, cyanide의 저해지점

(○) electron transport chain


(×) glycolysis


(×) citric acid cycle


(×) HMP shunt

조직의 당 대사

(○) 인체 내의 어떤 세포는 에너지 공급을 해당과정에만 의존한다.


(○) 뇌는 에너지원으로 주로 glucose를 사용한다.


(×) 간, 신장의 TCA cycle 원료는 주로 glucose이다.


(×) 근육은 운동할 때 지방산의 소비량을 증가시켜 ketone 체를 증가시킨다.


(×) 근육에서 생긴 lactic acid는 alanine-glucose 회로에 의해 간에 운반된 후 glucose로 재생되어 근육에 재공급된다.

galactosemia

(○) 혈중 galactose 농도가 병적으로 높다.


(○) galactose-1-phosphate uridyltransferase의 유전 결손 때문이다.


(○) galactokinase의 유전 결손 때문이다.


(○) galactose → glucose 전환반응과 연관있다.


(×) galactose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결손 때문이다.

Pasteur effect

(○) 당의 소비는 aerobic 상태보다 anaerobic 상태에서 높다.


(×) 당의 소비는 anaerobic 상태보다 aerobic 상태에서 높다.


(×) prokaryote는 eukaryote에 비해 당의 소비가 높다.


(×) eukaryote는 prokaryote에 비해 당의 소비가 높다.


(×) 당의 소비량은 산소 존재 상태와 무관하다.

근육에서 glycogenolysis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의 조절

(○) epinephrine은 근육에서 glycogenolysis를 촉진한다.


(○) cAMP 농도가 증가하면 근육에서 glycogenolysis는 촉진된다.


(○) phosphorylase는 glycogenolysis에 관여한다.


(○) 지방조직과 다르게 근육은 glycogenesis 보다 glycogenolysis가 우세하다.


(×) insulin은 phosphorylase 활성을 저하시킨다.

glucose 1 mole이 glycolysis, TCA cycle 을 경유하여 완전산화될 때 생성되는 총 ATP mole 수

(○) 30-32 mole


(×) 24-26 mole


(×) 26-28 mole


(×) 28-30 mole(×) 32-34 mole

glycolysis에서 fructose-1,6-diphosphate 분해반응

(○) glyceraldehyde 3-phosphate


(○) dihydroxyacetone phosphate


(○) aldolase


(×) ATP

☆ glycolysis에서 phosphoenol pyruvate 생성반응

(○) 2-phosphoglycerate에서 생성되며 가역반응이다.


(○) enolase 촉매반응이다.


(○) substrate-level phosphorylation 반응이다.


(×) 가수분해반응이다.

glyceraldehyde-3-phosphate ↔ dihydroxyacetone-phosphate 전환 효소

(○) triose phosphate isomerase


(×) aldolase


(×) triose kinase


(×)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 dihydroxyacetone phosphatase

maltose 분자 내 glucose 결합방식

(○) α-1,4-glycoside


(×) α-1,6-glycoside


(×) β -1,4-glycoside


(×) β -1,6-glycoside


(×) α-1,6-glycoside, β -1,4-glycoside

cellulose 분자 내 glucose 결합방식

() β-1,4-glycoside


(×) β-1,6-glycoside


(×) α-1,4-glycoside


(×) α-1,6-glycoside


(×) α-1,6-glycoside, β-1,4-glycoside

succinic dehydrogenase coenzyme

(○) FAD


(×) NAD


(×) TPP


(×) ATP


(×) biotin

anomeric carbon

(○) hemiacetal, hemiketal carbon을 말하며 α, β-anomer로 표시한다.


(×) asymmetric carbon을 말한다.


(×) chiral carbon으로서 탄소에 서로 다른 4 개의 작용기가 연결되어 있다.


(×) anomeric carbon이 n 개 있을 때 stereoisomer의 수는 2n 개 이다.


(×) glucose에만 존재한다.

근육에서 anaerobic glycolysis 최종산물

(○) lactic acid


(×) acetyl CoA


(×) pyruvate


(×) CO2


(×) glyceraldehyde

Cori cycle

(○) 근육에서 생성된 lactic acid는 간으로 가서 glucose로 전환된다.


(×) 근육에서 생성된 galactose는 간으로 가서 glucose로 전환된다.


(×) 간에서 생성된 pyruvate는 근육으로 가서 amino acid로 전환된다.


(×) 근육에서 생성된 pyruvate는 간으로 가서 amino acid로 전환된다.


(×) 근육과 간에서 lactic acid가 amino acid로 전환된다.

toxic chemical의 phase II metabolism 관계 물질

(○) UDP-glucuronic acid


(×) oxaloacetic acid


(×) lactic acid


(×) galactosamine


(×) acetyl-CoA

glucose-alanine cycle

(○) 근육에서 생성된 alanine은 간으로 가서 당신생에 참여한다.


(○) 생성된 당은 다시 근육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 alanine으로부터 당신생은 pyruvate를 경유한다.


(○) 근육의 amino nitrogen이 간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이는 urea cycle과 괸련된다.


(×) 전체적으로 근육의 에너지가 간으로 이동하는 형태이다.

extramitochondrial NADH가 inner mitochondria로 이동해서 oxidation되는 기전

(○) NADH는 glycerol 3-phosphate 형태로 미토콘드리아 외막을 통과한다.


(○) glycerol 3-phosphate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NAD를 NADH로 환원시킨다.


