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ffle
    Toggle On
    Toggle Off
  • Alphabetize
    Toggle On
    Toggle Off
  • Front First
    Toggle On
    Toggle Off
  • Both Sides
    Toggle On
    Toggle Off
  • Read
    Toggle On
    Toggle Off
Reading...
Front

Card Range To Study

through

image

Play button

image

Play button

image

Progress

1/84

Click to flip

Use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navigate between flashcards;

Use UP and DOWN arrow keys to flip the card;

H to show hint;

A reads text to speech;

84 Cards in this Set

  • Front
  • Back
-생물학적 전파-
곤충의 체내에서 증식한 병원체가 자교시 피부 상처를 통하여 감염되는 경우
증식형 (propagative transmission)
-생물학적 전파-
병원체가 곤충의 체내에서 증식은 하지않고, 다만 그 생활환의 일부를 경과한 후에 숙주에 전파되는 형
발육형 (cyclo-developmental transmission)
-생물학적 전파-
병원체가 곤충의 체내에서 그 생활환의 일부를 경과하는 동시에 증식하면서 전파되는 형
발육증식형 (cyclo-developmental-propagative transmission)
-생물학적 전파-
증식형에 속하며 병원체의 일부가 난소 내에서 증식하여 감염된 알에서 부화한 새끼가 자동적으로 감염.
첫흡혈시부터 병원체를 전파한다.
경란형(Transovarian transmission)
증식형의 예
흑사병, Pasteurella pestis
황열, 뇌염
뎅구열
발진티푸스
발진열
발육형의 예
사상충증
발육증식형
말라리아
텍사스우열
수면병
경란형의 예
록키산홍반열
텍사스우열
재귀열
-파리-
집주위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는 ( )가 가장 많고, 딸집파리, 큰검정파리, 금파리, 침파리 등이 많다.
집파리
-파리-
( )는 흡혈을 하기 위해 가축에 많이 모여든다
쇠파리
-파리-
음식물에 많이 모이는 것은 ( )이고, 생선에는 ( ), ( )가 많이 모인다.
집파리, 금파리, 침파리
파리 생태 및 생활사
유충은 동물 또는 식물의 조직을 먹고 자라는데,
부식된 유기물을 먹는 종류도 있고
산 동물의 조직을 먹고 사는 기생성인 것들도 있다.
. 파리는 주간활동성으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잘 활동하며,
. 활동거리는 1~3km이다
. 집파리, 딸집파리, 검정딸집파리, 금파리, 큰검정파리 등은
겨울에도 성충, 유충, 번데기가 생존하며, 온화한 날씨에는 산란까지 함
. 큰집파리라는 수정한 암놈이 동면으로 월동하며,
쉬파리는 번데기로 월동한다.
인가에 가장 흔한 종류,
- 동식물성 유기물이 부식하고 있는 퇴비, 쓰레기처리장, 인축의 분변이
쌓인 곳 등에서 잘 발생
- 주로 소화기계 전염병의 매개체로 작용
ㄱ. 음식물뿐 아니라 인축의 배설물인 똥, 침, 콧물, 고름, 오줌 등도 섭취하며,
반고체성 먹이를 취할 때 먹이의 일시 저장소인 소낭(crop)의 내용물을
토하는 습성 때문
ㄴ. 주둥이와 다리 등에 털이나 강모(britsle)가 있고, 발톱 사이에 있는 욕반(pulvillus)에 점착성 물질이 분비되어 병원체를 묻혀서 운반
- 집파리는 주간에만 활동하며
- 열대지방에서는 연중 발생, 온대지방에서는 성충으로 월동
집파리 (Musca domestica)
소형 파리로 집파리와 함께 실내에 잘 침입하는 위생상 중요한 종
. 세계적인 분포
. 유충은 주로 인축의 배설물, 특히 인분을 좋아하며 변소에서 부화
딸집파리 (Fannia canicularis)
집파리보다 더 크며 흑색이다.
. 산란장소는 과일과 야채와 같은 식물의 부식물,
동물의 똥이나 시체 등 부식하는 유기물이다.
. 소화기계 전염병의 매개체가 되나 음식물에 접촉이 심하지 않으므로
역학적 중요성은 집파리에 비하여 다소 떨어짐
큰집파리 (Muscina stablans)
사람보다는 소, 말 또는 개 등의 가축을
주로 흡혈
기회가 되면 사람도 흡혈
. 흡혈하기 편하게 주둥이가 바늘같이 가늘고 길다
.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며 가축질병을 매개,
사람에게 질병 전파 보고 없음
. 산란장소는 주로 가축의 분뇨이며,
퇴비장 등 유기물이 부식한 곳이면 거의 모두 발생
침파리 (Stomoxys calcitrans)
열대 및 아열대지방에 서식
. 이 속의 유충 대부분은 동물의 부식한 조직에 서식하지만, 인축의 생체에도 기생하여 승저증(myiasis)을 유발하는 것도 있음
이 중 배지아 ( )(C. bezziana)[나사구더기파리]가 가장 중요하다
띠금파리속 (Chrysomyia)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며
. 동물의 시체에 서식하나 생조직에 기생하는
종도 상당히 있음
. 구리금파리와 꼬마구리금파리가 있으며
구리금파리는 우리나라에도 서식
금파리속 (Lucilia)
유충의 서식장소는 동물의 사체, 사람의 똥,
또는 인축 및 곤충의 생조직에 기생하는 경우도 있다
. 사람에게 승저증(구더기증, myiasis)을 일으킨다
쉬파리과 (Sarcophagidae)
흡혈성 곤충으로 야간활동성이나 비교적 어두운 장소에서는 낮에도 흡혈
- 많은 종이 인체흡혈기호성이긴 하지만
개, 설치류, 때로는 조류나 파충류까지도 흡혈대상이 됨
- 리슈마니증, 모래파리열(pappatasi), 오로야열(Oroya fever) 등
모래파리 (Snad fly)
회선사상충증의 매개종으로 알려진
중요한 해충이다.
먹파리
형태가 모기와 유사하므로 `모기붙이’라고도 알려짐
- 질병을 매개하지는 않으나 불쾌곤충(nuisance insect)으로
-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allegen으로 방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다양한 물에서 발생하며,
특히 수질에 따라 발생하는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수질오염도의
지표생물로 이용도가 높다
깔따구
흡혈성인 것들이 있다
- 서부아프리카에서는 로아사상충(loa loa)을 매개
- 미국에서는 야토병의 병원체(Francisella tularensis)를 야생설치류
로부터 사람으로 기계적으로 전파
- 남아프리카에서는 수면병의 일종인 Trypanosoma evansi 원충을
말, 소, 낙타 등으로 기계적으로 전파
등에
파리의 천적으로 파리알 속에 산란하여 1개의 파리알에 1개의 알을 낳아 파리알의 영양물질을 섭취하여 성충으로 발육하는 곤충은?
기생벌
모기의 생활사
일반적으로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아 여름철에 많으며
지역적으로도 열대 및 온대지방에 많이 분포하지만
한대지방에도 서식한다
. 생활사는 알-유충-번데기의 세 시기는 물에서 보내고
유충은 4회 탈피한다
. 모기 난소의 알은 동물성 단백질이 있어야 발육하므로
흡혈은 산란의 필수조건
. 1회 흡혈량은 산란에 충분,
산란 후 흡혈을 하고 다시 산란을 하는 주기 즉, `흡혈-휴식(알 발육기간)-산란-흡혈’을 gonotropic cycle이라 한다
-모기-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은 ( , )등이 있다.
학질모기, 집모기
-모기-
알로 월동하는 것은 ( )이며 대개 암놈이 월동한다.
숲모기속
-모기-
주간활동성인 모기는?
숲모기속 (Aedes)
모기가 흡혈을 위하여 숙주를 찾아나서는 요인?
1차적으로 이산화탄소와 체취,
2차적으로 시각, 체온, 습기
-모기-
( )의 성충의 경우 흡혈하지 않으며
유충이 다른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기 때문에 다른 모기의 천적으로 이용