(○) malate shuttle에서 NADH는 malate와 oxaloacetate를 매개로 하여 환원력을 전달한다.


(○) malate shuttle에서 NADH 환원력은 감소하지 않는다.


(×) glycerophosphate shuttle에서 환원력은 감소하지 않는다.

육탄당 → 오탄당

(○) hexose monophosphate shunt


(×) glycolysis


(×) guconeogenesis


(×) citric acid cycle


(×) urea cycle

인체에서 glycogen 생합성에서 UDP-glucose를 기질로 사용하는 효소

(○) glycogen synthase


(×) phosphoglucomutase


(×) phosphorylase


(×) protein kinase


(×) protein phosphatase

당신생(gluconeogenesis) 전구체

(○) glycerol


(○) propionyl-CoA


(×) phosphate


(×) acetyl-CoA

D-glucose epimer

(○) D-mannose


(○) D-galactose


(○) D-allose


(×) D-fructose


(×) sucrose


(×) glucitol

당단백질(glycoprotein)에서 탄수화물 사슬이 연결된 아미노산

(○) serine, asparagine


(×) arginine, asparagine


(×) threonine, histidine


(×) histidine


(×) tyrosine

β-D-glucose anomer

(○) α-D-glucose


(×) L-glucose


(×) β-D-galactose


(×) β-D-fructose


(×) L-galactose

glycolysis rate limiting step

(○) phosphofructokinase


(×) glucokinase


(×) hexokinase


(×) pyruvate kinase


(×) phosphoglycerate kinase

해당과정의 조절

(○) phosphofructokinase와 fructose-2,6-bisphosphate에 의해 활성화되어 촉진된다.


(×) 주로 hexokinase 활성이 조절되면서 이루어진다.


(×) 주로 phosphofructokinase에 의해 이루어지며 ATP에 의해 활성화된다.


(×) phosphofructokinaserk citrate에 의해 활성화되어 촉진된다.


(×) glucagon이 유리되면 해당 작용이 촉진된다.

aminotransferase 촉매에 의한 oxaloacetate, glutamate 반응에서 생성물

(○) aspartate, α-ketoglutarate


(×) aspartate, oxaloacetate


(×) aspartate, succinate


(×) alanine, α-ketoglutarate


(×) alanine, oxaloacetate

β-D-glucose, D-galactose는 서로 구조적으로 유사한 6탄당 epimer 관계

(○) 광학이성질체 관계이다.


(×) 거울상이성질체 관계이다.


(×) 3번 탄소 위치에서만 다른 배치이다.


(×) 하나는 aldose, 다른 하나는 ketose 관계이다.


(×) 두 화합물 모두 D 체이므로, 편광면에서 시계방향 회전을 갖는다.

glycogen phosphorylase

(○) 한 부분은 catalytic site이고, 다른 부분은 allosteric site인 subunit으로 구성된 dimer 형태이다.


(×) 고농도의 AMP에 의해 활성이 저해된다.


(×) phosphorylase kinase에 phosphorylation되면서 활성이 저해된다.


(×) 활동하지 않는 근육에서 비활성 상태이다.


(×) glycogen을 ATP 의존적으로 분해하여 glucose를 생성한다.

다당류

(○) starch, glycogen, cellulose 모두 D-glucose polymer들이다.


(○) glycogen에는 starch보다 amylopectin이 더 많이 존재한다.


(×) cellulose는 glucose가 α(14) glycosidic linkage, β(14) glycosidic linkage로 번갈아 연결되어 구성된다.


(×) 저장형 다당류는 starch이고 구조형 다당류는 glycogen, cellulose이다.


(×) cellulose 분해효소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장에 존재한다.

당뇨병 환자의 백내장 원인

(○) sorbitol


(×) mannitol


(×) xylitol


(×) ribitol


(×) myo-inositol

cellulose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요 다당류로 10000-15000 개 정도의 D-glucose로 구성되며, glucose 연결은 amylose와 달리 β configuration을 나타낸다. 대부분 동물은 분해효소의 결핍으로 이 성분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없다.

sucrose

glucose, fructose로 이루어진 이당류로 식물에서 형성된다. 가장 많이 존재하는 이당류로 구조상의 anomeric carbon이 glycosidic bond 형성에 관여하고 있으므로 비환원당으로 분류된다.

물에서 α-D-glucopyranose, β-D-glucopyranose는 열린 사슬형을 통해서 상호변환

(○) mutarotation


(×) mutation


(×) opticonversion


(×) isomeration


(×) aldolation

glucagon 생체 기능

(○) glycogen 분해를 촉진한다.


(○) 당신생과정을 촉진한다.


(○) 지방조직에서 지방분해를 촉진한다.


(○) ketogenesis를 촉진한다.


(×) 간에서 해당과정을 촉진한다.

pentose phosphate pathway 관여 물질

(○) ribose 5-phosphate


(○) ribulose 5-phosphate


(○) 6-phosphogluconate


(○) xylulose 5-phosphate


(×) 3-phosphoglycerate

pentose phosphate pathway 산화과정에서 생성되는 NADPH 수

(○) 2


(×) 3


(×) 4


(×) 5


(×) 6

protein 가수분해

(○) 유리 amino 기가 증가한다.


(×) 유리 amino 기가 감소한다.


(×) 유리 amino 기의 변화가 없다.


(×) pH가 매우 증가한다.


(×) pH가 매우 감소한다.

인체 필수 amino acid

(○) L-methionine


(×) L-serine


(×) L-proline


(×) L-tyrosine


(×) L-cysteine

-S-S- 결합(disulfide bond) amino acid

(○) cystine


(×) cysteine


(×) methionine


(×) lysine


(×) arginine

urea 합성 회로 관여 amino acid

(○) arginine


(○) ornitine


(○) citrulline


(○) proline


(×) histidine

alanine을 탄수화물로 전환하는 술어

(○) gluconeogenesis


(×) glycogenolysis


(×) glycolysis


(×) oxidative decarboxylation


(×) oxidative deamination

tyrosine → melanin 반응 효소

(○) tyrosinase


(×) DOPA decarboxylase


(×) peroxidase


(×) diamine oxidase


(×) ketolase

아미노산의 산화적 탈아미노화 중간물질

(○) α-imino acid


(×) α-keto acid


(×) uric acid


(×) urea


(×) malate

신장에서 생성되는 ammonia의 기원물질

(○) glutamine


(×) glycine


(×) leucine


(×) alanine


(×) valine

필수 아미노산의 정의

(○) 필요한 만큼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으므로 음식물에서 공급되어야 한다.


(×) 필요한 만큼 채내에서 필수적으로 공급되는 아미노산이다.


(×) 현장에서 합성되지만 기타 조직에서 합성될 수 없다.


(×) 장기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인체 외로 배설되지 않는다.


(×) D-amino acid oxidase에 의해 대사된다.

thyroxine 기원물질

(○) tyrosine


(×) tyramine


(×) threonine


(×) tryptophan


(×) tryptamine

tryptophan 대사과정의 처음 생성물

(○) kynurenine


(×) hydroxyindolacetic acid


(×) indole


(×) nicotinic acid


(×) serotonin

phenylketonuria 결핍 효소

(○) phenylalanine hydroxylase


(×) tyrosine deaminase


(×) homogentisic acid oxidase


(×) tyrosine → DOPA 변환 효소


(×) glutamic acid decarboxylase

alkaptonuria 결핍 효소

() homogentisic acid oxidase


(×) tyrosine deaminase


(×) phenylalanine hydroxylase


(×) tyrosine → DOPA 변환 효소


(×) glutamic acid decarboxylase

transamination 되어 oxaloacetic acid로 되는 것

(○) aspartic acid


(×) alanine


(×) glutamic acid


(×) proline


(×) arginine

enterokinase에서 활성화된 효소

(○) trypsin


(×) rennin


(×) pepsin


(×) chymotrypsin


(×) tyrosinase

pantothenic acid에 포함된 아미노산

(○) β-alanine


(×) ornithine


(×) hydroxylysine


(×) tryptophan


(×) histidine

arginine 생합성 관여 아미노산

() ornithine


(×) citrulline


(×) β-alanine


(×) lysine


(×) phenylalanine

hormone 작용하는 아미노산

(○) thyroxine


(×) β-alanine


(×) ornithine


(×) hydroxylysine


(×) phenylalanine

insulin의 2 개 peptide chain을 연결

(○) cystine


(×) urea, guanidine


(×) aspartic acid


(×) phenylisothiocyanate 방법


(×) dinitrofluorobenzene 방법

serotonine, nicotinic acid 전구체

L-tryptophan

☆ epinephrine, norepinephrine, DOPA, thyroxine, homogentisic acid 시작물

L-phenylalanine

☆ epinephrine, norepinephrine, DOPA, thyroxine, homogentisic acid 전구

L-tyrosine

L-histidine

histamine 전구

L-glutamic acid

소변 NH3의 전구체로서 glutaminase에 의해 NH3를 생

L-glutamine

L-aspartic acid

L-asparagine

ε-amino group이 있는 필수아미노산

L-lysine

요소 합성 회로에서 arginine으로부터 합되는 물

L-ornithine은 citrulline 전구체

L-citrulline

arginase에 의해 urea 생성하는 물

L-arginine

no chiral carbon, no side chain amino acid

glycine

glycocyamine (guanidinoacetic acid) 로부터 생합성되는 물

creatine

lipotropic factor, α-helix terminal, homocysteine methylation

L-methionine

L-serine

L-alanine

L-valine

L-leucine

L-isoleucine

L-threonine

구조적 제한 때문에 α-helix로 수용되기 힘듬. β-turn 구조에서 흔히 발견됨.

L-proline

L-serine

필수 아미노산

(○) 필요한만큼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고 음식물로 공급되어야 함


(○) L-methionine은 필수 아미노산


(×) 현장에서 생성되지만 다른 조직에서는 합성되지 않음


(×) L-serine은 필수 아미노

alanine에서 GPT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

(○) pyruvic acid


(×) oxaloacetic acid


(×) fumaric acid


(×) succinic acid


(×) malic acid

GPT coenzyme

(○) pyridoxal phosphate


(×) TPP


(×) NAD


(×) FAD


(×) ATP

GPT에 의해 glutamic acid를 생성하는 전구체

(○) α-ketoglutaric acid


(×) succinic acid


(×) aspartic acid


(×) glutamine


(×) creatine

amino acid structure

(○) cistine은 disulfide bond(-S-S-)