왕모기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우리나라 전역에 보편적으로
널리 분포
. 기물에 괸 물이나 하수 등에서도 잘 발생
. 가축, 조류 및 사람을 잘 흡혈
. 일본뇌염의 매개 모기로서 여름한철에 일시에 폭발적으로 발생하나
활동기간은 짧다
작은빨간집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
학질모기아과의 일종으로 다른 모기와의 감별점은
앉아 있는 자세가 45~60˚로 경사지며,
날개의 흑백얼룩점 등이 있다는 점
. 풀이 많은 논의 정지된 물에서 잘 발생하며,
. 학질모기아과 중 제일 많은 종류로 한국 전역에 분포
. 말라리아와 말레이사상충(Brugia malayi)을 전파시키는 중요한 매개종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inensis)
우리나라 제주도 및 해안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내륙에도 있다
. 해안의 염분이 있는 물과 용기 중에서 잘 발생하며,
. 흑갈색에 황백색의 반점이 있는 약간 대형의 모기
. 말레이사상충(Brugia malayi) 매개곤충
토고숲모기 (Aedes togoi)
3일[말라리아]열원충 : 전 세계 말라리아 중 가장 널리 분포하는
3일열말라리아의 병원체
열대보다도 온대에 많고, 열대아프리카에는 적다.
. 혈구 기생률은 평균 0.4%이다
. 잠복기는 10~14일이고 오한, 전율을 수반하는 열발작과 발한전해를
48시간마다 반복하며 비종, 빈혈을 수반한다
. 열발작 간격은 점차 길어져 1년 반 정도면 치유되지만 종종 재발
. 진단은 혈액도말표본의 김사염색을 하여 원충을 증명한다
. 치료는 아미노퀴놀린, 엽산길항제(피리메사민-설파합제) 등의
항말라리아제를 사용
사상충증
우리나라 제주도에 많이 유행하며 내륙지방에서도 보고
사상충증은 말레이사상충(Brugia malayi)으로 알려졌으며,
- 제주도와 해안지방에서는 토고숲모기가 매개하며,
내륙지방에서는 중국얼룩날개모기가 주매개종
- 사상충은 상피병(Elephantiasis)을 일으키며, 자충이 혈중에 나타나는
시간이 야간에만 한정되는 야간주기성(nocturnal periodicity)의
혈중 기생충
- 따라서 사상충 검사는 밤 10~새벽 2시 사이에 채혈하여 도말검사를 실시
일본뇌염
일본에서 필리핀에 걸친 서태평양 지역과,
한국에서부터 인도에 걸친 동부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유행
- 우리나라에서의 일본뇌염의 주요 매개체는 작은빨간집모기로 알려졌으나
짚모기나 숲모기도 가능
- 초여름에는 작은빨간집모기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데 그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이후 돼지를 감염시켜 증폭숙주가 되게 하는데,
일시적인 viremia를 보이며 일시적인 감염원이 된다
매개종은 가축흡혈 기호성이 있으므로 돼지집단 내의 감염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약 50% 이상의 돼지가 감염되면
이후로 사람감염이 일어남
- 모기의 발생밀도가 급증한지 1~2주에 돼지감염이 시작되고
이후 1~2주에 사람감염이 일어난다.
우리나라 가주성 바퀴 중 제일 흔한 종이며
세계적으로도 가장 널리 분포
. 소형종으로 황갈색
. 30℃가 최적온도이며 상당히 불리한 환경조건에서도 생존할 수 있으나,
열대산이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 약하여 20℃ 이하에서는 활동을 거의 중지
독일바큌ㅋㅋㅋㅋ
미국에서 가장 흔한 종류이며,
. 대형종 (30~40mm) 우리나라 옥내 서식 종
중 가장 대형인 바퀴
. 온도와 습도가 비교적 높은 장소에서 서식하며
29℃가 최적온도인데,
23~33℃ 범위에서 활동하며 20℃ 이하에서는 활동이 저하
이질바퀴(미국바퀴 )
-벼룩-
세계적인 분포
. 사람뿐 아니라 가축 및 야생돌물에도 기생
. 온대지방에 많이 분포하며,
. 페스트의 매개 및 기생충의 매개
사람벼룩 (Pulex irritans Linnaeus)