(○) tryptophan은 indole 핵


(○) tyrosine은 phenol성 수산기


(×) alanine은 benzene 핵

hemoglobin 구성 성분

(○) 4 heme


(○) globin protein


(○) Fe++


(○) porphyrin ring


(×) ferritin

ferritin: 철함유단백으로서, 헤모글로빈과 더불어 체내에서 철의 주요한 저장물질인데, 비장, 간, 골수 등 세망내피계에 많이 존재

α-keto acid → amino acid 반응

(○) transamination


(×) carboxylation


(×) decarboxylation


(×) oxidative deamination


(×) gluconeogenesis

생체 내에서 oxidative deamination 또는 transamination 등에 의해 당질대사 산물로부터 amino acid로 변화되는 것

(○) alanine


(○) glutamic acid


(○) aspartic acid


(○) serine


(×) tryptophan

생체 내에서 oxidative deamination 또는 transamination 등에 의해 당질대사 산물로부터 amino acid로 변화되는 것

(○) alanine


(○) glutamic acid


(○) aspartic acid


(○) serine


(×) tryptophan

epinephrine precursor amino acid

(○) phenylalanine


(×) tyramine


(×) tryptophan


(×) isoleucine


(×) proline

위액 분비 자극 물질

(○) gastrin


(×) secretin


(×) amylase


(×) pepsinogen


(×) carbonic anhydrase

췌장액 속의 단백분해효소

(○) trypsin, chymotrypsin


(×) trypsin, pepsin


(×) trypsin, insulin


(×) insulin, chymotrypsin


(×) pepsin, peptidase

urea cycle에서 ATP 요구 반응

(○) citrulline + aspartate → argininosuccinate


(×) ornithine + carbamoyl phosphare → citrulline


(×) argininosuccinate → arginine + fumarate


(×) arginine → ornithine + urea


(×) ATP 요구 반응 없음

benzoic acid + ? → hippuric acid

(○) glycine


(×) alanine


(×) threonine


(×) lysine


(×) taurine

단백성 아미노산

(○) aspartate


(×) ornithine


(×) tyrosine


(×) homocysteine


(×) β-alanine

단백질 화학에서 "제1차", "제2차", "제3차" 의미

(○) 각각 아미노산 배열, α-helix, 소수성결합


(×) 각각 아미노산 배열, β-sheet, 수소결합


(×) 각각 펩티드 결합, 디설피드 결합, 반데르발스 결합


(×) 각각 펩티드 결합, 수소결합, α-helix


(×) 각각 α-helix, β-sheet, γ-turn

urea를 구성하는 질소의 직접적인 공급원

(○) carbamoyl phosphate, aspartate


(×) carbamoyl phosphate, glutamate


(×) carbamoyl phosphate, glutamine


(×) glutamate, asparagine


(×) glutamine, asparagine

산화적 탈아미노 반응이 일어나는 아미노산

(○) alanine, glutamate, tyrosine


(×) alanine, lysine, tyrosine


(×) aspartate, phenylalanine, serine


(×) aspartate, threonine, serine


(×) aspartate, phenylalanine, tryptophan

urea cycle 중간체

(○) ornithine


(○) citrulline


(○) aspartate


(○) argininosuccinate


(○) arginine


(×) histidine


(×) cystine

항체의 주요한 구조적 특징

(○) 두 개의 길고 짧은 펩티드 사슬로 되어 있다.


(×) 두 개의 펩티드 사슬로 되어 있다.


(×) 단일 펩티드 사슬로 되어 있다.


(×) 황 아미노산을 함유하지 않는다.


(×) 요소에 의해 분해될 수 없다.

정상 동물에서 methionine, cysteine의 황 성분의 배설 형태

(○) inorganic sulfate


(×) chondroitin sulfate


(×) taurocholic acid


(×) cysteic acid


(×) sulfite

아미노산의 α-amino nitrogen이 포유동물의 뇨 중에서 나타나는 형태

(○) urea


(×) ammonia


(×) uric acid


(×) creatine


(×) glutamine

단백질 구조 결정에서 performic acid 역할

(○) disulfide 결합의 산화


(×) disulfide 결합의 환원


(×) N-말단 잔기의 확인


(×) C-말단 잔기의 확인


(×) 단백질 변

mucopolysaccharide인 peptidoglycan을 연결시키는 것

(○) glycine


(○) alanine


(×) lysine


(×) glucose


(×) fructose

pH 7에서 positive charge를 갖는 amino acid

(○) histidine


(×) threonine


(×) aspartate


(×) isoleucine


(×) valine

모든 척추동물의 근육에서 발견되는 β-alanine+histidine으로 구성된 dipeptide

(○) carnosine


(×) carnitine


(×) creatine


(×) bradykinin


(×) ergothionine

amino acid의 iso-electric point 결정 요인

(○) dissociation constant


(×) diffusion constant


(×) chain length


(×) branch chain


(×) optical lotation

단백질 변성

(×) peptide bond 파괴


(○) pepsin 소화성 증가


(○) biological activity 감소


(○) soubility 감소


(○) 면역성 감

sulfur 함유 amino acid

(○) methionine


(○) cysteine


(×) chondroitin


(×) proline


(×) valine


(×) glycine

N-terminal amino acid 결정 시약

(○) 1-fluoro-2,4-dinitrobenzene


(×) LiBH4


(×) hydrazine


(×) carboxypeptidase


(×) aminopeptidase

α-helix

(×) collagen


(×) fibroin


(×) elastin


(○) α-keratin


(○) myoglobin


(○) rhodopsin

아미노산 대사

(○) 아미노산은 세포 중에 어느 정도 저장되어서 주로 단백질 합성에 사용된다.


(○) 생체 내 단백질은 각각 고유한 속도로 분해된다.