페스트 및 발진열을 매개하는 가장 유력한 벼룩으로 알려져있음
. 우리나라에서는 쥐벼룩 중 제일 많은 종류로서 인축을 흡혈
인도쥐벼룩 (Xenopsylla cheopis )
이(lice)에 의한 피해
질병 매개체로서 중요한 위생해충
. 이는 발진티푸스(epidemic louse-borne typhus)를 매개,
환자의 혈류 중에 존재하는 병원체 (Rickettsia provazeki)를 이가
흡혈 -> 소화관 벽에서 번식 -> 이의 똥과 함께 배설 -> 이가 물었을 때 소양감 때문에 긁으면 침입
. 숙주체온에 민감하여 3~4℃만 상승해도 숙주로부터 떨어져나감
-> 이는 발진티푸스 환자 몸에 기생하고 있는 감염된 이가
다른 건강한 사람에게 옮겨가는 것을 부추김으로써
질병유행을 더 높이는 요인
.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 전역에 머릿니가 계속 증가해 왔는데,
이는 세계적인 추세
hard tick이라 부름
세계적인 분포
- 진드기매개 티프스, 큐열, 진드기매개 뇌염,
콜로라도 진드기열, 튜라레미아, 라임병, 일본홍반열 등을 매개
참진드기과(Ixodidae)
soft tick으로 알려져 있으며,
공주진드기라고도 불림
-진드기매개 재귀열을 매개하며,
바이러스성 질병으로는
아프리카의 Quaranamfil virus와
아프리카돈열(African swine fever)을 매개
물렁진드기과(Argasidae)
피부기생진드기로 의학상 중요한 종
- Itch mite라고도 부름
- 옴진드기는 야간활동성은 아니지만 잠잘 때,
특히 따뜻하고 습도가 높은 날에는 피부 밖으로
나와 기어 다님
- 감염초기에는 그다지 가려움이 없으나, 4~6주 후부터 심한 소양증이
나타남
흔히 손등, 특히 손가락 사이에 기생
- 치료 후 진드기가 완전히 제거된 후에도 약 2주간은 가려움증이 지속됨
옴진드기(Sarcoptes scabiei)
집먼지진드기과 (Pyroglyphidae)
House dust mite라고 불림
- 큰다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
세로무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 이 2종 세계적인 분포, 질병의 주원인
- 집먼지진드기 수명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습도
ㄱ. 물을 직접 섭취하지 못하므로 공기 중의 수분을 피부로 흡수
ㄴ. 건조할 경우 체내의 수분이 빠져나가 죽는다
ㄷ. 그 지역이나 가정의 습도가 높으면 집먼지진드기의 개체군 밀도가 증가
건조하면 감소
- 먹이는 집먼지 속의 유기물을 먹고 생활
- 최근 기관지천식,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결막알레르기 등이 급증
=> allergen으로서 집먼지진드기가 주된 원인임이 밝혀짐
유기계 살충제
① 유기인산계 살충제 : Parathion, DDVP(Dimethyldichlor ovinyl phosphate)
② 유기염소계 살충제 : DDT(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ieldrin, chlordane 등
무기계 살충제
① 비소제제 : 아비산(AsO), 아비산석회(CaAsO), paris green
② 불소제 : 불화소다(NaF)
③ 황제 : Lime sulphur mixture
④ 기타 : 황산동, 석유제
식물성 살충제
Pyrethrin, nicotine, derris 등이 있음
. 해충구제를 위해 사용되는 살충제 : 분제, 수화제, 유제, 용제, aerosol 등의 제제(formulation)별의 형태로 사용
. 원제(concentrate)는 직접 사용하기 위해서가 아니고
분제, 유제 등의 사용을 위해서 만들어져 있는 것
- 예를 들면, DDT의 경우 원제로 사용하면 70%의 효과밖에 없으나
분제로 사용하면 100%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살충제-
DDT, chlordane 등의 원제에 중량제(inner carrier),
친수제 및 계면활성제를 가한 미세한 분말로 물에 타서 사용,
물에 혼합하면 현탁액이 된다
수화제
-살충제-