(○) 아미노산이 분해될 때는 아미노기와 나머지 탄소쇄는 다른 대사계에서 대사된다.


(○) 모든 아미노산은 사람의 영양상태에 따라 ketone body 또는 glucose로도 전환된다.


(×)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흡수되며, 혈중 아미노산 농도는 식사로 인해 크게 변동한다.

아미노산의 개별대사

(○) methionine은 cysteine을 생성하지만 cysteine은 methionine을 생성하지 않는다.


(○) valine, leucine, isoleucine 등 분지상 아미노산은 공통적 대사경로를 가지고 있으나 최종산물은 각각 다르다.


(×) tryptophan은 indole 핵이 있기 때문에 생체 내에서 대사되지 않는다.


(×) tyrosine은 phenylalanine의 탈탄산반응에 의해 만들어진다.


(×) glycine은 GPT에 의해 pyruvic acid로 된다.

단백질의 특성

(×) 단백질 용액의 280nm의 자외선 흡수는 tyrosine이나 histidine 등의 방향족 아미노산 잔기에 의한 것이다.


(○) 약 20 종의 L-amino acid가 중합한 고분자화합물이다.


(○) 사람에는 효소 등의 기능단백질의 종류가 많지만, 양적으로는 collagen 등의 구조단백질이 많다.


(○) 어떤 단백질 용액의 액성이 등전점보다 알칼리성일 때 그 단백질은 음전하로 하전되어 있다.


(○)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은 본질적으로 아미노산의 배열순서에 의해 결정된다.

단백질 용액의 280nm의 자외선 흡수는 tyrosine, phenylalanine, tryptophan 의 방향족 아미노산 잔기에 의한 것이다.

아미노산 용액이 등전점에 있을 때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차이

(○) 0


(×) 1


(×) 5


(×) 10


(×) 100

glutathione 구성 아미노산

(×) lysine


(○) glycine


(○) cysteine


(○) glutamic acid


(○) gamma-glutamylcysteine

collagen 중 다량 함유 아미노산

(○) Gly, Ala, Pro


(×) Gly, His, Ser


(×) His, Lys, Arg


(×) Pro, His, Asp


(×) Asp, Phe, Ser

단백질 β-sheet 구조

(×) 머리카락은 대표적인 β-sheet 구조


(○) 단백질의 이차구조


(○) polypeptide가 지그재그로 연결되어 병풍모양


(○) 인접한 polypeptide는 주로 수소결합으로 연결


(○) antiparallel β-sheet에는 β-turn 구조

머리카락은 α-helix 구조인데 열, 화학 되면 β-sheet 구가 됨

포유동물의 암모니아의 주된 배설형태

(○) urea


(×) uric acid


(×) xanthine


(×) isosinic acid


(×) glycine

arginine을 가수분해하여 urea를 생성하는 효소

(○) arginase


(×) urease


(×) urea hydrolase


(×) urotransferase


(×) peptidase

glycine으로부터 serine이 생합성 되는데 필요한 조효소

(○) tetrahydrofolate


(×) pyridoxin


(×) biotin


(×) NAD+


(×) FAD+

SDS-polyacrylamide 겔 전기영동

(×) 단백질이 pI 값에 따라 분리된다.


(○) 분자량이 작은 단백질이 더 빨리 이동된다.


(○) SDS는 단백질 2차 구조를 파괴하고 단백질에 (-) 전하를 제공한다.


(○) TEMED(tetramethylene deamine)는 연쇄반응 촉매이다.


(○) separating gel의 pH는 stacking gel의 pH보다 높다.

수용액에서 더 강해지는 단백질 접힘(folding)의 원동력

(○) 소수성 상호작용 상호작용 hydrophobic interaction


(×) 반데르발스 힘 Van der Waals force


(×) 공유결합 covalent bond


(×) 수소결합 hydrogen bond


(×) 이온결합 ionic bond

단백질 3차원 구조에서 흔히 나타나는 이차구조(secondary structure)

(×) disulfide bond


() α-helix


(○) β-sheet


(○) β-turn

단백질 구조

(×) 단백질들의 구조에는 서로 공통적인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다.


(○) 단백질의 기능은 그것의 3차원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 단백질의 3차원 구조는 그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결정된다.


(○) 특정한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데는 비공유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 단백질의 2차 구조에는 α 구조와 β 구조가 있다.

단백질 구조 변화

(○) 단백질의 3차 구조는 단백질 활성과 관련있다.


(×) 단백질 변성에 의해 1차 구조가 바뀐다.


(×) 단백질 folding은 온도가 80℃ 이상에서 용이하게 일어난다.


(×) 단백질 2차 구조 중 α-helix는 생체 내에서 대부분 left handed helix이다.


(×) 단백질 subunit들에 대한 4차 구조 생성시에는 covalent bond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sickle cell anemia 환자의 hemoglobin S에서 정상 hemoglobin A의 β 6 위치의 glutamate가 어떤 아미노산으로 돌연변이된 것인가?

(○) valine


(×) lysine


(×) threonine


(×) asparagine


(×) phenylalanine

2,3-bisphosphoglycerate(BPG)

(×) 산소에 대hemoglobin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 일종의 allosteric modulator이다.


(○) 성인에 비해 태아의 hemoglobin에 대한 결합력이 낮다.


(○) 일반적으로 적혈구에서 추출한 hemoglobin과 결합되어 있다.


(○) hemoglobin의 heme 그룹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에 결합한다.

2,3-BPG 산소에 대한 hemoglobin의 결합력을 감소시킴

근육이 수축할 때, ATP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가 주로 사용되는 작용

(○) myosin의 conformation 변화


(×) actin의 conformation 변화


(×) myofibrils의 conformation 변화


(×) sarcoplasmic reticulum의 구조 변화


(×) Z disc의 구조 변

괴혈병(Scurvy)은 collagen 단백질에 어떤 문제점이 생겼기 때문에 나타나는가?

(○) proline과 lysine 잔기들의 hydroxylation이 감소되어 단백질의 stability가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 proline과 lysine 잔기들이 glycin 잔기로 치환되었기 때문이다.


(×) glycosylation이 증가되어 단백질의 stability가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 collagen helix가 right-handed로부터 left-handed triple supercoil로 구조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 Shiff base crosslink가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단백질 post-translational glycosylation 특이적 억제 물질

(○) tunicamycin


(×) streptomycin


(×) puromycin


(×) cycloheximide


(×) chloramphenicol

cholera toxin에 의해 변형되는 단백질

(○) G-protein


(×) hemoglobin


(×) prion protein


(×) heat shock protein


(×) APP

glutathione 생체 기능

(○) 적혈구 보호 작용


(×) 단백질 분해 작용


(×) 단백질 인산화 작용


(×) glycosylation


(×) ATP 생

carbon 20 개, 이중결합 4 개인 unsaturated fatty acid

(○) arachidonic acid


(×) eicosapentenoic acid


(×) prostaglandin


(×) linolenic acid


(×) linoleic acid


(×) lignoceric acid


(×) ricinolic acid


(×) nervonic acid

산화되어 열량원으로 사용되는 것

(×) cholesterol


(○) glucose


(○) acetyl CoA


(○) saturated fatty acid


(○) unsaturated fatty acid

C18:2, all cis-9,12의 common name

(○) linoleate


(×) linolenate


(×) oleate


(×) stearate


(×) palmitoleate

지질단백질

(○) 혈장 lipoprotein 중 저밀도인 것일수록 triglyceride 함유량이 많다.


(○) 지방산에서 이중결합이 있으면 기하이성체가 생기며 oleic acid의 경우 9,10 trans형이다.


(○) prostaglandin은 arachidonic acid에서 생성된다.


(×) chylomicron이나 VLDL 등 크기가 작은 lipoprotein은 주로 지방조직에 중성지방을 공급한다.


(×) 가장 밀도가 높은 HDL은 cholesterol을 각 조직으로 공급한다.

chylomicron이나 VLDL 등 크기가 작은 lipoprotein은 근육, 지방 조직에 지방을 공급한다. 가장 밀도가 높은 HDL은 cholesterol을 조직으로 공급한다.

ketone body

(○) acetone


(○) acetoacetate


(○) β-hydroxybutyrate


(×) acetyl CoA


(×) malonyl CoA


(×) linoleic acid


(×) glucose

wax

(○) long chain alcohol과 long chain fatty acid의 ester 결합이다.


(○) 플랑크톤의 주요 저장 에너지원이다.


(○) 모발이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분비되며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한다.


(○) 일반적으로 녹는점이 triglyceride보다 높다.


(×) long chain fatty acid에는 당이 연결되어 있어서 신호전달을 한다.

bile acid

(×) cholesterol 7 α-hydroxylase의 활성을 억제시키면 bile acid 합성은 증가한다.


(○) 간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된다.


(○) Vit C 결손 시 합성이 저하된다.


(○) 대부분의 bile acid는 장간순환에 의해 간으로 다시 돌아온다.


(○) bile acid는 유해물질 배설에 작용한다.

phospholipase A2의 기질 - 생성물

(○) phospholipid - arachidonic acid


(×) serine - arachidonic acid


(×) plasmalogen - arachidonic acid


(×) arachidonic acid - ethanolamine


(×) phospholipid - serine

세포 내 대사 과정 중 존재하는 반응

(○) stearate → oleate


(×) oleate → linoleate


(×) palmitate → arachidonate


(×) leukotriene → arachidonate


(×) prostaglandin → arachidonate

지질과산화 생성물

(○) malondialdehyde


(×) thiobarbiturate


(×) arachidonate


(×) linoleate


(×) glutamine

간에서 만들어지며 triacylglycerol 함량이 높은 지질단백질

(○) chylmicron


(×) VLDL


(×) LDL


(×) IDL


(×) HDL

prostaglandin 합성 전구체의 생성과 관련있는 효소

(○) phospholipase A2


(×) phospholipase A1


(×) phospholipase C


(×) diacylglycerol kinase


(×) protein kinase

체내에 축적되어 Tay-Sachs disease 유발하는 생체 물질

(○) ganglioside


(×) ceramide


(×) phosphatidylserine


(×) prostaglandin


(×) insulin

생체 화합물 중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되는 물질

(×) prostaglandin


(○) glucocorticoid


(○) aldosterone


(○) cholic acid


(○) dihydroxycholecalciferol

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 HDL


(×) IDL


(×) LDL


(×) VLDL


(×) chylomicron

cholesterol synthesis

(×) monooxygenase에 의한 squalene 대사 과정에 2 개의 ATP가 소모된다.


(○) cholesterol을 구성하는 27 개의 탄소는 모두 acetate로부터 온 것이다.


(○) HMG-CoA reductase가 cholesterol 생합성과정의 주요 조절 효소이다.