원제를 용매에 용해시킨 후 유화제를 가한 농축액
- 물에 불용성인 살충제에 용매와 유화제를 혼합한 것
- 보통 농후하게 원제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사용시 적당히 물에 희석하여 사용
유제
-살충제-

원제를 적당한 유기용매로 용해시키고 안정제를
첨가한 것으로 농축액 및 연무제로서 시판
- 석유, 경유, benzol, kerosene(케러시인), acetone 등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사용,
=> 이는 용매가 빨리 휘발하여 잔류효과를 목적으로 할 때 유효
- 유제는 비유화성으로 물에 불용성이고, 대량 사용시에는 유기용매의
가격 때문에 문제가 되며, 화재의 위험성도 있음
용제(S, solution)
-살충제-

원제가 수용성인 것으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
수용제 (SP, soluble powder)
-살충제-

- 결정성 살충제를 석회나 규조토 등의 미세한 분말에 침투시킨 제제
- 살충효과는 입자의 크기에 좌우되므로 100 μm 이하의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
분제 (D, dust)
-살충제-
운제와 중량제를 혼합하여 물과 아교나 아라비아 고무 같은 점결제를 섞고 물 속에서 잘 풀어지도록 계면활성제나 전분과 같은 붕괴촉진제를 첨가하여 일정한 모양의 덩어리로 만든 것
- 작은 입자는 ( )이며,
지름 5~7 cm의 큰 덩이로 만든 것이 ( )
- 긴 잔료기간을 나타내므로 모기유충과 같은 수서해충의 방제에 이용
입제 (G, granule), 브리켓 (briquet)
-살충제-

살충제 입자를 인체독성과 환경오염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한 기술
- 바퀴나 흰개미 등 기어다니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잔류분무용과
독먹이용의 두 가지 제제가 사용
마이크로캡슐
-살충제의 적용방법-
LPG, 디메틸에테르 등의 비점이 극히 낮은 물질을 압축한 캔을 이용하여 살포
에어로솔(aerosol)
-살충제의 적용방법-

가열연막이라고도 하며 지열에 의한
기류상승이 없는 일몰 후에 작업해야 함
가열연무(thermal fogging)
-살충제의 적용방법-

노즐을 특수제작하여 살충제 입자를 50 μm 이하로 미립화한 것
이때 노즐은 45°각도로 상향
극미량 연무(ultra low volume, ULV, cold fogging)
-살충제의 적용방법-

살충제 입자가 50~100 μm인 경우
모든 종류의 액체 뿐 아니라 분제와 입제도 살포할 수 있음
미스트
-살충제의 적용방법-

곤충의 휴식 및 서식장소와 활동장소에
살충제 입자를 잔존시켜 장기간에 걸쳐 대상해충을 치사시키는 방법
잔무분무(residual spray)
-살충제의 적용방법-

밀폐된 장소에 훈증제 (fumigant)를 채워
곤충의 기공을 통해 체내로 흡입시키는 방법
모기향이나 전자매트도 이러한 방법의 일종
훈증법(fumigation)
-살충제-
독성등급표시
고독성 이상의 경우 해골표시와 함께 ( )이라는 단어 명기
중독성인 약제에는 ( )
저독성인 약제에는 ( )라는 표시를 하도록 함
poison,
warning,
caution
살충제에 대한 곤충의 저항성도 주의
- 원래 감수성 수치의 ( )배의 치사농도가 요구되면 저항성(resistance)이 생겼다고 할 수 있음
- 저항성 유전자를 갖는 곤충은 해당 살충제를 무독화시키는 효소를 분비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이러한 현상을 ( )이라고 함
5~10배,
생리적 저항성(physiological resistance)
한 가지 약제에 저항성이 생겼을 때 화학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 다른 약제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나타내
는 것
교차저항성(cross resistance)
-쥐-
- 우리나라는 등줄쥐, 만주등줄쥐, 제주등줄쥐의 3개 아종
- 제주등줄쥐는 최근에 종으로 독립되어 A. chejuensis로 됨
- 등줄쥐는 국내의 들쥐 중 절대적인 우점종이나,
만주등줄쥐는 남한에는 찾아보기가
힘듬
등줄쥐
-쥐-