(○) 3 개의 ATP를 소모하면서 mevalonate는 activated isoprene으로 전환된다.


(○) 6 개의 activated isoprene의 condensation으로 squalene이 형성된다.

ganglioside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는 당지질의 일종으로 구조 내에 sialic acid를 포함한다.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특히 뇌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레라 독소와 같은 미생물 독소에 대한 수용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분해 효소의 결핍에 의하여 체내에 축적되면 Tey-Sachs disease와 같은 유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prostaglandin

20 개의 탄소로 구성된 eicosanoid의 일종으로 arachidonate를 전구체로 하여 cyclooxygenase에 의해 형성된다. 통증과 발열이 되는 주요 성분으로 aspirin과 같은 NSAID에 의해 생성이 억제된다. Celecoxib는 염증시에 발현이 증가하는 cyclooxygenase 2에 대한 선택적 저해제로 이 성분의 생성을 강력하게 억제한다.

HMG-CoA reductase 저해제

(○) simvastatin


(○) lovastatin


(○) pravastatin


(×) allopurinol

malonyl CoA

(×) 지방산 분해에 관여한다.


(○) 지방산 합성에 관여한다.


(○) acetyl CoA로부터 만들어진다.


(○) acetyl CoA carboxylase에 의해 합성된다.

핵산은 파장 260nm 부분의 흡수 극대에 의해 검출되는데 핵산 분자 중에서 어떤 성분에 기인하는가?

(○) purine, pyrimidine


(×) deoxyribose


(×) phosphate


(×) phosphodiester


(×) ribose

단백질

(○) protamine, histone


(×) globulins


(×) albuminoids


(×) scleroproteins


(×) glycoproteins


(×) actin

NAD-ase

(○) NAD-ase는 NAD의 N-glycoside 결합을 분해한다.


(○) nucleotide pyrophosphatase는 NAD를 분해하여 niacin-mono-nucleotide와 AMP를 생성한다.


(×) NAD-ase는 NAD → NADP를 촉매한다.


(×) NAD-ase는 ADP를 분해하여 AMP와 pyrophosphate를 생성한다.

nucleoside 구성 성분

(×) phosphate


(○) purine


(○) pyrimidine


(○) pentose

RNA를 알칼리 가수분해하면 필수적으로 생기는 중간물질

(○) nucleoside-2',3'-cyclic monophosphate


(×) nucleoside 2'-phosphate


(×) nucleoside 3'-phosphate


(×) nucleoside 5'-phosphate


(×) adenosine diphosphate

formyl carrier of purine synthesis

(○) tetrahydrofolic acid


(×) biotin


(×) p-aminobenzoic acid


(×) dihydro-orotate


(×) glycineamide ribose-5-phosphate

Chargaff rule

(○) complementary base pairing


(×) stability of DNA double helix


(×) stability of bases


(×) UV absorption at 260nm


(×) purine is bigger than pyrimidine

polypeptide amino acid 배열의 근본적인 기

(○) sequence of DNA


(×) sequence of rRNA


(×) structure of tRNA


(×) ribosomal protein


(×) availability of amino acid

exon

(○) DNA의 실제로 발현되는 부분


(×) DNA의 promoter 부분


(×) RNA의 5'-end phosphate


(×) RNA의 3'-end phosphate


(×) RNA의 이중가

재조합 DNA 기법 중 유전자의 특수 부위를 수많은 고속 반복단계를 통해 증폭시키는 방법

(○) PCR


(×) Western Blot


(×) Southern Blot


(×) Northern Blot


(×) ELISA

HGPRT

이 효소의 결핍에 의해 purine base가 과잉생성되면 Lesch-Nyhan syndrome 질환을 유발한다.

fluorouracil 저해받는 효소

(○) thymidylate synthase


(×) dihydrofolate reductase


(×) carbamoyl phosphate synthase


(×) CTP synthase


(×) ATCase

α-amantin

(○) DNA 합성과정의 initiation 단계를 저해한다.


(×) DNA 합성과정의 elongation 단계를 저해한다.


(×) 단백질 합성과정의 initiation 단계를 저해한다.


(×) 단백질 합성과정의 elongation 단계를 저해한다.


(×) template DNA strand에 결합한다.

protein synthesis inhibitor

(×) tetracyclin: bacteria ribosome A site blocking


(○) chloramphenicol: bacteria peptidyl transfer blocking


(○) diphtheria toxin: bacteria protein elongation factor inactivating


(○) cycloheximide: 80S eukaryotic ribosome peptidyl transferase inhibiting


(○) streptomycin: bacteria translation inhibiting

aminoacyl-tRNA analogue로서 protein synthesis inhibitor

(○) puromycin


(×) streptomycin


(×) rifampicin


(×) tetracyclin


(×) nalidixic acid

5-bromouracil 유사한 구조

(○) thymidine


(×) thymine


(×) uridine


(×) deoxyuridine 5'-triphosphate


(×) 4-methyluracil

자외선 (UV) 민감 건피성착색증 (xeroderma pigmentosum)

(×) UV에 의해 DNA 염기 알킬화가 일어난다.


(○) DNA 복제시 돌연변이를 초래할 수 있다.


(○) 피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 DNA 손상 복구에 이상이 있다.


(○) 유전자 질병의 일종이다.