몸이 약간 큰 종류로 400~500 g에 달함
- 몸통에 비해 꼬리가 약간 짧고, 꼬리는 굵으며 비늘이 거침
- 시궁쥐는 반가주성 쥐로 부엌, 목욕장, 변소,
축사, 경작지, 하수구, 쓰레기장 등에 출현
- 땅을 파고 서식
- 대개는 야간에 활동하며,
- 곡물과 하수구의 음식찌꺼기, 곡물, 곤충 등을 포식
- 헤엄을 잘 치며, 색은 흑색, 갈색 등이 있음
시궁쥐(Rattus norvegicus)
-쥐-
속명은 지붕쥐, 집쥐, 또는 검은쥐라고도 함
- 크기는 시궁쥐보다 작아서 300~400 g이며,
- 꼬리가 몸통보다 길고 귀가 큼
- 주로 천장, 벽틈, 수직 등반도 잘하여
파이프 관을 타고 올라가기도 함
- 곡물, 어수육, 기타 음식물을 먹으며
- 야간활동성
곰쥐 (Rattus rattus)
-쥐-
치사량 이하를 섭취한 쥐는 동종의 살서제 또는 동일한 독먹이를 긴 시간 심지어는 일생동안 기피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독먹이에 대한 기피성(bait shyness)이라 한다.
말라리아
뎅기열
필라리아증
유행성 뇌염
황열
모기
소화기계 전염병,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이질,
콜레라,
호흡기계전염병, 결핵, 디프테리아
화농성 질환
기생충병, 회충, 십이지장충, 편충, 디스토마, 조충
파리
소화기성질환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
결핵
소아마비
바퀴
페스트
발진열
벼룩
발진티푸스
페스트
재귀열
재귀열
빈대
재귀열
양충증(쯔쯔가무시병)
Q열
록키산병
밀림진드기 뇌염
유행성 출혈열
진드기
진드기에 의한 전염성 피부병으로 극심한 소양감을
특징으로 하며, 사람에 감염시 가려움증, 습진,
탈모를 일으킨다.
개선충증 (Sarcopic Mange)
주로 외이도에 기생하는 진드기에 의해 발생하는 외이 영역의 염증
-> 개에서 심한 가려움증으로 인해 머리를 흔들며, 불면증으로 눈꼽이 낌
- 갈색의 귀지와 가피형성
. 사람에게서 개선충증과 마찬가지로 심한 소양증을 일으킴
이개선충증 (Ear mite, Otodectic Infestation)
개에 기생하는 회충에는 개회충 (Toxocara canis)과
사자회충 (Toxascaris leonina)
. 성충은 소장에 기생,
유충은 발육하는 동안 내장 이행증을 일으켜 여러 장기에 장애를 일으킴
. 회충약의 복용만으로 예방이 됨
. 어린 강아지에게는 치명적이 될 수 있으며 또 어린아이에게 옮길 수도 있음
. 사람으로의 감염은 충란의 섭취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때 성충으로 자라지 않고 유충에 의해 임상증상이 나타나며,
대표적인 질환으로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 유충 이행증 (visceral larva migrans)과
심한 경우 실명을 할 수도 있는 안구유충이해증(ocular larva migrans)
. 회충증의 경우 강아지분변의 부적절한 처리가 어린아이에게 감염되는
주요한 경로가 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
회충증 (Canine Ascariasis)
개를 비롯한 다양한 동물 종 및 사람에도 감염
. 급성에서 만성까지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사망률도 상당히 높은 편
. 무증상인채로 보균자가 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공중보건학상 대단히
중요한 질병
. 최근 개와 사람과의 관계가 밀접해져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 실례로 미국에서는 본 질병의 인체 감염 예의 약 30%가 감염견과의 접촉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주요 원이체는 Leptospiro interogans의 혈청형 canicola 및
icterohaemorrhagiae이며
개에서는 canicola 가 많음
. Carrier 역할을 하는 감염견이 원인체를 요를 통해 배출하면 이에 접촉한
사람에게 감염
. 개회충증과 더불어 중요한 인수공통전염병으로 다루어지고 있음
Leptospira 감염증 (Leptospirosis)
수캐 : 전립선염, 고환염 등
암캐 : 불임 및 유산 등의 번식장애를 일으키는 만성 전염병
. 사람에게도 감염되어 파상열, 관절염, 오환 등을 일으키는 인수공통전염병
. 감염된 개로부터 사람의 발병률은 낮지만 임신한 부인, 면역 억제된 환자, 위생상 좋은 습성을 갖지 못하는 어린이는 위험성이 있으므로 특별히 조심해야 함
. 개에서 유산을 제외한 특별한 임상 증상이 거의 없어 진단상 어려움이 많음
보균동물로 존재 -> 개를 집단적으로 사육하고 있는 번식장에서 매우 중요
. 감염 후 3~11주 사이의 정액에는 많은 수의 균이 있으므로 좋은 감염원
이 됨
. 버려진 개와 직접적인 접촉 또는 피부의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음
Brucella 감염증 (Brucellosis)
예전에는 비브리오(vibrio)라 불렸으며,
1977년 이후 C. jejuni로 인한 사람이 장염이 세계 각지에서 발견
. 개를 비롯한 다양한 포유동물, 가금류, 야생조류에서도 분리
. 새로운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중요시
. C. jejuni는 개에서 반드시 설사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그 병원성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있음
. 이 균에 의해 설사증상이 발생하더라도 경미한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개 자체의 감염이 큰 중요성은 없으나
사람에서 장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공중위생학적 차원에서 중요
. 주로 어린개(4개월령 이하)에 다발
Campylobacter 감염증 (Campylobacter Infection)
피부사상균(dermatophytes)이 표피의 각질층 또는 피모·손톱 등에
기생해서 생기는 피부표층 진균증으로 감염성 피부병 중에서도
가장 흔하고 쉽게 완치되지 않는 피부병
. 원발성으로 진균성 피부병만 존재할 경우 가려움증은 없음
대개의 경우 2차적인 세균감염에 의해 가려움증과 비듬 등이 심하게 발생
. 치료기간은 증상에 따라 4주에서 10주 정도
.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 전염병
. 어린이의 알러지 및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원인이 됨
피부사상균증 (Dermatophytosis)
고양이에 물리거나 할큄으로 인해 사람에게 발생하는 창상성 전염성 질환
. 진료업무에 종사하는 수의사, 보조원 및 축주에 이환
. 이 질병의 병원체로 Chlamydia가 강하게 의심되고 있으며,
. 이환된 환자의 2/3 이상이 고양이와 접촉을 했거나 고양이로 인한 외상을
입은 후 이 질병에 이환
. 주요 증상으로는 상처부위의 구진, 수포 및 농포가 생기는 경우도 있고,
무통성으로 단시일에 치료되는 경우가 많음
고양이 소파병 (Cat scratch disease)
Toxoplasma gonddi에 의하여 발생하는 원충감염증으로
1) 감염된 날음식이나 조리가 덜된 육류에 포함된 낭종상태의 원충을 섭취
하여 감염되거나
2) 감염된 고양이 분변에 접촉하여 감염
. 톡소플라스마증은 또한 선천적으로 태반을 통하여서 감염이 될 수 있음
. 미국의 여성 3분의 1은 임신전에 톡소플라즈마증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는데, 고양이를 애완동물로 키우는 사람들에게서 항체를 가지고 있는 비율이 높다고 보고
임신 중 감염은 유산이나 톡소플라즈마증에 이환된 아이를 출산할 수 있음
. 태아 감염의 위험은 임신의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는데 평균하여 약 50%에
도달
. 선천성 톡소플라즈마증에 이환된 신생아의 약 4분의 1에서 출생시 증상 :
저체중, 간 및 비장비대, 황달, 빈혈 등이 나타나며
일부는 경련, 뇌석회화, 뇌정신치체, 뇌수종, 소뇌증 등의 신경학적 결손
감염된 신생아는 궁극적으로 맥락망막염을 초래
톡소플라즈마증 (Toxoplamosis)