통풍 치료제 allopurinol 저해받는 효소

(○) xanthine oxidase


(×) thymidylate synthase


(×) adenine deaminase


(×) HMG-CoA reductase


(×) tyrosine hydroxylase

actinomycin D

cyclic pentapeptide 구조를 함유한 성분으로 구조내의 평면 부위가 DNA의 이중나선 사이로 끼어들어가 DNA 구조를 변형시켜 RNA polymerase가 DNA 서열로부터 RNA를 합성하는 과정을 억제시킨다. Wilm's tumor 치료에 많이 사용된다.

translation inhibitor

(×) penicillin


(○) puromycin


(○) streptomycin


(○) cycloheximide


(○) chloramphenicol

tRNA

(○) 각 아미노산에 한 개씩, 적어도 20 개의 다른 형태로 존재한다.


(○) 단백질 합성의 개시에 관여하는 initiator tRNA는 methionine을 결합시킨다.


(×) 단백질 합성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mRNA와 동일하다.


(×) DNA와 형태가 동일하다.


(×) 흔히 muton이라고 부른다.


(×) eukaryotic tRNA primary transcript는 intron 부분이 없다.


(×) 61 종류 codon에 대하여 모두 다른 tRNA가 인식한다.


(×) 염기로써 A, C, G, U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 UAG codon 인식 tRNA는 phenylalanine을 결합시킨다.

세포 단백질 합성 장소

(○) ribosome


(×) endoplasmic reticulum


(×) mitochondria


(×) lysosome


(×) nucleolus

lactate dehydrogenase(LDH) isozyme

(○) A monomer, B monomer 비율에 따라 5 개형이 존재한다.


(×) monomer ~ tetramer 범위 내에 있다.


(×) 모든 세포에서 동일한 비율로 발현된다.


(×) 이 효소의 진화적인 경로를 설명한다.


(×) 한 개의 amino acid만이 다르다.

화학요법제

() 5-fluorouracil은 thymidylate synthase를 억제하여 DNA 복제를 제한다.


(○) chloramphenicol은 protein 합성시 세균의 ribosome 기능을 억제한다.


(×) 5-fluorouracil은 protein 합성시 RNA 분자를 활성화시킨다.


(×) chloramphenicol은 protein 합성시 세균의 aminoacyl-tRNA을 억제한다.

protooncogene

(○) fos


(○) erb-B


(○) src


(×) p53


(×) RB

벡터의 요건

(×) viral DNA는 벡터로 사용할 수 없다.


(○) 제한효소에 의한 절단부위가 있다.


(○) 숙주세포로의 도입이 가능하다.


(○) 벡터는 replication origin이 있다.


(○) 세포내 주입 시 복제된다.

유전자 치료

(○) 유전자 결함에 의하여 야기된 질병이 치료대상이다.


(○) 환자에게 결핍된 유전자를 인체세포에 이입하는 방법이다.


(×) 현재 시험단계이며 임상에 응용되지 못했다.


(×) 유전자 전달방법으로 아데노바이러스와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는 이용할 수 없다.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

(○) 근긴장성 영양장애 myotonic dystrophy


(○) 헌팅턴 무도병 Huntington's disease


(×) 낭성섬유증 cystic fibrosis


(×) 페닐케톤뇨증 phenylketonuria


(×) 겸상적혈구 빈혈 sickle cell anemia

헌팅턴무도병 Huntington's disease

(×) 성염색체 열성장애


(○) 점진적 신경퇴행성 질환


(○) trinucleotide CAG 반복서열 증가


(○) 중장년층(50대 이상)에서 주로 발생


(○) 증세는 치매, 중증우울증, 춤과 같은 움직임

암억제 유전자 tumor suppressor

(○) p53


(○) RB1


(×) ab


(×) sac


(×) fos

human chromosome

(○) histone H1은 다른 histone과 DNA로 구성된 core의 바깥쪽을 감싼 DNA에 결합하여 nucleosome 구조를 완성한다.


(×) 인체 염색체는 22 쌍, 44 개이다.


(×) DNA에는 H1, H2, H3, H4, H5, H6의 6 종류의 histone이 결합되어 있다.


(×) nucleosome들이 다시 모여 20nm fiber 구조를 형성한다.


(×) 염색체에 DNA 분해효소를 처리시에 쉽게 절단되는 부위는 histone에 의해 보호되는 부위이다.

페닐케톤뇨증

(×) 혈류에 타이로신이 축적된다.


(○) 페닐알라닌 가수분해효소의 결여로 유발된다.


(○) 저페닐알라닌 식이요법이 필요하다.


(○) 아기 출생직후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 신경계 발달에 손상을 초래한다.

promoter

(○) RNA polymerase가 결합하는 부위이다.


(×) 진핵세포와 원핵세포의 consensus sequence가 같다.


(×) 번역(translation) 개시부위이다.


(×) 구조유전자의 3' 부위에 위치한다.


(×) ribosome과 상호작용한다.

단백질 합성

(×) elongation 과정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70S ribosome, aminoacyl-tRNA, elongation factor인 RF, ATP 등이 필요하다.


(○) 미토콘드리아에서 합성되는 단백질은 N-formylmethionine으로 시작된다.


(○) Shine-Dalgarno sequence는 개시코돈 AUG가 정확한 위치를 갖도록 도와주는 mRNA에 존재하는 특수 서열이다.


(○) peptide 결합을 형성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peptidyl transferase는 RNA enzyme이다.


(○) 항생제인 puromycin은 ribosome A site에 결합하여 polypeptide 합성을 중지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